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irty turf wa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dirty turf war



More than half of the 947 lawyers-to-be who passed the national bar exam chose not to show up on the opening day of the mandatory two-year training institute.

The future judges, prosecutors and lawyers staged an unprecedented boycott of the training program to protest the Ministry of Justice’s recent decision to employ law school graduates as prosecutors. Some trainees held banners demanding the withdrawal of the decision in front of a podium at the training institute’s opening ceremony.

It is regrettable to witness our country’s future law practitioners resorting to such collective action for self-serving purposes.

Judicial trainees are de facto public servants. Under current judicial law, those who pass the national bar examination are required to undergo a two-year training period, which includes an internship program, at the Judicial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under the auspices of the Supreme Court in order to obtain the qualification to become a judge, prosecutor or lawyer.

No matter the reason, public officials should not stage protest rallies and collective action. The trainees who started the training period last year also issued a statement condemning the ministry’s decision to hire law school graduates for prosecutor positions.

Such a clash was foreseen because of a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the conventional system - the national bar exam - and the new system - law schools.

The government in 2007 passed a law to create American-style three-year law schools to diversify the pool of lawyers and improve the selectiveness and introverted nature of the judicial circle, which stems from the single bar exam system of selecting legal professionals. The government plans to gradually scrap the old bar exam.

The Justice Ministry, speaking for the prosecutors’ office, said candidates for state prosecutor positions will be selected among the top students from law schools. The district courts are also considering hiring law clerks from among top graduates.

Lawyers have also joined the fight, fearing they will lose access to the best law school students to courts and prosecutors. The Justice Ministry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sparking the conflict through a half-baked idea.

The nation’s judiciary circles should put their heads together to come up with a mutually beneficial solution for all parties involved to put an end to the feud.

사법연수생 집단행동과 법조 조직 이기주의

사법연수원의 입소식이 연수생 집단 불참으로 파행을 겪는 초유의 일이 벌어졌다. 어제 입소 예정인 42기 사법연수생 947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법무부의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졸업생 검사 임용 방침에 반발해 입소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일부 연수생은 입소식이 열린 연수원 대강당 연단 앞에서 ‘로스쿨 검사 임용방안 철회’라고 적힌 현수막을 들고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법을 수호해야 할 예비 법조인들이 항의 수단으로 집단행동 행태를 보였다는 점에서 일단 유감스럽다.

사업연수생은 법원조직법상 별정직 공무원이다. 따라서 이유야 어찌됐든 집단행동을 벌이는 것은 공무원이 취할 적법한 자세가 아니다. 더욱이 법에 근거해 냉철한 판단을 내리는 것을 업(業)으로 삼게 될 예비 판사·검사·변호사들이 무턱대고 집단행동에 나선 것은 법치주의를 외면하는 잘못된 행위다. 법원·검찰 시보로 근무중인 41기 연수생들이 어제 “로스쿨생 검사 사전 선발은 현대판 음서(蔭敍)제”라는 내용의 반대 성명을 공개적으로 발표한 것도 부적절하다고 본다.

이번 소동은 새로 도입된 로스쿨이 사법연수원과 공존하는 과도기적 상황에서 인력 배분 문제에 대한 제도가 불비(不備)한 탓이 크다. 로스쿨 졸업생의 판·검사 임용 기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마련되지 않은 데서 비롯됐다. 검찰의 입장을 대변하는 법무부는 로스쿨 성적우수자 중 추천을 받아 검사를 선발하겠다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한다. 법원도 로스쿨 졸업생 중에서 우수 인력을 법률연구원(로클럭)으로 활용하는 제도를 도입할 계획이다. 입도선매(立稻先賣)식으로 인재를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검사의 경우, 전국 25개 로스쿨에서 2명씩만 특채한다고 해도 연간 200명대의 검사 임용대상자 가운데 50여명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그만큼 불이익을 받게 될 사법연수원생 출신자들은 반발하고 있다. 수수방관하다가는 우수 인력을 법원과 검찰에 다 빼앗길 것이라는 우려 속에 변호사단체들까지 가세한 형국이다.

법조인 충원 문제를 조직의 이해관계에 따라 임기응변 식으로 접근해선 분란만 키울 뿐이다. 한정된 파이를 놓고 법조 3륜이 밥그릇 싸움을 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로스쿨 정착에 책임을 져야 할 법무부가 앞장서 설익은 정책을 내놓음으로써 혼선을 가중시킨 데는 그 책임이 크다. 로스쿨 법조인 시대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안을 마련하는데 법조계는 머리를 맞대길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