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ial] Time for a facelift of the K-pop busines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Editorial] Time for a facelift of the K-pop business (KOR)

The K-pop landscape is faced with a seismic transformation. Last week, HYBE, the label behind global superstar BTS, disclosed that it will buy a 14.8 percent stake in SM Entertainment held by its founder Lee Soo-man. The announcement came a few days after chat-based platform giant Kakao announced a plan to acquire a 9.05 percent stake with the backing of the current SM managers. HYBE has offered to buy up to a 25 percent stake in the open market until March 1 to cement its largest shareholder position in SM Entertainment.

Once the acquisition is completed as planned, a K-pop behemoth representing current and rising K-pop idols — such as BTS, NCT, Tomorrow X Together, NewJeans, Exo, aespa — will be born. Foreign media speculated it could be as big as the traditional music label majors Sony, Universal and Warner Music.

The consolidation goes far beyond the power struggle between the founder and incumbent management of SM and beyond its alliance of the entertainment and platform businesses. It can provide an impetus for the sustainability of K-pop and its global competitiveness.

The feud in SM was triggered by founder Lee and in-house favoritism of his own producing company Like Planning that collected up to 35 percent of SM’s operating profit from 2000. The shady management system has long been a problem for the K-pop industry. While artists ascended to global stardom, the label was chained to one-man rule.

Predatory contracts with artists also have been a long-standing issue. Although the servitude system has improved, unfair practices continue. Recently, 11-member girl group Loona was found to have signed a contract that sees them shoulder half of the producing cost while receiving just 30 percent of the revenue. Lee Seung-gi was reported to have not gotten a cent from record sales over the past 18 years of his singing career.

The rigorous grooming system of teenagers or minors by placing them in a kind of boot camp for years also has been contentious. BTS, who had been living under supervision for nine years, spoke of fatigue while announcing a break in June last year. Group leader RM sighed that the K-pop idol system worked mechanically to produce one after another without allowing them to mature as people. Jin even complained he had felt like a machine.

The rise of idol-concentrated music label behemoth could worsen the diversity of the Korean popular music. It must remember the fall of Hong Kong cinema due to over-concentration of the action genre. To enlarge the synergy of the marriage of SM and HYBE, the K-pop industry must undo its outdated ways and work towards setting innovative standards.
 
 
 
하이브의 SM 인수 추진...K팝 혁신 계기 돼야
 
SM 최대주주 등극 하이브, BTS·슈퍼엠 등 한솥밥
불투명 경영, 연습생 인권 등 구태 개선 나서야
 
 
한국 엔터테인먼트 시장에 큰 변화의 바람이 분다. 방탄소년단(BTS) 소속사인 하이브는 지난 10일 1세대 K팝 기획사 SM의 창업자 이수만 전 총괄프로듀서가 보유한 SM 지분 14.8%를 인수한다고 공시했다. 지난 7일 카카오가 SM의 현 경영진과 손잡고 지분 9.05%를 확보하는 안을 발표한지 사흘 만에 판을 뒤집어버린 것이다. 단숨에 SM의 최대주주로 올라선 하이브는 다음 달 1일까지 최대 25%의 지분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한 공개매수도 진행한다. 경영권 확보를 향한 수순이다.  
 
인수계약과 공개매수가 계획대로 성사되면 BTS와 NCT·투모로우바이투게더·슈퍼엠·엑소·에스파 등을 보유한 ‘공룡’ K팝 기획사가 탄생하게 된다. CNN 등 외신들도 K팝 전문가의 말을 빌려 “빅3 주요 레코드 레이블인 소니, 유니버설, 워너 뮤직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며 주목하고 있다.  
 
SM의 창업자와 현 경영진이 각각 다른 기업(하이브·카카오)과 연합해 대결을 펼치는 현 상황을 단순한 경영권 다툼으로만 바라봐선 안된다. K팝의 지속가능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위한 체질개선 기회로 삼아야 한다.  
 
이번 사태는 SM이 이수만의 개인사업체인 라이크기획과 프로듀싱 계약을 체결해 2000년부터 1400억원대의 인세를 지급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촉발됐다. 이 기간 SM 영업이익의 35%에 해당하는 액수였다. 이런 불투명한 경영시스템은 K팝 산업의 고질병으로 지적돼 왔다. K팝이 세계 음악시장에 새 바람을 일으키며 급성장하는 동안에도 창업자 중심의 ‘1인 황제시스템’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소속 아티스트와의 불공정 계약도 뿌리가 깊었다. 전근대적 노예계약은 사라졌다고 알려졌었지만, 지난 연말에도 걸그룹 ‘이달의 소녀’가 소속사와 매출액 30%를 받고 제작비 50%를 부담하는 불공정 계약을 한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됐다. 데뷔 이래 18년 동안 음원 수익을 한푼도 나눠 받지 못했다는 이승기의 사례도 지난해 말 드러나 공분을 샀다.  
 
 
미성년 연습생들을 합숙훈련시키는 트레이닝도 인권침해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무려 9년간 합숙생활을 한 BTS도 지난해 6월 단체활동 중단을 선언하며 피로감을 호소했다. “K팝 아이돌 시스템이 사람을 숙성하게 놔두지 않고 계속 뭔가를 찍어내야 한다”(RM), “기계가 돼버린 느낌”(진) 등의 하소연은 화려한 K팝의 어두운 이면이다.  
 
거대공룡 기획사의 등장은 아이돌 음악에 편중된 K팝 생태계의 다양성 문제를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액션 장르에만 몰렸던 홍콩영화의 몰락이 바로 그 반면교사다.  SM과 하이브, K팝 두 대표주자의 한솥밥이 시너지효과를 발휘하려면 K팝 산업의 구태를 털고 글로벌 스탠더드를 정립하려는 자기혁신이 선행돼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