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ping for an end to the days of scandal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Hoping for an end to the days of scandal



In the eigh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897), Defense Minister Jo Mal-saeng, together with other senior officials, was impeached by Saheonbu, the royal officer of audit and inspection, on bribery charges. They were indicted for accepting slaves as bribes in return for helping with a lawsuit between civilians over slaves, and they were exiled to remote areas.

In the written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many officials were punished on graft charges. The fall of the Joseon Dynasty was hastened because of rampant graft and trafficking in government positions, in addition to power struggles among royal family members.

In human history, there has never been a period that was without the problem of bribery, though the dividing line between a bribe and a present has changed from time to time. The Chinese word for bribe consists of two characters - one meaning “clamshell” and another meaning “individual.” In other words, it was goods exchanged on an individual basis. In the old days when clamshells were used as currency, bribes were exchanged as personal presents.

The military-backed governments of Chun Doo Hwan and Roh Tae-woo collected hundreds of billions of won under the pretext of “raising funds for ruling the country.” When former President Kim Young-sam was in power, corruption scandals such as the Hanbo scandal and a graft case involving the National Tax Service broke out. Before then, the recipient of a bribe had been free from responsibility and it was only the donor who was held responsible for the crime.

When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was in power, there were four corruption scandals - involving Lee Yong-ho, Jin Seung-hyeon, Yoon Tae-sik and Choi Gyu-seon. Since then, the main players in graft scandals have gone from running big-businesslike bribe operations to running ones more comparable t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at was followed by “Park Yeon-cha gate” under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In that scandal, the positions of the recipient and donor changed because the donor used a list of bribe recipients to pressure them into staying silent. The bribe amounts were smaller in comparison to the astronomically large bribes of the past, while the recipient list got much longer, because they had to keep covering their tracks.

There have been so many scandals it is hard to keep track. But when will the days of scandal come to an end?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o Dae-hoon

게이트의 진화

조선시대 세종 8년(1426년)에 우의정 조연, 곡산부원군 연사종과 함께 병조판서 조말생이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 죄목은 장오죄(贓汚罪). 관리가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 부정하게 이익을 취하는 범죄, 오늘날의 뇌물수수죄에 해당한다. 민간의 노비소송을 몰래 거들어주고 노비를 뇌물로 받은 혐의였다. 결국 이들은 귀양을 떠나야 했다. 조선시대 기록에는 장오죄로 처벌당한 관리들의 이름이 수두룩하게 등장한다. '관물을 도둑질한 자'라는 뜻으로 '도관물(盜官物) '이란 낙인을 새긴 경우도 있다. 조선 후기에는 세도정치가 강화되고 매관매직과 뇌물이 성행하면서 조선의 패망을 앞당겼다는 분석이 있다.

동서고금을 떠나 뇌물이 없던 시기는 없다. 뇌물과 선물의 경계선이 시대 사정에 따라 달랐지만 말이다. 한자 '뇌물 뇌(賂)'는 조개 패(貝) 에 '각기 각(各)' 을 결합해 만든 조어로 개별적으로 유통되는 재화란 뜻이다. 조개껍질이 화폐로 통용되던 시절 사적으로 주고받는 선물이었다. 이집트 왕조에선 뇌물을 '공정한 재판을 왜곡하는 선물'이라며 단속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뇌물을 매개로 한 권력형 부패를 '게이트'라고 지칭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전두환·노태우 정권 때 기업에게서 수천억원씩 챙겨 '통치자금' 명목으로 끌어모았다. 김영삼 정부 땐 한보비리·세풍(稅風) 사건이 있었지만 '불법 비자금 조성 사건'으로 불렸다.이 때만해도 돈 받는 사람이 갑(甲)이었고, 주는 사람이 을(乙)이었다. 권력을 쥔 사람들이 정말 힘이 셌던 시절이다.

김대중 정부 시절 '이용호·진승현·윤태식·최규선 4대 게이트'가 터지면서 '게이트 시대'가 본격 열렸다. 이 때부터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이 주인공으로 등장한 점이 과거와 달랐다. 이런 현상은 노무현 정부 때 '박연차 게이트'로 이어졌다. 갑과 을의 입장도 바뀌었다. 돈 준 사람이 자신의 보호 수단으로 뇌물을 받은 사람의 명단, 즉 '리스트'를 가지고 무언의 압력을 가했다. 뇌물의 액수도 예전의 천문학적 액수에 비하면 그리 많지도 않다. 반대로 리스트는 길어졌다. 한 사람의 무소불위 권력이 모든 문제를 풀던 시절은 지나갔다. 사방에 '기름칠'을 하느라 로비의 대상이 늘어난 것이다. 이번엔 '함바 게이트'에 떨고 있단다. 돈의 불을 찾아 헤메던 부나비들 말이다. 게이트가 진화하면서 우리 사회가 조금씩 투명해지고 있다는 점은 다소 위안이 된다.

고대훈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