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K ENGLISH] 또 올라? 계속되는 명품 가격 인상 … 불경기일수록 비싸게 판다

Home > Business > Industry

print dictionary print

[THINK ENGLISH] 또 올라? 계속되는 명품 가격 인상 … 불경기일수록 비싸게 판다

Mannequins stand at a Chanel store in Seoul on May 24. Chanel Korea upped its prices for the second time this year, raising prices for its main products such as its classic flap bag between five and six percent from May 23. [YONHAP]

Mannequins stand at a Chanel store in Seoul on May 24. Chanel Korea upped its prices for the second time this year, raising prices for its main products such as its classic flap bag between five and six percent from May 23. [YONHAP]

지난 5월 24일 서울에 있는 한 샤넬 매장에 마네킹이 서있다. 샤넬코리아는 올해 두 차례 가격을 올렸다. 클래식 플랩백 같은 주요 제품들의 가격을 지난 5월 23일 5~6% 인상했다. [연합뉴스]  
 
 
 
Consumer fatigue aside, luxury brands still jacking prices
또 올라? 계속되는 명품 가격 인상 … 불경기일수록 비싸게 판다  
 
 
 
Korea JoongAng Daily 3면
Wednesday, June 7, 2023
 
 
 
Luxury brand makers are continuing to raise prices despite sluggish consumer sentiment amid an economic slowdown.
 
luxury brand: 명품 브랜드
jack: 들어 올리다
sluggish: 부진한, 느릿느릿 움직이는
consumer sentiment: 소비심리
economic slowdown: 경기 침체
 
명품 브랜드들이 경기침체로 부진한 소비심리에도 불구하고 가격을 계속 올리고 있다.
 
 
 
Chanel Korea and Louis Vuitton Korea recently raised the prices of its main products by six to eight percent. Chanel’s large classic handbag now costs 15.7 million won ($12,071), while the price tag on Louis Vuitton’s Capucines MM bag is now 10.55 million won.
 
price tag: 가격표
 
샤넬코리아와 루이뷔통코리아는 최근 주요 제품의 가격을 6~8% 올렸다. 샤넬의 클래식백은 라지 사이즈가 이제 1570만원이고, 루이뷔통의 카퓌신백은 MM사이즈가 1055만원이다.
 
 
 
Even small bags now cost well over 10 million won due to price hikes over the last few years when Korea’s luxury goods market experienced a rapid surge in the aftermath of the Covid-19 pandemic.
 
price hikes: 물가 급등
surge: 급증, 급등
aftermath: 여파
 
작은 가방들조차 1000만원이 훌쩍 넘는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로 한국의 명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최근 몇 년간 명품의 가격이 크게 상승했기 때문이다.
 
 
 
Before the pandemic, Koreans typically purchased luxury goods overseas where they tend to be less expensive, particularly in duty-free stores.
 
luxury goods: 명품 제품
duty-free store: 면세점
 
코로나 이전에는 명품을 대체로 더 싸게 살 수 있는 해외에서, 특히 면세점에서 구매했다.
 
 
 
With travel restrictions nearing to an end with the dwindling of the pandemic, consumer demand for high-end designer brands is weakening due to the economic slowdown, yet luxury brand makers continue to jack up prices. Critics say the brands are riding on so-called “greedflation” — exploiting inflation to create excessive profits.
 
travel restriction: 여행 제한
dwindle: 줄어들다
high-end designer brand: 명품
exploit: 이용하다, 착취하다
excessive: 지나친
ride on: ~를 타고가다, ~에 달려있다
 
코로나가 잠잠해지면서 여행제한이 사라져가고 경기 침체로 명품에 대한 소비 수요가 약해지고 있는데도, 명품 브랜드들은 가격 인상을 계속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명품 브랜드들이 일명 ‘그리드플레이션’, 즉 과도한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의 탐욕에 의한 물가 상승을 만들고 있다고 평가한다.
 
 
 
Chanel Korea upped the prices of its main products four times since last year, while Louis Vuitton Korea recently upped its prices again after raising them last November. Prada Korea raised the prices for all of its products by 5 to 10 percent earlier this year. Celine raised prices by 4 percent. Bottega Veneta raised the prices for its main products by 10 percent, having previously raised prices six months ago.
 
up: (가격 등을) 올리다, 갑자기 ~하다
 
샤넬코리아는 지난해 이후 주요 제품의 가격을 4차례나 올렸고, 루이뷔통은 지난 11월 가격 인상 이후 최근 가격을 또 올렸다. 프라다코리아는 올 초 모든 제품의 가격을 5~10% 올렸다. 셀린은 4% 인상했다. 보테가베네타는 주요 제품의 가격을 10% 올렸는데 6개월 전에도 가격을 올린 바 있다.
 
 
 
High-end jewelry brands in Korea such as Van Cleef & Arpels, Cartier and Damiani have either raised or are planning to raise their product prices between 5 to 15 percent.
 
한국에서 명품 보석 브랜드인 반클리프앤아펠, 카르티에, 다미아니 등도 5~15%씩 가격을 이미 올렸거나 올릴 예정이다.
 
 
 
Domestic luxury brands have gone through multiple price hikes over the year, boosted by the socalled “revenge shopping” trend during the pandemic. They also gave multiple reasons for their price hikes, citing changes in their respective headquarters’ price policies, rising raw material prices, costs from logistics and human resources and fluctuating exchange rates.
 
revenge: 보복
respective: 각각의
headquarter: 본사
raw material: 원자재
logistics: 물류
human resources: 인적자원
fluctuating: 오르내리는
exchange rates: 환율
 
국내 명품 업계는 코로나 기간 이른바 ‘보복소비’로 명품 수요가 급증하면서 1년 새 몇차례씩 가격을 인상해 왔다. 그러면서 본사의 글로벌 가격 정책 변화, 원자재 가격 및 물류비와 인건비의 상승, 환율 변동 등을 이유로 꼽았다.
 
 
 
While consumers are feeling fatigued by the frequent price increases by luxury brands, the brands show no sign of slowing their hikes down. Symbolized by their iconic logos and design, such brands boost consumer desire and product value through exclusively high prices and scarcity rather than through improvements in product design.
 
fatigue: 피로하게 만들다
iconic: 상징이 되는
boost: 부추기다
scarcity: 희소성
 
소비자들은 명품 브랜드들의 잦은 가격 인상에 피로감을 느끼고 있지만, 브랜드들은 가격 인상을 멈출 기미가 없다. 상징적인 로고와 디자인의 명품들은 제품 품질이나 디자인의 개선으로 가치를 올리기보다 가격을 올려 아무나 갖지 못하게 만듦으로써 희소성과 소유 열망을 부추긴다.
 
 
 
“Frequent price hikes are not merely due to rising costs in production, human resources and logistics,” said trend analyst Lee Jung-min, who heads Trend Lab 506. “Due to the character of luxury brands, which can only survive through [spending] from upper classes, they will continue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products through their prices, especially during the economic slowdown.”
 
merely: 단순히
upper class: 상류층
distinguish from: ~와 구별하다
 
트렌드 분석가 이정민 트렌드랩506 대표는 “물류비나 인건비, 제품생산 비용이 올라갔다고 해서 이렇게 자주 가격을 인상하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며 “불경기일수록 더욱 상위 계층을 겨냥해야 살아남을 수 있는 명품의 속성에 따라 가격으로 차별화하기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WRITTEN BY LEE JAE-LIM AND TRANSLATED BY PARK HYE-MIN [lee.jaelim@joongang.co.kr, park.hyemin@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