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ter communication needed
Published: 27 Dec. 2011, 19:32
In the meeting, both sides agreed that stabil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maintain peace in the region, and they consented to strengthen strategic communication between Seoul and Beijing. The agreement is part of an effort to make another step toward a more mature relationship before the 20th anniversary in 2012 of their diplomatic relationship. South Korea’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said that there was no disagreement on the need to increas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when necessary.
Immediately after the news about Kim Jong-il’s death, President Lee Myung-bak had telephone conversations with heads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Russia - three major power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 but not with his Chinese counterpart, Hu Jintao, who is a pivotal player in the affairs of the peninsula.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decision to augment strategic communication with China looks like a reflection of a lot of public concern and criticism. The two countries’ bilateral relations were elevated to a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in 2008, 16 years after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ties. A controversy over the lack of effectiv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two heads of state, however, is clear evidence that both sides have a long way to go until they reach the strategic partnership level as proudly declared three years ago.
No one denies the significance of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particularly in the post-Kim era. At the moment, it seems that China is helping spearhead the effort to stabilize the nascent Kim Jong-un regime with the rest of the major powers going along with it. But that should not only mean that China support North Korea blindly. More important is the country’s ability to lead its rouge client state into a better future. Communication between Seoul and Beijing should be concentrated on that idea.
한국과 중국이 어제 서울에서 제4차 외교차관급 전략대화를 개최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양국 정부의 고위급 인사가 머리를 맞대고 한반도 정세와 양국간 현안 전반에 대해 대화를 나눈 것은 처음이다. 비록 매년 한 차례씩 열리는 전략대화의 일환이긴 하지만 김 위원장 영결식을 하루 앞둔 미묘한 시기에 한국과 중국 고위 관리가 포스트 김정일 시대의 한반도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는 자체로 의미가 작지 않다고 본다. 회담에서 양측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유지가 가장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서울과 베이징간 전략적 소통을 강화키로 합의했다. 2012년 한·중 수교 20주년을 맞아 양국 관계가 보다 성숙하고 모범적인 관계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모든 분야에서 전략적 소통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는 것이다.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긴밀하게 소통한다는 데 전혀 이견이 없었다는 게 외교부측 설명이다. 김 위원장 사망 소식이 알려진 직후 이명박 대통령은 주변 4강 중 미·일·러 정상과는 통화를 했지만 중국의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과는 통화를 못했다. 전략적 소통을 강화키로 한 것은 이에 대한 국내 여론의 우려와 비판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양국 관계는 2008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격상됐다. 정상간 통화 여부가 논란이 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양국이 아직 실질적인 전략적 동반자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다. 말로만 전략적 소통을 외쳐서는 소용이 없다. 알맹이를 채우는 일이 중요하다. 포스트 김정일 시대를 맞아 무엇보다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중요하다는 데 반대할 나라는 없을 것이다. 주변 4강 중 중국이 가장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김정은 체제의 안정화에 역점을 두고 있고, 나머지 나라들도 이에 동조하고 있는 형국이다. 그러나 그것이 무조건 북한을 자극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포스트 김정일 시대의 북한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한국과 주변국들이 힘과 지혜와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 한·중의 전략적 소통도 이 방향에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