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rate the minimum wage(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Moderate the minimum wage(KOR)

Over three million small merchants across the country have joined forces to revolt against the government move to raise the minimum wage to 10,000 won ($9.4) by 2020. They announced that they would boycott the wage guidance for next year if further hikes are made.
The Korea Federation of Micro Enterprise said in a press conference on Thursday that merchants under the body will declare a self-moratorium on the state-set minimum wage and instead pay a rate based on separate wage agreements between employers and employees.

An association representing convenience store owners also held a press conference and announced that they won’t comply with further hikes in the minimum wage. They claimed they would rather go to prison for violating the rules than pay for unaffordable labor.
To be considered a small-scale merchant, manufacturing facilities must have 10 or less workers and service businesses must have five or less employees. Experts have warned that many small merchants won’t be able to afford the minimum wage. The Minimum Wage Commission estimates 2,661,000 workers have not been paid this year’s minimum wage. Employers reprimanded by authorities for breaking the minimum wage rule totaled 928 in the first half, up 43.7 percent from the same period a year ago.

The labor side nevertheless has demanded 10,790 won for next year’s minimum wage, a whopping 43.3 percent jump from this year’s level. At such a rate, the country would make the majority of small merchants criminals. Under the law, an employer who violates the minimum wage rule faces up to three years in prison or a maximum fine of 20 million won. It is ridiculous to make unreasonable laws and make criminals out of innocent citizens.

In order to not break the law, employers would have to reduce the jobs of 6 million workers employed with small-scale workplaces. Employment data has been worsening after the minimum wage was pulled up. The number of precarious workers — those hired temporarily or on a daily basis — fell by 247,000 in a year.

The government has so far remained steadfast, unwilling to own up to the harm this income-led growth policy has caused. But following the June job data that showed new jobs more than halved from a year ago, Deputy Prime Minister for economy Kim Dong-yeon said in Thursday’s cabinet meeting that the minimum wage hike had affected some industries and work of some ages. Hong Jong-haak, minister of SMEs and Startups, said ill effects from minimum wage have to come forward before a positive impact can be made.

Their evaluation must lead to real action to moderate the pace of raising wage levels. Workers are not the only weak parties the liberal government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Many of the small merchants fall under the low-income bracket. Yet they are responsible for one fifth of jobs for low-income workers. The state must not victimize them to prove a point on its experiment on income-led growth policy.

JoongAng Ilbo, July 13, Page 30

"나를 잡아가라"는 308만 소상공인들의 절규
"최저임금 못 맞춘다" 불복 선언 현실과 동떨어진 인상 속도에 영세 업주들 범법자로 몰릴 판

전국 308만 명 소상공인들이 들고 일어섰다. 또다시 최저임금을 대폭 올리려는 기류에 반발해서다. 이들은 내년 최저임금 기준을 따르지 않겠다는 ‘모라토리엄(지불 유예)’을 선언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어제 오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앞으로 소상공인 모라토리엄 운동을 진행하겠다”고 했다. 또 “내년도 최저임금과 관계없이 소상공인 사업장 사용주와 근로자 간에 (최저임금액을) 자율합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저임금위원회의 결정에 따르지 않겠다는 ‘불복 선언’이다.
편의점주들의 모임인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 역시 이날 오전 같은 장소에서 성명을 발표하고 “최저임금을 더 올리면 점주들은 범법자가 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앞으로 오를 금액만큼 줄 수 없다는 뜻이다. 이들은 “나를 잡아가라”고 외치기도 했다.
소상공인은 제조업의 경우 직원 10명 이하, 서비스업 5명 이하인 업체의 사업주다. 영세 자영업자가 많다. 이런 영세업체 상당수가 최저임금 기준을 지키지 못하리라는 건 예견됐던 일이다. 올해 들어 최저임금을 시간당 7530원으로 16.4%나 올릴 때부터 그랬다. 최저임금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최저임금만큼 받지 못하는 근로자가 266만1000명으로 추정된다. 올 상반기에 최저임금 기준을 어겼다가 근로감독에서 적발된 업체는 928곳으로, 전년(646곳)보다 43.7% 늘었다.
이런 가운데 노동계는 내년도 최저임금으로 올해보다 43.3% 오른 1만790원을 들고 나왔다. 이대로라면 법을 지키지 못할 영세 사업장이 산사태처럼 쏟아질 게 불 보듯 뻔하다. 최저임금 기준을 어기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는 범법자가 된다. 현실에 맞지 않는 기준을 만들고, 그래서 범법자를 양산한다는 건 말이 안 되는 일이다.
606만 명이 일하는 소상공업체들이 일자리를 줄이는 것 또한 걱정거리다. 최저임금 기준을 어겨 범법자가 되기 싫다면 직원을 내보낼 수밖에 없다. 실제 최저임금이 대폭 오른 올해 고용은 직격탄을 맞았다. 최저임금의 영향이 큰 임시·일용직 근로자는 최근 1년 새 24만7000명이 줄었다.
그럼에도 그간 정부는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에 대해 “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다행히 그런 인식이 조금 바뀐 듯하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어제 경제현안 간담회에서 “최저임금 인상이 일부 업종과 일부 연령층의 (고용 부진에) 관련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도 지난 11일 “생각했던 것보다 (최저임금 인상의) 부작용이 먼저 드러나고 있다”고 했다.
이젠 이런 인식 변화를 바탕으로 현실에 맞춰 최저임금 인상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 "최저임금도 못 줄 한계기업은 망해도 싸다"며 저주를 퍼부을 때가 아니다. 최저임금 적용 대상인 근로자들만 사회적 약자가 아니다. 수많은 영세 소상공인 또한 마찬가지다. 일자리의 5분의 1 이상을 책임지는 경제 주역이기도 하다. 이들을 범법자로 몰고, 멀쩡한 일자리마저 걷어차 버리는 어리석음을 되풀이해서야 되겠는가.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