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olving criterion for insolvency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Evolving criterion for insolvency (KOR)

CHOI HYUN-JOO
The author is a financial news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The history of debt is as long as human history. In 2,400 B.C. in Mesopotamia, the Sumerians created a debt relief decree to nullify all previous debts. The Old Testament also states that debt should be written off in the jubilee that returns every 50 years. In 594 B.C. in Athens, Consul Solon issued an unusual debt relief decree called Solon’s economic reforms. Those who became slaves because of debts were freed, and the land and assets taken as collateral for debts were returned to the original owners. The government paid the ransom for the people who were sold to other countries as slaves because of debts.

In the process, the creditors who lent goods and capital suffer damages in properties. But Solon’s reform was successful because carrots also were offered to the creditors. At that time, classes for Athenian citizens were determined by their assets, and suffrage was given according to class. The creditors who suffered losses from Solon’s reforms acquired political rights in return for property losses. The debt relief system existed for more than 5,000 years for coexistence. As more people become slaves due to debt, the number of taxpayers and soldiers would decrease.

The debt relief policies of the Yoon Suk-yeol administration are controversial day after day. The loan maturity extension and interest repayment grace period for the self-employed and small- and mid-sized enterprises due to the Covid-19 losses, which were enforced since April 2020, were extended again instead of terminating at the end of last month. The 30-trillion-won ($21 billion) New Start Fund offers reduced principal up to 90 percent. The policy is already in place to help young people, who borrowed and made failed investments on stocks and cryptocurrency, with a three-year grace period for principal repayment and up to 50 percent interest rate reduction. Criticism on these policies is fierce. While the intention is understandable, it is not fair to use taxes to rescue people who are irresponsibly in debt.

That is not the only problem. The debt relief policy can encourage “blind” insolvency. On Oct. 7,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nnounced the result of a full survey into the solar power-related loans and funds. The conclusion was “no insolvency discovered yet,” a vague outcome that insolvency cannot be confirmed.

That is understandable.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insolvency is whether the payment is overdue. But when interest is not received, let alone the principal, insolvency cannot be confirmed. The loan maturity for solar power-related loans which began in 2018 starts next year. In the end, the full survey was meaningless. That’s why the “political financing” is criticized. What we need now is financing for genuine “coexistence.”
 
 
 
'깜깜이' 부실
최현주 금융팀 기자
 
 
빚의 역사는 인류역사와 같다. BC 2400년 메소포타미아에선 수메르인이 부채탕감 법령을 만들었다. 이전의 모든 채무관계를 무효로 한다는 내용이다. 구약성서에도 50년마다 돌아오는 희년(禧年)에 부채를 탕감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BC 594년 아테네에선 집정관인 솔론이 이례적인 부채탕감 법령을 발포했다. ‘솔론의 개혁’이다. 빚 때문에 노예가 된 사람은 자유인이 됐고, 빚 때문에 저당잡힌 땅이나 재산도 본래 주인에게 돌려줬다. 빚 때문에 다른 국가에 노예로 팔려간 사람들은 정부가 몸값을 지불하고 다시 데려왔다.  
 
이 과정에서 재화를 빌려준 채권자는 재산상 손해를 입게 된다. 그런데도 솔론의 개혁이 성공적으로 안착한 데는 손해를 본 채권자에 대한 당근이 있어서다. 당시 아테네 시민은 소유한 재산에 따라서 계급이 나눠졌는데, 계급에 따라 참정권을 줬다. 솔론의 개혁으로 손해를 입은 채권자들은 재산손실 대신 정치적 권리를 얻었다. 5000여 년 전부터 부채탕감 제도가 있었던 이유는 공존 때문이다. 빚 때문에 노예가 되는 수요가 늘어나면 세금을 걷을 대상이 줄어들고 병력을 충당하기도 어렵다.  
 
윤석열 정부의 빚 탕감정책이 연일 도마 위에 오른다. 2020년 4월부터 시행된 자영업자·중소기업(코로나19 피해)의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상환 유예는 지난달 말 종료 대신 재연장됐고, '새 출발 기금'(30조원)으로 최대 90%까지 원금을 감면한다. 빚을 내 주식·가상화폐에 투자했다 실패한 청년을 위한 원금상환 3년 유예, 이자 최대 50% 감면 제도도 시행 중이다. 이에 대한 비판이 연일 거세진다. 취지는 이해하지만, 세금을 써가며 책임지지 못할 빚을 진 이들을 구제하는 것이 공정하지 못하다는 것.  
 
비단 그것만이 문제는 아니다. 부채탕감 정책이 '깜깜이' 부실을 키울 수 있어서다. 지난 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태양광 관련 대출·펀드 전수조사 결과만 봐도 그렇다. 결과는 "아직 부실 발견 못함"이다. 부실이 없는 것도 아니고 있는 것도 아니라는 애매한 결과다.  
 
그런데 그럴 만도 하다. 부실의 판단조건은 연체여부다. 근데 원금은 커녕 이자까지 안받는 상황에선 부실을 확인할 길이 없다. 2018년부터 시행된 태양광관련 대출의 만기(최저 5년)도 내년부터다. 결국 전수조사는 의미가 없었다. '정치금융' 비난이 나오는 이유다. 지금 우리에게 정녕 필요한 건 공존을 위한 금융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