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and the banality of evil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Korea and the banality of evil



In December, 1961, Adolf Otto Eichmann stood trial for crimes against humanity and war crimes in Jerusalem. Eichmann was one of the primary organizers of the Holocaust during World War II. He lived under a false identity in Argentina until he was captured by Israeli intelligence Mossad operatives and transported to Jerusalem.

Hanna Arendt, a German-born Jewish political theorist, reported on the trial in an article that eventually became the book, “Eichmann in Jerusalem: A Report on the Banality of Evil” (1963). In it, Arendt argued that the root of Eichmann’s crimes against humanity was related to his lack of judgment in following orders without thinking critically about his actions, describing it as the “banality of evil.” It was a shocking conclusion.

What makes a criminal a criminal may be related to DNA. A compulsion toward antisocial behavior combined with expansive delusion could drive an ordinary man to commit the most inhumane crimes. Sigmund Freud once said a criminal may be as dangerous as a child who wields unchecked power, because both lack control over their feelings. If ethnic, religious or cultural discord is involved, rejection of the criminal may develop into madness.

On September 18, 1982, people around the world were shocked by the Sabra and Shatila massacre in Beirut, Lebanon. Under the tacit approval of Israel during the invasion of Lebanon, a pro-Israeli Christian-Lebanese militia killed over 2,000 Palestinians in a refugee camp.

Although the Jews were the victims of Hitler’s ethnic cleansing, the fact that the Jews neglected the mass killings of Palestinians has shown that madness can make human nature take a sudden turn.

The massacre in Norway committed by a 32-year-old Christian fundamentalist has put the criminal psyche on display. The perpetrator of the Norway attacks had the delusion that he would become the “greatest monster ever.” He went on a hunt for people without remorse. He also rejected strangers and felt anger against Islam. It is frightening that the mass murderer has claimed that Korea and Japan are the countries that best preserve cultural conservatism and nationalism, and should be taken as a role model for Europe. The tragedy in Norway raises serious questions for Korean society, where religious discord and racism are surfacing with increasing, and frightening, frequency.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o Dae-hoon

광기(狂氣)

1961년 12월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2차 세계대전 중 홀로코스트(유대인 대학살)의 실무 총책임자였던 아돌프 아이히만(1906~62)에 대한 전범 재판이 열렸다. 그는 아르헨티나으로 도망가 숨어지내다 이스라엘 비밀경찰 모사드에게 체포돼 이송됐다. 독일 태생의 유대인 철학자 한나 아렌트(Hanna Arendt,1906~75)는 재판에 참관했다. 그리고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이란 책을 썼다. '인간의 탈을 쓴 악마'를 기대했던 사람들에게 그 내용은 충격이었다. 아렌트는 "학살 명령을 아무런 생각 없이 수행한 사고력 결여(缺如)가 반인륜적 범죄의 원인"이라며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을 주장했다.

끔찍한 범죄는 사이코패스만 저지르는 게 아니다. 범죄자로서 타고난 유전자가 따로 있는 것도 아니다. 반사회적 충동과 과대망상증이 결합하면 무슨 일이든 가능하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범죄자를 '권력을 쥔 아이'에 비유했다. 철저히 주관적이고 자기 감정을 주체 못하는 아이가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는 위험한 상황을 상정하라는 뜻이다. 여기에 '이방인 배척'이라는 인종적·종교적·문화적 갈등이 개입하면 광기(狂氣)의 범죄로 발전한다.

82년 9월18일 온 세계는 소름끼치는 뉴스에 전율했다.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대학살이 자행됐다. 레바논을 침공한 이스라엘의 묵인 아래 친이스라엘계 기독교 민병대가 난민수용소에서 머물던 팔레스타인 부녀자 2000여 명을 몰살시켰다. 유대인은 히틀러의 배타적 인종주의의 희생양이었다. 그런 유대인이 팔레스타인 학살을 방관했다는 역사적 사실은 광기가 사람의 심성을 돌변시킬 수 있음을 보여줬다.

32세 원리주의자가 저지른 노르웨이 대학살에는 범죄적 심리가 한데 버무려져 있다. "가장 위대한 괴물이 될 것"이라는 과대망상, 죄책감 없이 인간 사냥을 하는 사고력 결여, 이슬람에 대한 이방인 배척 심리가 뒤섞여 있다. 이런 희대의 살인마가 "한국과 일본이 문화적 보수주의와 민족주의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나라"라며 유럽의 롤 모델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니 섬뜩하다. 노르웨이의 비극은 최근 잦아지는 종교간 갈등과 다문화 사회에 대한 반감을 일부 드러내는 우리 사회에도 심각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고대훈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