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agic fate of Joseon wome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tragic fate of Joseon women



During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6, Qing soldiers from China were eager to capture Joseon (Korean) women to keep as concubines or sell for money. When Ganghwa Island fell to the Qing Army in January of 1637, the suffering of Joseon women reached its peak. To avoid the disgrace of getting raped by Qing soldiers, many women chose to commit suicide. In the midst of the chaos, noblemen even urged their mothers, wives and daughters to kill themselves.

Women who survived the Qing’s wrath were taken to Shenyang, where an even harsher fate awaited them. The generals’ wives were jealous of the Joseon women and tortured them with boiling water and other punishments.

Many women were lucky enough to be repatriated to their hometowns after a ransom was paid. But their joy was short-lived because they were stigmatized as spoiled. Married women from the noble class were not allowed to reunite with their husbands. In 1638, the 16th year of King Injo’s reign, two high-ranking officials, Jang Yu and Han I-gyeom, submitted separate appeals to the king asking for divorces for their sons. Jang pleaded with the king to let his son get a divorce because his family could not let his daughter-in-law, who had just returned from captivity in China, prepare food for ancestral memorial services. Han asked the king to stop his son-in-law from remarrying his daughter, who had also just returned from China.

The royal court’s opinion was divided. Some courtiers opposed a divorce, saying that if divorce was permitted in these two cases “no Joseon woman will want to return home, and many will die in a foreign land, resenting their fate.” But others insisted that divorce should be allowed, saying that the vows of marriage were broken because a wife who returned from China would have lost her chastity, even if she was taken against her will.

King Injo initially said that divorce should not be allowed. But support for divorce grew and in June 1638, the courtiers of the Ministry of Justice proposed a compromise. Both sides - those who wanted to be reunited with their husbands and those who wanted to divorce their wives - would be allowed to do as they wished. This ultimately made it legitimate for men of the noble class to repudiate women returning from China. The pain Joseon women had to suffer during the second Manchu invasion did not stop even after the war was over.

*The writer is a professor of history at Myongji University.

By Hahn Myeong-gi

'환향녀'(還鄕女)의 비극…장유의 며느리와 한이겸의 딸

병자호란 당시 청군은 조선 여성들을 사로잡으려 골몰했다. 특히 젊은 여성을 얻으면 첩으로 삼을 수도 있고, 매매해서 돈을 챙길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1637년 1월, 강화도가 청군에 의해 함락되었을 때 여성들이 겪어야 했던 비극은 극에 이르렀다. 많은 여성들이 청군의 능욕을 피해 자결을 선택했다. 노소를 막론하고 목을 매거나 칼로 스스로를 찌르고, 바다에 몸을 던지는 여인들이 잇따랐다. 그 과정에서 일부 사대부들이 자신의 어머니와 아내, 혹은 딸과 며느리에게 자결을 독촉하는 처참한 장면도 빚어졌다.

살아서 포로가 된 여인들은 심양으로 연행되었다. 끌려가는 도중 많은 여성들이 청군 장수들의 첩으로 전락했다. 심양에 도착한 뒤에는 더 처참한 고통이 기다리고 있었다. 자신의 남편이 첩을 데려온 것을 질투했던 만주인 본처들 중에는 조선 여성에게 끓는 물을 퍼부었던 자도 있었다.

포로가 된 여성들 중에는 몸값을 치르고 속환(贖還)되는 행운을 누렸던 사람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귀환의 기쁨도 잠시 뿐, 그녀들에게는 환향녀(還鄕女)라는 꼬리표가 붙었다. 특히 사대부가 유부녀들의 경우, ‘정절을 잃었으므로 본래의 남편과 재결합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분위기 때문에 고통을 겪어야 했다.

1638년(인조 16) 3월, 부원군 장유(張維)와 전 승지 한이겸(韓履謙)은 조정에 각각 호소문을 올렸다. 장유는 "며느리가 속환되어 왔는데 조상의 제사를 차마 받들 수 없으니 외아들이 이혼할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이겸은 "딸이 속환되어 왔는데 사위가 딸을 버리고 새 장가를 들려고 하니 그것을 막아 달라"고 호소했다. 상반된 호소 앞에서 조정의 논의는 갈라졌다. 일부에서는 "이혼을 허락하면 속환을 원하는 사람이 없어지고 수많은 여성들이 이역의 원귀(寃鬼)가 될 것"이라며 반대했다. 하지만 상당수 신료들은 "잡혀간 것이 본심은 아니지만 이미 정절을 잃어 대의가 끊겼으니 억지로 결합하게 할 수 없다"며 이혼을 허용하라고 촉구했다.

인조는 처음에는 이혼을 허락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날이 갈수록 대간을 중심으로 이혼을 허락하라는 공세가 거세졌다. 1638년 6월, 예조의 신료들은 절충안을 내놓았다. ‘재결합을 원하는 사람과 이혼을 원하는 사람 모두 소원대로 해 주자’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그것은 사대부 집안에서 환향녀 출신 며느리를 내치는 것을 합법화 해 주는 조처였다. 결국 수많은 환향녀들이 버림을 받는 비극이 속출했다. 병자호란 당시 여성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은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결코 끝나지 않았던 것이다.

한명기 명지대교수·한국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