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ial] Pay heed to public demand for pain sharing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Editorial] Pay heed to public demand for pain sharing (KOR)

The question of commercial banks being “public assets” has been raised since lenders indulged themselves with fat bonuses from lucrative business off the jump in interest rates. Their exploitative nature has come under the limelight after public condemnation from 16 organizations representing small- and mid-sized enterprises. Kim Ki-mun, head of the Korean Federation of SMEs, criticized their act of “taking away an umbrella during a rainstorm” by lowering the lending limit or raising interest rates, although 86 percent of borrowings by SMEs and small merchants is backed by safe security such as collateral or guarantee receipts.

Commercial banks cannot easily bark back. SMEs and the self-employed endured the hardships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are suffering more from high interest rates. Banks alone are enjoying the boom from monetary tightening. Loans to SMEs that were borrowed at more than 5 percent interest rate took up 83.8 percent in November last year, or for 28.8 percent for full 2022, which is nearly 10 times higher than in the previous year and the heaviest in nine years.

It shows how fast banks translated the higher rate burden onto SME borrowers. Loans to SMEs surged 33 percent to 953 trillion won ($734.2 billion) from 716 trillion won at the end of 2019. SMEs are being pushed to the cliff as their larger debt comes with higher interest cost.

Commercial banks could argue the business is legitimate during the rising rate environment. But while the Bank of Korea (BOK) pushed up the base rate by 2.25 percentage points from 1 percent to 3.25 percent last year, the difference in bank deposit and lending rate widened from 2.21 percentage points to 2.55 percentage points. The difference fed bank profit. Interest income at five bank majors increased more than 20 percent year-on-year to 40 trillion won last year.

Interest income took up more than 96 percent of their total operating income for Shinhan bank and KB Kookmin Bank. The share was 94.3 percent for Hana Bank. It is no wonder they are being called exploitative. Still, banks have been meager in social responsibility. They have shuttered their outlets and have been neglecting the senior and weaker class.

Banks claim that all the hype about their lacking public role and excessive government intervention are scaring away foreign investors. But the selling spree on bank shares stems from the fact that banks profiteered entirely on social pain. They have exposed their weak operation of heavily relying on interest income.

Banks must ruminate on their fair share of social pain and public role to become more mature players. The government also should refrain itself from outdated meddling and instead focus on rationalizing regulations and guidance so that banks can play a proper role.
 
 
 
돈잔치 금융권, 힘든 국민의 고통분담 요구에 귀 기울이라
 
중기대출 금리 5% 이상 작년 28.8%까지 상승
은행 ‘비올 때 우산 뺏는’ 약탈적 행태 멈춰야
 
 
손쉬운 이자장사로 엄청난 성과급 파티를 벌이는 은행에 대한 비판이 ‘은행은 공공재인가’ 하는 논란으로 번진다. 그러나 20일 기자회견을 한 중소기업 16개 단체의 절규는 국내은행의 약탈적 행태를 다시 되돌아보게 한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은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은 86%가 담보나 보증서가 있는 안전대출인데, 은행은 매출이 떨어지면 대출한도를 줄이거나 금리를 올리는 등 ‘비 올 때 우산을 빼앗는’ 영업행태를 반복한다”고 말했다.  
 
은행들은 이런 지적이 틀렸다고 자신 있게 반박할 수 있는가. 코로나19와 그에 이은 고금리 상황은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에겐 절망의 계절이었고, 은행엔 ‘나홀로 호황’의 토양이 됐다. 그 일례가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중 5% 이상의 금리비중이 지난해 11월 83.8%까지 치솟으며 연간으론 28.8%까지 뛰어오른 것이다. 이는 전년보다 무려 9.6배로 커진 것으로, 9년 만에 최고치다. 은행들이 얼마나 발 빠르게 금리인상 리스크를 중소기업에 전가했는지 여실히 드러난다. 중기대출은 작년 말 953조원으로 2019년 말(716조원)보다 33% 증가했다. 늘어난 대출원금에다 가파르게 증가한 이자비용이 얹어지면서 많은 중소기업이 벼랑 끝으로 내몰린다.  
 
은행들은 금리인상기의 정당한 영업행위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지난해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연 1%에서 3.25%로 2.25%포인트 오르는 동안 은행 예대금리차는 2.21%포인트에서 2.55%포인트로 커졌다. 그 차이가 은행주머니를 더 불렸음은 물론이다. 지난해 5대 은행 이자수익은 40조원으로 전년보다 20% 넘게 증가했다.  
 
총영업익 중 이자수익 비중이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은 96%가 넘고 하나은행은 94.3%다. 이러니 국내 은행들이 금리인상기에 외려 '약탈적 금융'을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런데도 우리 은행들은 공적역할에 인색하기 짝이 없다. 은행지점을 대폭 줄이면서 고령자와 서민의 금융소외는 갈수록 심각해진다.  
 
은행들은 공공성 부족 비판과 관련해 당국의 지나친 개입 때문에 외국인 투자자가 이탈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뒤집어 보면 최근의 은행주 순매도는 은행이익이 공공성 희생 위에 창출됐다는 점을 적나라하게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자장사를 제외하면 국내 은행이 제대로 된 수익기반을 갖추지 못했다는 것을 외국인들도 파악한 것이다.  
 
이번 기회에 은행권은 사회의 고통분담과 공공성 수행요구를 진지하게 성찰하며 선진금융으로 거듭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정부 역시 전근대적 관치논란을 부를 수 있는 과도한 경영개입은 자제하고, 규제완화와 합리적 감독을 통해 시장경제의 토대 위에서 은행의 바람직한 역할정립에 힘써 주길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