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olution of hanbok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Evolution of hanbok (KOR)

LEE KYOUNG-HEE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Innovation Lab of the JoongAng Ilbo.

Hanbok is traditional Korean clothing. While the root goes back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we often consider the Joseon Dynasty (1392-1910) clothes as the traditional hanbok. They have disappeared from everyday life as Western culture was introduced and imperial Japan controlled clothing after invading Korea. In the 1960s and ‘70s, modernized hanbok were introduced for a more comfortable fit, but they lost their fashion charm as many Korean restaurants chose them as uniforms.

But now, hanbok seems to be having another heyday. Blackpink’s music video “Pink Venom” gained more than 200 million views on YouTube after just one week. The hanbok worn by the members were seen by viewers around the world. It is common to see Korean pop stars such as Blackpink and BTS wear hanbok for their performances. But, strictly speaking, their stage costumes are not traditional hanbok.

Last week,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osted a hanbok expo at Coex in Seoul. Seventy hanbok makers presented new versions of hanbok. Designers have been expanding the boundary of hanbok, not being restricted by conventions. Designs don’t lose vitality when they are used by consumers.

Recently, Vogue Korea came under fire for the photoshoots at the Blue House with top models, including Han Hye-jin. Politicians criticized that the outfits worn by the models did not look like hanbok and that taking photos of a model lying down in the state guesthouse lowered the national dignity.

30 years ago, designer Lee Young-hee presented a hanbok skirt without the jeogori top at the ready-to-wear show in Paris, which was praised as “clothing of the wind.”

Fashion magazine Vogue has had photo-shoots at the four palaces including Gyeongbok Palace, a more historically significant place than the Blue House. In 2018, the Louvre in France was used as the set for the music video of Beyoncé and Jay-Z and the museum still offers the set as a tour course. Thanks to the music video,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Louvre increased by 25 percent to 10 million, an all-time record that year. You may object to the quality of the photos and fashion. But the latest episode of Vogue Korea at the Blue House with top models must not lead to a regression in the revival of hanbok or the policy to utilize cultural assets.
 
 
 
한복
이경희 이노베이션랩장
 
 
한복은 ‘우리나라의 고유한 옷’이다. 뿌리는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흔히 조선시대 복식을 전통한복이라 여긴다. 개화기 이후 유입된 서양 문물, 국권 침탈 이후 일제의 의복 통제 등으로 일상에선 점차 사라졌다. 1960~70년대에는 개량한복이 보급됐으나 한식당 유니폼으로 굳어지면서 패션으로는 매력을 잃었다.
 
그랬던 한복이 다시금 전성기를 맞은 듯하다. 블랙핑크의 신곡 ‘핑크 베놈’ 뮤직비디오가 공개 1주일 만에 유튜브 조회 수 2억회를 돌파했다. 멤버들이 입은 한복 의상 역시 전 세계에 소개됐다. 블랙핑크와 방탄소년단(BTS) 등 한류스타가 한복을 입고 공연하는 건 흔한 모습이다. 이들의 의상은 그러나 엄밀히 따지면 전통한복은 아니다.
 
지난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복박람회 ‘한복상점’이 열렸다. 70여 한복 업체가 내놓은 상품은 전통한복이라기보다 한복에서 모티브만 딴 경우가 많았다. 풍성한 치마선, 한복을 연상시키는 소재와 문양, 고름이나 깃 등 한복 구성 요소의 일부만 차용하는 식이다. 디자이너들은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한복의 영역을 확장해왔다. 소비자가 선택하는 패션이어야 생명력을 잃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패션잡지 보그 코리아가 청와대에서 한혜진 등 톱모델을 데리고 화보를 찍었다가 날벼락을 맞았다. 정치권에선 모델이 입은 의상은 한복이 아닌 것 같다, 국빈을 맞이하던 영빈관에 누워서 촬영하다니 국격을 떨어뜨렸다는 등의 비판을 쏟아냈다. 한복의 현대화와 세계화에 힘쓴 고 이영희(1936~2018) 디자이너가 파리 프레타 포르테 쇼에 참가해 저고리 없이 치마만 두른 한복을 선보여 ‘바람의 옷’이라 찬사받았던 게 무려 30년 전 일이다.
 
보그는 청와대보다 더 유서 깊은 경복궁 등 4대 궁에서도 화보를 촬영한 바 있다.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은 2018년 비욘세와 Jay-Z 뮤직비디오 촬영 장소로 내주고, 이를 투어 코스로 만들어 지금도 활용하고 있다. 뮤직비디오 덕에 그해 루브르 방문객이 25% 증가한 1000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가디언). 화보와 패션의 완성도에는 이의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건으로 한복 부흥이나 문화재 활용 정책 자체가 퇴행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