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 독립투쟁의 고난 담은 의병 문서, 조국으로 돌아오다

Home > Culture > Korean Heritage

print dictionary print

항일 독립투쟁의 고난 담은 의병 문서, 조국으로 돌아오다

A pair of scrolls consisting of 13 documents related to the Korean resistanc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made a homecoming just in time to mark the country's Independence Day [KOREA HERITAGE SERVICE]

A pair of scrolls consisting of 13 documents related to the Korean resistanc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made a homecoming just in time to mark the country's Independence Day [KOREA HERITAGE SERVICE]

두 개의 두루마리 형태로 만들어진 조선 후기 항일운동 관련 문서 13건이 광복절을 맞아 조국으로 돌아왔다. [국가유산청]
 
 
 
Three cultural artifacts related to independence struggle come home
항일 독립투쟁의 고난 담은 의병 문서, 조국으로 돌아오다

 
 
 
Korea JoongAng Daily 1면 기사
Thursday, Aug. 15, 2024
 
 
 
"I'm concerned that my younger brother's capture may have disappointed some of the Righteous Armies and caused them to lose discipline. We must join forces with even greater determination, encouraging one another and work together as one to accomplish our great cause. We must care for one another and protect each other more than before so that we can restore our nation's sovereignty and protect the people and the country."
 
Righteous Army: 의병
lose discipline: 기강이 무너지다
join force: 힘을 합치다, 도모하다  
sovereignty: 주권, 독립  
 
“제 동생이 붙잡힌 뒤에 의병 각 군진이 실망하여 기강이 해이해질 우려가 없지 않습니다. 마땅히 더욱 분한 마음으로 독려하고, 한 마음으로 협력하여 대사를 함께 도모해야 합니다. 서로 아끼고 보호하기를 전보다 더해야 국권을 회복하고 백성을 보호하며 국토를 보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This is a part of a handwritten letter written by one of Korea's key independence activists Heo Gyeom (1851-1939) on May 17 on the lunar calendar of 1908 when Korea was continuing to resist against Japan. Heo's brother Heo Wi (1855-1908) was a division commander of the Thirteen Provinces Alliances of Righteous Armies that was formed in Yangju, Gyeonggi, in 1907. This group of Righteous Armies, also known as uibyeong in Korean, was active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1392-1910) and was known as one of the most organized and nationwide groups among the righteous armies.
 
Independence activist: 독립운동가  
lunar calendar: 음력
resist: 저항하다
organized: 조직적인
nationwide: 전국적인  
 
한국이 일제의 압박 속 저항을 이어가던 음력 1908년 5월 17일, 한국의 대표적인 독립 운동가 중 한 명인 허겸(1851~1939)이 쓴 편지의 한 대목이다. 허겸의 동생 허위(1855~1908)는 1907년 경기도 양주에서 결성된 의병 부대 13도 창의군의 군사장이었다. 이 의병 부대는 조선 말기 활발히 활동했고, 당시 가장 조직적이고 규모가 큰 전국 단위 부대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Though he was tormented by his brother's capture, his earnest plea to the righteous armies to not lose spirit and to continue fight for Korea's independence is heart-rending,” said Park Chul-sang, head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Traditional Korean Literature. "It vividly shows how Korea's independence activists felt about fighting for the country. It is truly meaningful to have this valuable cultural heritage shown to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since it was written more than a century ago.”  
 
be tormented by: ~로 괴로워하다, ~로 고통스러워하다
earnest: 진심 어린, 간절한  
plea: 호소, 간청
lose spirit: 기세를 잃다  
heart-rending: 가슴이 미어지는  
 
박철상 한국문헌문화연구소장은 “동생의 체포로 인해 고통스러웠지만, 의병들에게 절대 기세를 잃지 말고 조국의 독립을 위해 계속 싸워야 한다는 그의 간절한 호소가 가슴을 울린다”고 말했다. “이 편지는 한국 독립운동가들이 조국을 위해 싸우는 마음을 생생하게 보여준다”며 “이 귀중한 문화유산이 처음 쓰인 지 100년 이상 지난 오늘 처음으로 대중에게 공개된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The Korea Heritage Service announced Wednesday that it has successfully repatriated from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ree sets of cultural artifacts tied to the nation’s struggle for independence. The three artifacts are: two scrolls consisting of documents related to the Korean resistanc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 historical compilation of Korea-Japan relations published by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1919; and a wooden plaque inscribed with poetry.  
 
repatriate: 본국으로 송환하다, 환수하다
artifact: 유물
plaque: 판
inscribe: 새기다  
 
국가유산청은 수요일(8월 14일) 한국의 독립운동과 관련된 문화유산 3점을 일본과 미국에서 성공적으로 환수했다고 밝혔다. 이 세 유물은 조선 말기 항쟁에 관련된 문서가 포함된 두 점의 두루마리,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편찬한 한일관계사료집, 그리고 시가 새겨진 현판이다.  
 
 
 
Heo's letter is one of the 13 documents written by Korea's independence activists in 1907-8. Nine of them are documents written by members of the Thirteen Provinces Alliances of Righteous Armies including Heo Wi and Yi Gang-nyeon (1858-1908), another key member of the group, while four are letters written by renowned activists like Heo, Yu Jung-gyo (1821-1893) and Choe Ik-hyeon (1833-1906).  
 
key: 중요한
renowned: 저명한  
 
허겸의 편지는 1907~1908년 독립운동가들이 쓴 문서 13건 중 하나다. 이 중 9건은 허위와 또 다른 핵심 독립운동가인 이강년(1858~1908)을 포함한 13도 창의군의 구성원이 작성했다. 나머지 4건는 허겸, 유중교(1821~1893), 최익현(1833~1906)과 같은 저명한 독립운동가들이 쓴 서신이다.  
 
 
 
According to the Korea Heritage Service, these documents were extorted by a Japanese military police named Choji Akutagawa shortly after it was created. It was later in 1939, after his retirement, that he assembled these documents into the present form of two scrolls, which measures four meters each in length. 
 
extort: 빼앗다
retirement: 은퇴  
assemble: 모으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이 문서들은 작성된 지 얼마 안돼 일본 헌병 경찰이었던 아쿠다가와 초지(芥川長治)에게 빼앗겼던 것이다. 아쿠다가와는 1939년 은퇴 뒤 이 문서를 모아 현재의 형태인 두 개의 두루마리로 만들었다. 두루마리의 길이는 각각 4m에 달한다.  
 
 
 
Akutagawa gave the two scrolls titles and added footnotes to each, detailing who the author is.  
“Letters from rebel leaders who rejected Japa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title given to one scroll, while the other is entitled, “Manifesto by rebel leaders of a mob who rejected Japa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footnote: 주석  
manifesto: 포고문, 격문
mob: 폭도
 
아쿠다가와는 두루마리마다 제목을 달고 각 문서의 저자가 누구인지 주석을 추가했다. 이 중 하나엔 ‘한말 일본을 배척한 우두머리의 편지’라는 제목이 달려있고 다른 하나엔 ‘한말 일본을 배척한 폭도 장수의 격문’이라고 돼 있다.
 

 
 
[생략]
 
 

BY YIM SEUNG-HYE [yim.seunghye@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