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truction of community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Destruction of community

Two weeks have passed since the nightmarish artillery attack on Yeonpyeong Island. Some residents have returned to the island while others are still staying in public bathhouses. Others are staying with relatives in Incheon. The refugees miss their furniture and household goods, fishing nets, gardens and pets. They are unsure if they can go back to the times when they innocently chatted with neighbors. Some have returned to the island, only to go back to the mainland after fixing the most urgent damage. Their eyes are filled with tears as they board the ferry. They wonder if they can ever go back.

The unexpected attack destroyed the face of Yeonpyeong Island. Dozens of artillery shells missed the government buildings and knocked down some 30 houses in the middle of the island. Over 10 houses were partially destroyed. The once peaceful fishing village has become a ghost town, as the less than 200 residents, including those who have returned, tend to stay inside. As night falls, the island town is filled with eerie silence. And the silence is broken by noise from military machinery. However, the augmentation of military equipment is not enough to assure the residents from the fear of a strike, since the artillery shells fell from the sky unannounced.

What is the government doing for the refugees and victims? The citizens are curious about why the government has not restored the village immediately and how long the refugees will have to stay in the bathhouses. Out of fury and frustration, I made an inquiry to the authorities. Fortunately, the government has made plans to help the refugees. Destroyed houses are to be built from scratch while partially-damaged houses are going through repairs. Each resident will receive about 1 million won ($882) to cover living expenses for three months. They will also be provided with allowances for fuel and heating as well as necessities. The infrastructure will be restored, and temporary housing will be built. Educational assistance for children and students will be given out. The Special Law for the Five Islands of the West Sea is expected to be pa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soon, and it includes some major measures, such as special college admission.

And yet, the news about new bomb shelters and weapons augmentation is still not enough to assure the residents. Their sense of life was turned upside down and their fishing nets torn apart. Their sighs have put Yeonpyeong Island into a deep quagmire. However, a more dreadful consequence is the destruction of community.

Destruction of community is invisible and, therefore, cannot be compensated by government assistance. The irony of a disaster is that the victims have to go through a division of community as they receive the government compensation they deserve. In the aftermath of the oil leak in Taean Peninsula, the destroyed coast and fishing villages have now been barely restored, as there has been a clash over the amount and allocation of the government compensation.

The hawks and doves always clash over this sort of issue, and as the damage increases, the hardliners advocating maximum compensation tend to garner support. However, after a few months of dispute over the compensation amount comes the time when people face a gloomy future. As the town economy has collapsed and the kindhearted islanders have lost their sentiment, internal division has begun to hit the community.

-ellipsis-



악몽의 연평도 포격이 있은 지 벌써 두 주일이 지났다. 더러는 섬으로 돌아갔고 더러는 찜질방에 남았으며, 더러는 친척 집과 인천 등지를 헤매고 있다. 부서진 마음을 부둥켜안은 채, 남겨둔 세간 살이, 어장, 꽃게그물, 텃밭 작물, 매장물건, 강아지가 눈에 어른거린다. 무엇보다, 힘들 때마다 은근히 버티기를 부추겼던 추억들, 이웃과 나눈 정담과 불화, 마을 곳곳에 배인 훈훈한 옛이야기들이 언젠가 돌아갈 자신들을 다시 반기며 손을 흔들지 조바심이 난다. 궁금하다 못해 돌아온 주민들도 손 볼 것들을 대강 봐두고 황망히 뭍으로 떠난다. 고동을 울리는 연락선에서 그들의 눈은 흐려진다. 다시 돌아올 수 있으려나.

불시의 포격에 연평도의 외관은 붕괴됐다. 관공서를 살짝 비껴난 포탄 수십 발이 중앙에 밀집한 30채의 가옥을 박살냈고 산탄 수십 발이 10여 채를 부분 파손했다. 귀환한 사람을 다 합해도 200명 채 안 되는 주민들은 밤낮 집안에 틀어박혀 있기에 평화롭던 어촌은 이제 영락없는 유령촌이다. 인기척 없는 어촌의 적막은 어둠과 섞여 괴괴함으로 변한다. 그 괴괴함을 깨는 것은 급속히 증강된 군장비들의 기계음이다. 장비가 늘어난들 포탄은 불시에 하늘에서 쏟아지는 것이기에 우렁찬 기계음도 불안을 떨쳐주지 못한다. 이주 공고가 나붙은 을씨년스런 재개발지역, 꼭 그 꼴이 연평도의 모습이다.

정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왜 삶의 터전을 곧장 복구해주지 않는지, 찜질방 신세를 얼마나 더 져야 하는지, 국민들은 궁금하다. 분노가 살짝 치밀어 당국에 문의했다. 그나마 다행이었다. 그 정도라면 기대의 70% 정도는 충족할만했다. 완파가옥은 신축 예정, 반파가옥은 수리 중, 주민당 백만 원씩 석 달 생활비 지급, 유류비, 난방비, 생필품 지급, 마을 인프라 복구, 임시주택 완공, 청소년교육지원이 이달 20일부터 집행될 예정이고, 곧 의회를 통과할 ‘서해 5도 특별법’엔 자녀 대학특례입학을 포함해서 재정착에 필요한 획기적 조치들이 눈에 뜨인다.

그런데, 대피소 신축과 무기증강배치 계획이 알려져도 주민들의 불안한 마음은 가라앉지 않는다. 한번 뒤집힌 터전과 찢어진 그물에서 터져 나온 한숨이 해무(海霧)와 섞여 연평도를 깊은 수렁에 빠뜨린다. 그러나, 더 무서운 것이 기다리고 있다. ‘공동체의 붕괴’다.

공동체의 붕괴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기에 정부지원이나 보상의 대상이 아니다. 오히려 당연한 권리로 받아야 할 정부보상이 공동체의 균열을 낳는다는 이 ‘재난의 역설’을 다스리는 일은 고스란히 주민의 몫이다. 이제는 아스라해진 태안반도 기름유출사태, 그 불의의 재난으로 망가진 해안과 어촌의 외양은 어렵게 복구되었지만, 어촌은 예전의 그 어촌이 아니고, 주민들은 흉흉해진 민심으로 고달픈 나날이다. 정부보상금의 액수와 배분원칙을 둘러싸고 격돌을 치렀기 때문이다.

이런 일엔 언제나 강경파와 온건파가 대립하고, 피해가 클수록 보상 극대화를 주장하는 강경파가 득세한다. 그러나, 보상을 두고 다투던 몇 달이 지나면 앞날의 생계가 막막해지는 시간이 다가온다. 마을 경제가 손상되고 섬 특유의 투박하고 끈끈했던 인정이 훼손된 그 자리에 내부분열의 후유증이 번지기 시작한다.

-중략-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