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ongyang’s breach of confidentiality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yongyang’s breach of confidentiality



The term “summit” was first used in the 1950s at the height of the Cold War era. When the U.S. president met with Soviet and Chinese leaders, the American media called the events a “summit.” The meetings between the leaders of the Western and Eastern bloc during that fierce confrontation must have been like two high peaks sitting face to face.

Meetings between heads of state are now a common event, but they were very rare before the 1940s. A round-trip voyag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ook 10 days, making such meetings difficult. However, summit meetings became more frequent when passenger jets reduced the cross-Atlantic journey to a half day.

Among the countless summit meetings, the most impressive and significant one may be the U.S.-China summit between Richard Nixon and Mao Zedong in 1972. It marked an easing of Cold War tensions and signaled the era of detente. Just as all stories go, the great event had a humble beginning. In 1971, American table tennis player Glenn Cowan missed the team bus while in Nagoya during the World Table Tennis Championship. A Chinese player named Zhuang Zedong invited him to get on the Chinese bus, and the two athletes became close and took a picture together.

In China, contacting an American citizen was subject to punishment at the time. However, when Mao Zedong learned about the photograph and the circumstances, he invited the American table tennis team to China, signaling the beginning of “Ping Pong diplomacy.” Once the breakthrough in the Sino-American exchange occurred, more serious contacts were made behind the scene. President Nixon sent National Security Advisor Henry Kissinger as his secret messenger. Kissinger first went to Pakistan and excused himself from the official meetings by faking a headache. He shook off his guards and boarded a special plane to Beijing, arranging the historic U.S.-China summit.

Strict diplomatic confidentiality is especially crucial to make a summit possible and to ensure liberal discussion and negotiation. The two inter-Korean summit meetings were preceded by the dispatch of secret envoys.

The historic first inter-Korean summit was held eleven years ago. But Pyongyang is now threatening to disclose confidential conversations held in relation to an inter-Korean summit last month. Regardless of the content of the discussion, Pyongyang is crossing the line.

*The writer is a senior international affair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By Nam Jeong-ho

핑퐁 정상회담

‘정상회담 (Summit)’이란 말이 등장한 건 냉전이 한창이던 1950년대였다. 당시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중국 최고지도자들과 독대하자 미 언론들은 정상회담이라 불렀다. 치열하게 대치했던 동서 진영 리더간 만남이 거봉(巨峰)들의 대좌(對座) 마냥 보였던 모양이다.

이젠 정상간 만남이 일상사가 됐지만 40년대 전만해도 흔치 않았다. 유럽과 미국을 오가려면 왕복 10일간의 뱃길을 견뎌야 했던 탓이다. 하나 2차대전이 터지자 사정이 확 달라졌다. 루스벨트 미 대통령과 처칠 영국 총리, 스탈린 소련 서기장 등 다급해진 연합군 지도자들은 수만 리를 마다 않고 만났다. 게다가 한나절에 대서양을 건너는 민항기까지 나와 정상간 회담은 빈번해진 것이다.

이후 수많은 정상회담이 열렸지만 백미(白眉)는 72년 닉슨-마오쩌둥(毛澤東·모택동) 간 미·중 정상회담이다. 냉전의 종언과 함께 데탕트 시대를 연 게 이 회담이었다. 늘 그렇듯 이 창대한 사건도 그 출발은 미약했다. 71년 일본 나고야 세계탁구대회에 참가했던 미국 선수 클랜 코완은 대표단 버스를 놓친다. 이를 본 중국 선수 좡쩌둥(莊則棟)은 그를 중국대표단 버스에 태워준다. 자연스레 둘은 친해졌고 사진도 같이 찍었다. 당시 중국에선 미국인과의 접촉은 처벌감이었다. 그러나 사진과 함께 자초지종을 보고받은 마오는 통크게 미 탁구대표단을 중국으로 초청한다. ‘핑퐁외교’의 서막이었다. 교류의 물꼬가 터지지 막후에선 더 큰 일이 진행됐다. 당시 닉슨 대통령은 키신저 국무장관을 밀사로 보낸다. 키신저는 일단 파키스탄으로 간 뒤 두통을 핑계로 경호원까지 따돌린 채 공식석상에서 빠져 나온다. 그리곤 몰래 특별기를 타고 베이징에 입성, 역사적인 미·중 정상회담을 이뤄낸다.

이렇듯 특별한 만남을 위한 극비의 사전접촉은 늘 있어왔다. 고대로마도 외적의 침략을 피하기 위해 비밀협상을 했다. 두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 때도 밀사가 파견됐었다. 평소에도 그렇지만 이런 상황에선 더욱 ‘외교적 비밀주의’가 철칙이다. 그래야 자유스런 논의와 타협이 가능한 까닭이다.

11년 전 오늘은 역사적인 첫 남북 정상회담이 시작된 날이다. 이런 시점에도 북한은 지난달 남북한 비밀접촉 때의 대화를 공개하겠다고 난리다. 내용이야 어떻든 금도를 넘는 일이다. 아무리 전쟁 중이라도 “전령은 쏘지 말라(don’t shoot the messenger)”는 게 동서고금의 검증된 지혜 아닌가.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