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ge brain drain spells disaste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ollege brain drain spells disaster

Two recent high-profile cases of college applicants attempting to switch courses — and career trajectories — before officially enrolling at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schools highlight the ever-deepening crisis these colleges face in Korea today. In the first, the youngest high school student ever to pass Seoul National University’s early admission test decided not to go to the prestigious school’s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college after he was subsequently accepted to a dental college at another university — paving the way for a legal battle. In the second, the parents of a high school student who passed the same test for the same college protested when SNU obstructed her move to a medical school. However, this is not a new trend. Several years ago, a student who graduated with honors from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ade headlines by transferring to a medical school elsewhere.

This is creating a veritable brain drain and a shortage of students heading for pillar industries related to science and engineering. In fact, the high scores required for admittance to medical schools testify to their soaring popularity, while engineering courses are increasingly being viewed as a less lucrative insurance plan for those who fail to make the grade. The young SNU student even came out and said he wanted to ditch the course to ensure a “better future” for himself, while the Postech student said that “a graduate with a doctorate degree in engineering must worry about facing an uncertain future” due to the difficult job market.

As such, more needs to be done to rebalance the nation’s concentration of talent. Medical science is a high value-added discipline that should be considered a mainstay of the nation’s future economy, while a brain drain in engineering threatens to undermine the nation’s manufacturing sector.

The sector faces several daunting challenges, such a lack of creativity and rising competition from China. Parents may join the list as another hurdle to overcome, as even Hwang Chang-gyu, the former president of Samsung Electronics, admitted he had resisted his parents’ wishes that he attend medical school by applying for SNU’s electrical engineering department. But the socalled miracle performed by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figures like Hwang, dubbed “Mr. Semiconductor,” and other top-caliber students from past decades. As such, keeping these sectors well-stocked with talent must be seen as a more pressing concern than chasing Nobel Prizes.


2012학년도 서울대 수시모집에 최연소 합격한 과학영재가 이공계 학과를 포기하고 다른 대학 치대에 진학했다. 서울대 이공계에 수시합격한 또 다른 학생의 학부모는 자식을 의대에 보내겠다며 합격을 취소해달라는 시위를 벌였다. 이공계 위기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다.
물론 이공계 기피는 오래된 숙제다. 몇 년 전에는 포스텍의 수석 졸업자가 의대에 편입하는 바람에 큰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다. 지방 의대 입학생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 점수가 서울 명문대 이공계 입학생의 점수보다 높은 지도 한참 됐다. 그럴 때마다 늘 이공계 위기론이 대두됐지만 이공계 기피 현상은 조금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번에도 최연소 합격생은 “더 안정적 미래를 택한다”며 치대로 갔다. 수년 전 포스텍 졸업생이 “이공계 박사 학위를 따고 미래를 걱정해야 하는 현실이 답답해서 의대 간다”고 한 것과 판박이다.
그렇다고 의대가 이공계보다 덜 중요하다는 건 아니다. 의료는 고부가가치 서비스다. 바이오 등 의료산업은 미래의 먹거리 산업이다. 유능한 인재들이 많이 몰려야 한다. 다만 의대 쏠림 현상이 지나치다는 게 문제다. 자칫 제조업 중심의 국가발전 토대가 무너질까 우려된다.
그렇지 않아도 한국 제조업은 위기다. 중국의 추격이 맹렬한데다 이를 타개할 창의적 혁신은 태부족이다. 과학 기술에 기초한 제조업의 혁신이 시급하다는 얘기다. 그러려면 우수 인재들이 이공계에 많이 진학해야 한다. ‘미스터 반도체’로 불리는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은 과거 “의대에 가라는 가족의 권유를 뿌리치고 전기공학과를 택했다”고 술회한 적이 있다. 한국 제조업의 신화가 가능했던 것도 황 사장처럼 우수한 인재들이 1960~70년대 이공계에 대거 진학한 덕분이 크다.
의대에 진학하는 젊은이들의 도전 정신 부족을 탓할 일도 아니다. 그런 사회 구조를 만든 건 기성세대들이다. 청년들이 이공계 진학을 선호할 만한 환경을 만드는 게 시급하다. 말로만 하지 말고 정말 실천해야 한다. 노벨 과학상보다 ‘이공계 하기 좋은 환경’만드는 게 더 급선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