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aengmyeon dilemma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naengmyeon dilemma (KOR)

KIM HAN-BYUL
*The author is a head of the digital contents lab at JoongAng Ilbo.

On April 27, I had Pyongyang naengmyeon (cold noodles) for lunch. It was the day when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brought Pyongyang naengmyeon for the Panmunjom summit, and famous naengmyeon places in Seoul were packed with customers.

Some people in their 20s said that it was their first time trying Pyongyang naengmyeon. “It’s unique, but quite bland,” they said while adding vinegar, mustard and spices to the broth. I was a bit hesitant and wanted to say, “That’s not how you eat Pyongyang naengmyeon. It ruins the taste and aroma of buckwheat.” But I changed my mind and did not say it as I was reminded of my experience 11 years ago.

In June 2007, I was covering the first opening of the Naegumgang tour, the inner side of Mount Kumgang, in North Korea. I had Pyongyang naengmyeon at a restaurant, Pyongyang Okryugwan’s Mount Kumgang branch, and when I added vinegar, the server scolded me. He said that I had to lift the noodles and add vinegar, instead of putting it in the broth.

I had mixed feelings. They were certainly proud of the noodles, but did he need to meddle in how I ate them? Over the past few years, the so-called noodle-splain posts on social media gave me the same feeling.

“Noodles with low buckwheat content are fake.” “Noodles must not be cut with scissors or be eaten with steel chopsticks.” “It is ignorant to add vinegar, mustard or spices.” The naengmyeon doctrine is what some Pyongyang naengmyeon aficionados claim.

After enjoying the cold noodles for lunch, I looked at the noodles served in the dinner banquet. The noodles were very dark. They seemed different from not only the famous Pyongyang naengmyeon places in Seoul but also the Okryugwan dish I had in Mount Kumgang 11 years ago. Korea Chamber of Commerce Chairman Park Yong-sung, who attended the banquet, wrote on social media that the noodles were tougher than he thought.

Food is culture, and culture is a product of taste and reference. There is no unchanging truth or the correct answer. Times and people change, and the taste and proper way to eat a certain dish will also change. We can move to the future by protecting the tradition and embracing changes. It applies to generational issues and inter-Korean relations as well.

Before and after the summit on April 27, a credit card company reported that the card usage at 1,500 restaurants serving Pyongyang naengmyeon increased by 80 percent, and the increase of usage by those in their 20s was far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I welcome the excitement over Pyongyang naengmyeon, but in the South and in the North, we don’t need to tell others how to eat.

JoongAng Ilbo, May 4, Page 30

지난달 27일 점심 평양냉면을 먹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어렵사리 평양냉면을 가져왔다”고 해 화제가 됐던, 덩달아 서울의 유명 평양냉면집들이 북새통을 이뤘던 바로 그날이다.
동행 중에는 “평냉(평양냉면)은 생전 처음”이라는 20대들도 있었다. 그들은 “특이하긴 한데, 영 심심하다”며 육수에 식초⋅겨자와 다진양념을 풀어 먹었다. 그 모습을 보며 잠시 고민했다. ‘어, 평양냉면은 그렇게 먹으면 안 되는데. 메밀의 맛과 향이 죽을 텐데.’ 하지만 곧 생각을 고쳐먹었다. 11년 전 기억이 떠올라서다.
2007년 6월, 북한이 내금강 관광코스를 처음 열었을 때 취재를 갔다. 당시 금강산 옥류관(평양 옥류관의 분점)에서 평양냉면을 먹었는데 ‘남한식으로’ 식초를 넣다 직원에게 면박을 당했다. 그는 젓가락으로 면을 들어 올리고 식초를 쳐야지 육수에 식초를 넣으면 안 된다고 했다.
기분이 묘했다. ‘아무리 평양냉면 자부심이 높다 해도 먹는 법까지 일일이 간섭하는 건 너무하지 않나’ 싶었다. 몇해 전부터 SNS를 달구고 있는 소위 ‘면스플레인’(평양냉면에 대한 지식을 과시하는 태도, 남자[man]가 여자에게 잘난 체 설명하는[explain] 태도를 비꼬는 ‘맨스플레인’의 패러디) 논란을 지켜본 소감도 비슷했다.
‘메밀 함량이 낮은 것은 엉터리’라거나 ‘가위로 자르거나 쇠젓가락을 쓰면 안 된다’ ‘식초⋅겨자⋅다진양념을 넣는 건 무식한 짓’이라는 일부 평양냉면 애호가들의 주장은 또 다른 '냉면 교조주의'가 아닐까 생각했다.
20대들과 각자 ‘자기식으로’ 평양냉면을 즐긴 뒤 정상 만찬 테이블에 올라간 평양냉면을 유심히 살펴봤다. 면발이 칡냉면만큼 검었다. 서울의 유명 평양냉면집은 물론 11년 전 먹었던 금강산 옥류관 평양냉면과도 달라 보였다. 만찬에 참석했던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SNS에 “(서울의 평양냉면과 달리) 면이 생각보다 질겼다”는 글을 남겼다.
음식은 문화고, 문화는 기호와 취향의 산물이다. ‘불변의 진리’나 ‘정답’이 있을 수 없다. 시대가 변하고 사람이 달라지면 음식 맛과 먹는 방법도 달라지게 마련이다. 지킬 것은 지키되 변화를 받아들여야 미래를 모색할 수 있다. 냉면만의 얘기가 아니다. 세대 차이 문제도, 남북 관계도 마찬가지다.
정상회담 전후(지난달 27~29일) 모 신용카드사의 평양냉면 가맹점 1500곳 카드 사용량이 직전 4개 주보다 80% 늘었다고 한다. 특히 20대의 사용 증가율이 타 연령대를 압도했단다. 고무적이다. “한 문화권에서 같은 음식을 함께 먹는다는 것은 동일한 살과 피를 만드는”(주영하, 『한국인은 왜 이렇게 먹을까?』)법이니까. 평양냉면 신드롬을 환영한다. 하지만 북이든 남이든 ‘면스플레인’은 사절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