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 checks are iffy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pot checks are iffy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s announced it will press ahead with spot checks of suspicious persons to prevent violent, random crimes and sexual offenses against children. The move, if put into action, will lead to a resumption after two years of a widespread practice that was almost stopped after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said it was infringing on people’s basic human rights. Law enforcement agencies should approach the issue carefully.

In the past, police officers could stop and question someone on the street if he or she looked suspicious. Article 3 of the current police law says policemen can do so when there is reasonable grounds to suspect that the person is about to commit a crime or is aware of a criminal act that took place or is about to occur.

According to the law, police officers can ask that person to go to the police station but he or she can refuse to answer or comply with the request. Such discretion is given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need for protection and to avoid human rights infringement. Criticisms of the practice were mostly based on an assessment that law enforcement officers resorted to power abuse without solid grounds for suspicion.

A written warning from the human rights commission in September 2010 didn’t find fault with the act of random questioning on its own. At the time, the commission recommended the head of a police station educate his subordinates about the regulation in detail in a written warning, which read: “An act to stop and question people on the street just because they are young does not meet the requirement.” After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nounced it would switch from random to selective questioning, police officers on the front lines have voluntarily refrained from the practice.

We agree to the need for spot checks as a preemptive measure, and police officers must do their duty to ensure citizens’ safety.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must not restrict citizens’ freedom of assembly by reviving the unfettered questioning of the past. If officers attempt to inspect suspects’ personal possessions for any other reason than finding a deadly weapon, it constitutes breaking the law. The police must devise effective guidelines and reinforce the rules with proper training.


그제 경찰이 ‘묻지마 범죄’와 아동 대상 성폭행 등 강력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불심검문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2010년 9월 국가인권위원회의 ‘인권 침해’ 지적 이후 사실상 유명무실화됐던 거리 불심검문이 2년 만에 재개된 것이다. 불심검문의 타당성과 함께 방식의 적절성도 따져야 할 때다.
 불심검문은 경찰관이 거동이 수상한 자를 정지시켜 질문을 하는 것을 말한다. 현행 경찰관직무집행법 3조는 불심검문 대상을 ‘죄를 범했거나 범하려 하고 있다고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자, 또는 이미 행하여진 범죄나 행하여지려고 하는 범죄행위에 관하여 그 사실을 안다고 인정되는 자’로 규정하고 있다. 경찰관은 임의동행을 요구할 수 있으나 해당자도 답변이나 동행 요구를 거절할 수 있다. 범죄 차단을 위한 검문의 필요성과 인권 보장의 요구 사이에서 균형점 내지 절충점을 찾자는 취지다.
 과거 불심검문이 문제가 됐던 것은 범행을 의심할 이유가 있는지와 관계없이 무차별적·획일적으로 검문을 벌이는 등 권한을 남용한다는 비판 때문이었다. 2010년 9월의 인권위 서면 경고는 불심검문 자체를 문제삼은 게 아니었다. 당시 인권위는 “젊다는 이유만으로 검문 대상자로 정하는 등 요건 및 절차를 지키지 않았다”며 서면 경고와 함께 소속 직원들에게 직무교육을 실시할 것을 권고했다. 이에 경찰청이 “일제 검문에서 선별 검문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히자 일선 경찰에서 대형사건이 발생한 경우 등 말고는 검문을 자제해 온 것이다.

 우리는 범죄가 흉포해지는 상황에서 예방 차원의 검문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한다. 시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선 경찰관이 직무를 다해야 한다. 그러나 과거와 같은 마구잡이식 검문을 부활시킴으로써 헌법에 보장된 신체의 자유나 집회·시위의 자유를 위축시켜선 안 된다. 법에 정해진 흉기 조사에 그치지 않고 일반 소지품 내용까지 강제로 들여다보는 것은 위법이다. 경찰은 인권위 지적을 반영한 매뉴얼을 일선에 하달하고 직무교육을 강화해 인권 침해 논란이 재연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