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eople’s happiness
Published: 04 Sep. 2012, 19:51
In the speech, Hwang made a dazzling array of pledges which, if implemented, would have a gigantic impact on the lives of ordinary citizens, women, college students and irregular workers. He said he will focus on a wide range of duties: a customized welfare service for each generation and life cycle; a blanket increase of child-raising allowances for all income brackets; lowering college tuitions to ease parents’ economic pain; a tailor-made employment system for college graduates; and less working hours for pregnant women and their spouses. The floor leader of the ruling party also called for government legislation to abolish heavy taxation for owners of multiple homes to stimulate the depressed economy, not to mention a strong demand for the government to prepare a supplementary budget.
No doubt the economic environment has changed a lot compared to 2007, when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was held, as seen by the bigger role welfare, jobs and women play now. As the newly coined term “global anger” suggests, economic hardship became a common denominator of struggling ordinary citizens across the globe. In Korea, in particular, the anger sharply rose due to overheated competition in education and housing, which drove infuriated voters in their 20s, 30s and 40s to rush to voting booths since the 2010 local elections.
In presidential elections, however, candidates should not threaten the health of the society and the government’s fiscal health. But worries about the ramifications of their populist campaign platforms are rapidly mounting.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came up with a gloomy analysis: the Saenuri Party would need 165 trillion won ($145 billion), and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United Party 75 trillion won, if they want to keep their promises. But nobody knows how they can secure the humongous budget and if it is still acceptable to use the money for such purposes. Both parties must present voters with concrete ways to fill the government coffers.
Voters, too, should make decisions based on the feasibility of their promises. Only then can they protect their future.
이번 국회는 ‘대선’ 국회다. 때문에 대표연설은 대선 공약을 가늠할 방향타라 할 수 있다. 어제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12월 대선의 시대정신으로 ‘국민행복’을 규정하면서 복지확대와 일자리 창출, 경제민주화에 주력하겠다고 천명했다. 황 대표의 공약은 서민·여성·대학생·비정규직에게 중요한 영향을 주는 파격적인 내용이다. 세대별·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0~5세 영·유아 양육수당 전 계층 확대, 대학등록금 인하와 부담 완화, 스펙(spec) 초월 맞춤형 취업시스템, 임신기간 근로시간 단축제 등이다. 황 대표는 경기부양을 위해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를 폐지하는 입법과 추경예산 편성도 주문했다. “2015년까지 공공부문의 상시적·지속적 업무에 대해 비정규직 고용을 전면 폐지할 것”이라는 공약도 나왔다. 대선 환경이 2007년과 많이 달라진 것은 사실이다. 복지·일자리·고용·여성 같은 문제의 중요성이 더 커졌다. 글로벌 앵거(global anger)라는 용어에서 보듯 ‘살기 어려운 문제’는 이미 세계의 공통 이슈가 되었다. 한국에서는 극심한 교육·주택 경쟁 등으로 ‘앵거’는 더욱 폭발적이다. 이런 걱정과 분노로 2010년 지방선거 때부터 20~40 세대가 투표장에 몰리고 있다. 정당은 표를 위해 이런 변화를 외면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어떤 대선이든 후보들의 공약이 사회와 재정(財政)의 건전한 틀을 위협해선 안 된다. 이미 한국 사회에는 대선 포퓰리즘에 대한 우려가 급증하고 있다. 정부는 복지공약을 지키려면 향후 5년간 민주당 165조, 새누리당은 75조가 필요하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이런 돈을 어디서 마련할 것인지, 마련한다고 해서 이렇게 써도 되는 것인지 양당은 설명이 없다. 양당은 그럴듯한 공약으로 유권자의 귀만 노릴 게 아니라 유권자의 머리가 납득할 만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유권자는 말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놓고 판단해야 한다. 그래서 합리적인 대(大) 검증전이 벌어져야 한다. 그래야 포퓰리즘의 유령으로부터 미래를 보호할 수 있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