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and the Kaesong complex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Expand the Kaesong complex

Despite the stalemat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production and the number of North Korean workers at Kaesong Industrial Complex have risen consistently since 2010. According to the latest 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Unification, the special economic zone in the North has produced $369.86 million worth of goods from January through November last year, a whopping 25.7 percent increase over the same period in 2010.
The number of Northern workers hired in the complex increased by 2,424 to 48,708 as of last November. Pyongyang reportedly plans to put about 400 new workers in the complex later this month in an attempt to implement its manpower reinforcement plan that was put off after the death of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last December. The solid maintenance of the complex serves as strong evidence of its ability to sustain itself even in times of crisis.
No doubt the vitality of the complex comes from mutual benefits: the cash-starved North earns foreign currency in return for its workers’ labor, while the South produces competitive products by taking advantage of low labor costs. The complex could have expanded much further had bilateral relations not been strained.
That prospect bodes well for future relations between Seoul and Pyongyang, as the complex proves the effectiveness of an economic cooperation model that can function as a safety net amid the deterioration of bilateral relations. Lim Eul-chul, a professor of North Korean studies at Kyungnam University, said that it demonstrates Pyongyang’s pragmatic approach to economic issues.
The Kaesong complex is yet to be developed as only the first phase of the construction has been completed. A total of 250 South Korean companies have applied to participate in the complex, but only 123 are operating. Moreover, our companies complain that they need about 20,000 to 25,000 more North Korean workers to run their business there. Though the problem can partly be attributed to the government’s ban on further investment in the complex after the North’ attacks on the Cheonan warship and Yeonpyeong Island, it primarily results from the lack of available North Korean workers.
Cho Dong-ho, a North Korea expert at Ewha Womans University, said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develop a new area in the North or establish another such complex in Paju, Gyeonggi, so that it can link it to the one in Kaesong. In any case, the government should expand the special economic zone in Kaesong.



남북관계가 악화한 상황에서도 개성공단의 생산액과 근로자수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통일부에 따르면 지난해 개성공단 생산액은 2010년에 비해 크게 늘었다. 1월~11월까지의 생산액은 전년에 비해 무려 25.7%나 증가한 3억6986만달러에 달했다. 또 공단에 근무하는 북한인 근로자수도 지난해 11월말 기준 4만8708명으로 2010년말보다 2424명이 늘었다. 북한은 26일쯤 400명 가량의 근로자들을 추가 투입할 계획이라고 한다. 김정일 사망으로 연기된 투입계획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처럼 개성공단은 남북관계가 어떤 상황에 처하더라도 좀처럼 위축되지 않을 만큼 자생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개성공단이 강한 자생력을 갖는 것은 남북한 사이에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지는 현장이기 때문이다. 북한은 부족한 외화를 벌어들일 수 있고 우리 기업들은 저렴한 인건비를 토대로 경쟁력 있는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남북관계가 악화하지 않고 순항했다면 개성공단은 지금보다 훨씬 더 확대될 수 있었음이 분명하다. 이 점은 남북관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남북관계의 안전판으로써 개성공단 방식의 경협 모델이 유효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임을출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김정일 사망 때도 북한 당국은 공단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는 메시지를 전해왔었다”며 “북한이 실용적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했다.
현재 개성공단은 100만평 규모의 1단계까지만 부지가 개발돼 있는 상태다. 입주 가능 기업은 250여개로 잡혀 있지만 현재 입주한 기업은 123개뿐이다. 현 상태에서도 우리 기업들은 약 2만~2만5000여명의 근로자가 부족하다고 하소연하는 상황이다. 5.24조치로 개성공단에 대한 추가 투자를 금지한 우리 정부의 방침도 일부 원인이지만 근본적으로 북한측의 근로자 공급능력이 한계에 달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이와 관련 조동호 이화여대교수는 “개성 이외의 북한 지역을 새로 개발하거나 파주지역에 공단을 설치하고 개성과 연계하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