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p obsession to group distortio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Group obsession to group distortion



These days, a person who has an obsessive interest in a television drama is called a dejected person.

A typical example is a person who was hooked on “Secret Garden,” a popular TV drama that ended last week. Sometimes, they attach the suffix “ari,” which implies a form of illness. It may originate from a situation where a person falls ill because he is infatuated with the heroine of a drama. Named after the main figures in the story they are hooked on, such infatuations are called Joo-won-ari or Ra-im-ari.

Japan has a similar expression for such a person: Otaku is someone who shuts oneself inside and is immersed in something. They are an expert in a particular field, but excessive interest in one subject makes them maniacs. It is a demonstration of social disorganization.

While Korean-style dejection is a group phenomenon, otaku can be understood as an individual concept because they close themselves off from the outside world.

Group obsession that results in social dejection and psychological ailment has deep roots in this part of the world.

According to a chapter on the eastern states of China in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 an authoritative Chinese historical text for the period 189-280 A.D. - people gathered at the centre of the country, drank alcoholic beverages and enjoyed themselves by singing and dancing for days and nights on end during a harvest ceremony in the Buyeo kingdom called yeonggo.

Perhaps the soccer mania that swept through the country during the 2002 World Cup originated from the DNA we inherited from our Buyeo kingdom ancestors. Even if the resentments had piled up, they all melted away as if snow melted in the spring.

Group obsession sometimes exerts enormous dynamic power.

It had a hand in “The Miracle on the Han” and was evident in the famous “gold-collection campaign” during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1997.

But it also has the danger of misleading people to dejection.

Louis Vuitton handbags hanging on the shoulders of almost all Korean women, private education fever and real estate speculation all share origins.

The rampaging populist proposals in politics also rely on such group distortion.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Park Jong-kwon

폐인과 앓이

폐인(廢人)의 사전적 의미는 첫째, 병 따위로 몸을 망친 사람이다. 비인(非人)이라고도 한다. 둘째, 쓸모 없이 돼버린 사람이다. 비슷한 말은 기인(棄人)이다. 그런데 요즘은 TV드라마에 푹 빠진 사람을 일컬어 ‘폐인’이라 한다. 최근 끝난 드라마 ‘시크릿 가든’의 ‘시가 폐인’이 대표적이다. ‘앓이’는 병(病)인데, 아마도 주인공에 몰입돼 끙끙 앓는 모습에서 비롯되지 않았을까 싶다. 주인공 이름을 붙여 ‘주원앓이’ ‘라임앓이’다.

일본은 ‘오타쿠’다. 집에 틀어박혀 좋아하는 분야에 몰입한다. 전문가 경지에 오른 매니어로, 해체 사회의 단면이다. ‘폐인’이 집단적 현상이라면, ‘오타쿠’는 상대적으로 개별적이라 할까. 주인공과 같은 옷차림의 ‘코스프레’는 ‘앓이’의 적극적인 외적 표현일 것이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한·일의 대중문화 수용 양식이다.

‘폐인’과 ‘앓이’에서 나타나는 집단 몰입은 뿌리가 깊다. 삼국지위지동이전(三國志魏志東夷傳)은 ‘국중대회연일음식가무(國中大會連日飮食歌舞)’라 전한다. 제천의식 영고(迎鼓)를 묘사한 것인데, ‘나라 가운데 크게 모여 연일 마시고 먹고 노래하고 춤춘다’는 뜻이다. 모여도 크게 모이고, 놀아도 질펀하게 논다. 2002년 월드컵 때 전국에 넘실대던 붉은 물결도 이런 DNA가 바탕일 터다. ‘앓이’는 한(恨)에 닿아 있다. 아픔까지도 노래와 춤사위로 승화시키는 한(恨)민족이 아닌가. 서리서리 맺혀도 봄눈 녹듯 풀린다.

최근의 ‘폐인’과 ‘앓이’ 신드롬은 ‘이모 팬’이 주도한다고 한다. ‘욘사마’에 기절하는 일본 중년 여성들이 낯설었는데, 어느새 우리도 같은 현상이란다. 차이가 있다면, 극본까지 ‘해피엔딩’으로 고치는 천하무적 아줌마 파워다.

집단 몰입은 때로 엄청난 역동성을 발휘한다. 한강의 기적, IMF 외환위기 때 금 모으기의 저류(底流)다. 하지만 자칫 ‘집단 쏠림’으로도 흐른다. 여성의 어깨를 통일한 ‘루이뷔통’ 가방, ‘대전(대치동 전세) 부르스’라는 사교육 열풍, 숨죽여 기다리는 부동산 광풍이 같은 뿌리다. 정치권의 포퓰리즘은 이런 집단 쏠림에 기댄 것이다. 포장된 허상(虛像)이 진짜로 행세하는 거다.

드라마 ‘폐인’과 ‘앓이’는 ‘이모 팬’에게 ‘동일시’와 ‘투사(投射)’란 심리적 자아방어기제다. 그러면 ‘외도남(외로운 도시 남자)’은 뭔가. 차제에 ‘뉴스 폐인’과 ‘칼럼 앓이’는 어떤가. 정의와 자비의 물결에 물 한 방울 보태는 심정으로라도.

박종권 논설위원·선임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