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de and inferiority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ride and inferiority (KOR)

KIM SEUNG-JUNG
The author is an archaeology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An essay by Susan Yoon, a friend of mine in Toronto, was published in the New York Times last weekend. Susan, who recently debuted as a children’s author, visited Korea for the first time in 25 years last summer, and an essay about her experience in Korea was selected as a column for the paper.

Reading her work, I realized how the Western perception of Korea has changed over the past two decades. Street vendors, who used to draw attention with ni hao and konnichiwa now solicit in perfect tone and accent annyeonghaseyo.

I’ve heard that Western teenagers become big fans of K-pop and take Korean language classes. Many complain that such classes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have long waiting lists. Overnight, Korea seems to have become an advanced country.

But there is also a sense of inferiority among Koreans that Colin Marshall, an American writer living in Korea, mentioned in a Covid-related article for the New Yorker’s April 14, 2020 issue.

“South Koreans themselves have a tendency to see their country as, in essence, still a hujinguk [underdeveloped country],” he wrote, citing negative Japanese propaganda during colonial rule. It is the legacy of that era.

In this context, we have a lot to lear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ancient Greece and ancient Rome. The Roman Empire occupied all of Greek territory, colonized it and ruled it, but Romans recognized the “superiority” of Greek culture. Romans preferred using Greek rather than Latin for academic writing, and many Greek works were copied and collected.

Greeks were enslaved and often became philosophy teachers, but they were still full of pride in their history and culture with no sense of inferiority. We must not underestimate or overestimate our own capabilities now. We must grasp our place in world history and continue our creative progress.

 
 
 
자부심과 자격지심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지난 주말 수잔 윤이라고 하는 내 토론토 친구의 수필이 뉴욕타임스(NYT)에 실렸다. 최근 어린이책 작가로 데뷔한 수잔은 지난 여름 25년 만에 한국을 방문했고, 그 경험을 담은 수필이  NYT 칼럼으로 발탁됐던 것이다. 친구의 칼럼을 읽으며 나는 서양에서 우리나라를 바라보는 시선이 지난 20여 년 동안 얼마나 달라졌는지를 새삼 느꼈다. “니하오”나 “곤니찌와”로 관심을 끌려 했던 길거리 상인들이 요즘엔 완벽한 악센트와 어조의 “안녕하세요”로 말을 건다. 서양의 10대들이 K팝 광팬이 되어 한국어 학원 다닌다는 말도 흔히 듣는다. 토론토 대학의 한국어 수업도 대기자 명단이 길어 들어가기 힘들다는 불평이 다반사다. “눈 떠보니 선진국” 이라는 말 그대로다.  
 
그런 반면, 한국에 사는 미국인 수필가 콜린 마셜이 뉴요커 월간지의 코로나 관련 기사(2020년 4월 14일 자)에서 언급했던 한국인들의 자격지심도 엄연히 실존한다. 마셜은 “효율적인 코로나 대처 방안으로 유명한 한국에서 아직도 상당수 국민이 한국이 후진국이라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그 이유 중 하나로 일제 강점의 후유증을 꼽았다. 식민지 근성이 아직 남아있다는 분석이다.
 
그런 맥락에서 볼 때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관계에서 우리가 배울 것이 많다. 로마제국이 그리스의 영토를 모두 점령하고 식민지로 만들어 통치했지만, 그리스 문화의 ‘우월함’은 로마인들도 인정했다. 로마인들은 학문적인 글은 라틴어 보다 그리스어로 쓰는 것을 선호했고, 그리스 미술작품들은 수많은 복사본을 만들어 수집했다. 심지어 그리스인을 노예로 들여 철학 선생님으로 삼는 일이 보통이었지만 그 와중에서도 그리스인들은 열등의식은커녕 자기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부심으로 가득했다. 지금 우리는 우리 자신의 역량을 과소평가해서도 안 되고 과대평가해서도 안 된다. 정확한 실상을 세계사적 안목 속에 파악하고 창조적 전진을 계속해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