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ime to heal (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time to heal (국문)

It took nearly three years to lift the Sewol ferry from the bottom of the sea off Jindo, an island in South Jeolla. The heart-wrenching moment on Thursday of the rusted ship’s emergence has tormented not only the relatives of the 304 victims, which include 266 Danwon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the entire nation as people watched the scene unfold on television. The vessel finally surfaced above waters almost two years after the government decided to haul it up from the rough waters.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lans to put the ship on a nearby semi-submersible vessel by Friday after elevating it 13 meters (43 feet) above the sea’s surface. In a week or two, the ferry will be moved to a new port in Mokpo on the southwestern tip of the country. The government must do its best to ensure safety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relocating the ship to a safe place.

The salvage operation is not the end of the Korean people’s uncontrollable outrage and pain, but the beginning of a long-awaited process of finding the nine passengers still missing, clearing up doubts about the sinking, addressing our deepening social conflict, healing all pain and redesigning a safe country down the road.

Many suspicions linger over the tragic sinking of the ferry on April 16, 2014. The prosecution attributed it to the ship’s overloading, structural flaws and poor sailing. But wild rumors were rampant, including one theory suggesting collision with a military submarine. Some civic groups still claim the ferry sank because it carried too many iron bars to b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naval base on Jeju Island. Some pundits even say the Korean Coast Guard lost precious time needed to rescue passengers while shooting a video of the incident to report to the president.

The salvage operation offers a good opportunity to address such suspicions and distrust among the public. The government must swiftly establish a committee to look into the ferry sinking and find out why it happened. Now that a special legislative act has taken effect to investigate the incident, a group of maritime specialists should answer those questions without any favor to political parties or ideologies. That’s the only way to help heal the deep wounds as quickly as possible.

Politicians in particular must not seek to exploit the investigation for political gain. With the third anniversary of the tragedy quickly approaching and the next presidential election scheduled to be held on May 9, presidential contenders must hold back their temptation to take political advantage of the disaster. The people will not forgive it.

The government promised to rehabilitate the nation after the Sewol tragedy, but nothing has changed since as clearly seen in a series of train, fire and ship accidents, not to mention the government’s lethargic response to earthquakes and outbreaks of bird flu. The government must sincerely vow to reset our worn-out safety systems. Otherwise, the lessons from the Sewol tragedy will be forgotten again.

JoongAng Ilbo, March 24, Page 34


침몰 원인 규명해 사회 불신 해소하고
정치권은 대선에 이용할 유혹 뿌리쳐야

기다림과 고통의 시간은 길었다. 1073일이 걸렸다. 차갑고 어두운 44m 바닷속에 모로 누워있던 선체는 누렇게 녹슨 처참한 모습이었다. 인양 작업을 지켜보던 유가족들은 오열했다. 국민의 마음도 참담했다. 탑승자 304명(단원고 학생 266명 포함)이 숨진 세월호가 다시 물 위로 올라온 어제, 대한민국의 하루는 그리 지나갔다. 2014년 4월 16일 전남 진도군 맹골수도에 침몰한 지 3년, 인양 추진 701일 만이었다.
해양수산부는 세월호를 수면 밖 13m까지 부양해 24일 소조기까지 반잠수식 선박으로 옮길 예정이다.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세월호는 다음달 5일을 전후로 목포신항으로 옮겨진다. 길이 145m, 높이 24m, 너비 22m의 거대한 선체인 만큼 마지막까지 안전하게 인양해야 할 것이다.
온 국민에게 분노와 아픔을 남겼던 세월호의 인양은 끝이 아닌 시작일 뿐이다. 3년을 기다려 온 9명의 실종자 수습과 각종 의혹 해소, 사회적 갈등과 아픔 치유, ‘안전 대한민국’ 재설계의 과제가 기다리고 있어서다. 가장 큰 쟁점은 침몰 원인에 대한 의혹이다. 검찰은 과적과 고박 불량, 선체 구조 변경, 조작 미숙 등을 원인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세월호를 직접 조사할 수 없는 탓에 ‘잠수함 충돌설’ 같은 근거 없는 의혹과 루머가 난무했다. 과적의 경우도 그렇다. 검경 합동수사본부는 철근 286t 등 총 2142t을 적재해 승인량(987t)을 두 배 초과했다고 추정했다. 반면 세월호특별조사위는 철근 410t을 포함해 총 2215t이라고 주장했다. 일부 시민단체가 제주해군기지용 철근을 실은 탓에 무리하게 운항하다 화를 당했다고 주장하는 이유다. 해경이 대통령 보고용 동영상을 촬영하느라 구조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의혹도 여전하다.
세월호 인양은 이런 의혹과 불신을 해소할 기회이기도 하다. 핵심 증거인 선체가 확보되고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특별법’도 발효(21일)된 만큼 신속하게 선체조사위를 구성해야 한다. 6개월간 활동할 전문가들이 과학적이고도 정밀한 ‘눈’으로 의혹을 해소하기 바란다. 그 과정에서 어떤 정치적 입김이나 진영 논리가 작용해서는 안 된다. 그래야 유가족들의 아픔과 슬픔, 국민의 상처가 치유될 수 있지 않겠는가.
정치권은 세월호를 정략적으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 인양 시기가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에 따른 대선 정국과 맞물린 데다 세월호 3주기가 머지않았다. 정치권이 세월호 이슈를 5월 9일 대선까지 끌고 가려 한다면 사회적 갈등과 분열이 더 격해질 수 있다. 세월호 희생자에 대한 도리가 아닐뿐더러 국민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는 국가개조까지 내걸었다. 하지만 달라진 게 거의 없다. 철도·화재·선박 대형 사고가 이어지고, 지진·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 때는 컨트롤타워까지 무너졌다. 그런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대선주자들이 나서야 한다. 다른 무엇보다 국가안전시스템부터 리셋하겠다고 약속해야 할 것이다. 그게 세월호 희생자들이 남긴 ‘안전 대한민국’의 교훈을 헛되게 하지 않는 일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