Coping with the Jackson Hole repercussion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oping with the Jackson Hole repercussions (KOR)

The unequivocal hawkish tone in the address by U.S. Federal Reserve Chairman Jerome Powell at the central bank’s annual economic symposium at Jackson Hole, Wyoming, on Friday has rattled capital markets in Korea. Powell made it clear that increases in the benchmark rates would have to continue until inflation comes down to the 2 percent goal. “While higher interest rates, slower growth, and softer labor market conditions will bring down inflation, they will also bring some pain to households and businesses,” he said. He added that a failure to restore price stability could mean “far greater pain.”

The Dow Jones and Nasdaq index crashed more than 3 percent. The weekend bombshell spilled over to Korea’s stock and foreign exchange markets. The Korean won sank 19.1 won from previous closing to 1,350.40 won against the U.S. dollar shortly after opening on Monday. The Korean won has not devalued at such a level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1997 Asian currency crisis. The Kospi lost more than 2 percent and Kosdaq nearly 3 percent.

The tightening tantrums will likely weigh over the Korean markets for some time. In an interview on the sidelines of the Jackson Hole symposium, Bank of Korea Gov. Rhee Chang-yong said that the Korean central bank would prioritize restoring price stability as the Fed does when inflation flies above 5 percent. Rate increases beyond the usual 25 basis points could be possible if prices are not tamed. The BOK delivered an unprecedented fourth back-to-back rate hike last week, following the first-ever hike in 50 basis points in July.

Korea’s base rate at 2.50 percent has come on par with the U.S. Fed funds rate target of 2.25-2.50 percent. But if the Fed keeps taking big steps after delivering hikes in 75 basis points in July and June and 50 basis points in May, the difference in the rates of the two countries would yawn. The market expects the Fed to deliver another increase by 75 basis points after a Sept. 21 meeting. Rhee so far has maintained the rate increases in Korea would be kept at the incremental level of 25 basis points to bring the base rate at 3 percent through the remaining two meetings.

Although slightly eased from June levels, U.S. inflation rose 8.5 percent in July. Powell made it clear that the rate increases won’t stop until inflation falls by 3 percentage points. Korea’s economy faces a greater challenge. Due to sharp weakening of the Korean won on top of rises in oil and commodity prices, the deficit in trade balance has already topped $10 billion in the first half. The government must raise vigilance to prevent the instability building up to a crisis as the volatile conditions are expected to continue throughout next year until prices come down.
 
 
 
금융시장 뒤흔든 잭슨홀 후폭풍, 위기 확산 막아야
 
파월 “물가 잡을 때까지 금리 올린다” 충격파  
한은 추가 금리 인상 불가피…주가·환율 출렁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통화긴축 발언이 한국경제를 뒤흔든다. 파월 의장은 지난주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경제정책 심포지엄서 “연준의 목표는 인플레이션을 2%로 되돌리는 것”이라며 “금리인상을 멈출 때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통이 따르더라도 물가를 안정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발언이 알려지면서 지난 주말 다우존스와 나스닥지수는 3% 이상 폭락했다. 그 충격파는 어제 국내증시와 외환시장에 그대로 전파됐다. 달러대비 원화가치는 개장 직후 급락해 직전 거래일보다 19.10원 떨어진 1350.40원에 마감했다. 13년4개월 만에 최저치다.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엔 경험하지 못한 환율이다. 또 코스피 지수는 2% 넘게, 코스닥은 3% 가깝게 하락했다.  
 
문제는 국내 금융시장 불안이 한동안 지속할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잭슨홀 심포지엄에 참석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언론인터뷰에서 추가 빅스텝 가능성에 대해 “국내 물가상승률이 5%를 크게 웃돌 경우 파월 의장처럼 한은도 물가안정에 중점을 둘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다만 이 총재는 “데이터의 불확실성 탓에 미리 언급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빅스텝에 대한 직접적 언급은 피했지만, 금융시장에선 추가 빅스텝 가능성을 열어둔 발언으로 해석했다. 한은은 지난 25일 사상 처음으로 네번 연속 금리를 올렸다. 여기엔 지난 7월 한꺼번에 0.5%포인트 금리를 올린 빅스텝도 포함돼 있다.
 
네차례 금리인상을 통해 한국의 기준금리가 지난 25일부터 미국과 같아졌지만 파월 의장이 추가인상을 공언한 만큼 한·미 기준금리가 다시 벌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연준은 올해 들어 한꺼번에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이미 두 차례 단행했다. 파월 의장의 이번 발언으로 볼 때 연준은 9월 2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또다시 자이언트 스텝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한은도 여기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창용 총재는 현재 2.5%인 기준금리를 연내 3%까지 인상할 것이라는 점을 감추지 않고 있다.  
 
근본적 문제는 물가다.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5%에 달한다. 파월 의장의 다짐처럼 미국은 물가가 잡힐 때까지 금리인상 행진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그 여파로 한국은 개방경제 체제의 취약성을 여실히 드러냈다. 세계 10위 경제력에도 환율이 치솟자 원유와 원자재 가격이 급등해 올해 상반기 무역적자는 벌써 1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윤석열 정부는 금융시장 불안이 외환위기로 확산되지 않도록 만반의 대비에 나서야 한다. 내년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 이번 금리인상 행진이 완전히 끝날 때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