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ices of reason drowned out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Voices of reason drowned out

A group of nearly 1,300 Japanese intellectuals, including Nobel Prize laureate Kenzaburo Oe, sponsored a statement calling for an end to the hysterical reactions and emotive spat over territorial claims brewing among Korea, China and Japan. They said they oppose “any sort of physical force” and demand a return to peaceful diplomatic means to settle territorial disputes. The statement also urged the governments and media of the three countries to take responsibility for taming nationalistic fever.

They pointed out that the problems over Korea’s Dokdo islets - called Takeshima in Japan - and the Diaoyu, or Senkaku Islands - claimed by China, Taiwan and Japan - hark back to Japan’s imperialistic excesses and military aggression. Japan claimed control of the uninhabited islands at a time when Korea and China were weak and could not issue effective protests through diplomatic means. Their statement drew attention to a manifesto drawn up by Korean and Japanese intellectuals in 2010 declaring Japan’s forced annex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1910 as illegal.

There are far more issues at stake beyond territorial disputes involving the three nations, however, and losing one’s head due to nationalistic sentiment is akin to “getting drunk on cheap sake,” famous writer Haruki Murakami wrote in Japan’s Asahi Shimbun on Friday. All that’s left at dawn is a “bad headache,” he added.

He also pointed to the catastrophic results of military aggression as pursued by Hitler in a blind rush to reclaim territories lost in World War I. Japanese politicians should pay heed to the stern warnings from intellectuals.

Yet none of the three countries shows any intent of backing down. Japanese Prime Minister Yoshihiko Noda, speaking at a news conference in New York on the sidelines of the recent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vowed that Tokyo will not compromise on its territorial issues. China angrily lashed out at the “dirty diplomatic play” by Japanese politicians. Korean Foreign Minister Kim Sung-hwan also issued strongly-worded criticism against Japanese politicians for their lack of penitence regarding their wartime excesses, warning that the Korean people would take Japan’s claim to Dokdo as another attempt to invade their country. At this rate, there is no end in sight for the regional spat. If the three countries, all of which await key power shifts later this year, do not step back from the brink, we could see hostilities escalate far beyond the exchange of water canon bursts between Japanese and Taiwanese Coast Guard vessels

Top executives as well as government officials and politicians from the three countries should first tone down their rhetoric. Foreign Minister Kim in an interview with The Associated Press criticized Japanese politicians for failing to educate people correctly on the wartime and colonial excesses. Politicians should listen to these voices of reason.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오에 겐자부로 등 일본 지식인 약 1300명이 어제 한국·중국·일본 간 영토 문제와 관련해 호소문을 발표했다. 동북아 영토 분쟁에서 냉정과 자제를 잃지 말 것을 촉구해 온 우리는 “어떤 폭력 행사도 반대하며, 평화적인 대화에 의한 문제 해결을 주장한다. 각국 정부와 미디어는 자국의 내셔널리즘을 억제하고 냉정하게 대처할 책임이 있다”는 호소문 내용에 공감한다.
 특히 독도와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에 대해 “두 경우 모두 역사(근대 일본의 아시아 침략 역사) 문제를 배경에 두고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며 “한국·중국(청)이 가장 약하고 외교적 주장이 불가능한 가운데서의 편입이었다”고 지적한 대목은 의미심장하다. 1910년 한일 강제병합은 무효라고 선언한 2010년의 한·일 지식인 공동성명을 상기시킨 구절도 눈길이 간다. 중국에서 중·일 수교 이후 최대 규모의 반일 시위가 벌어지고, 일본에서도 우익단체가 연일 반한·반중 구호를 외치는 분위기 속에서 나온 용기 있는 발언으로 평가할 만하다.
 국가 간 현안에는 영토 문제만 있는 게 아니다. 한·중·일 세 나라가 여기에만 매달려 냉정과 자제를 잃으면 어제자 일본 아사히 신문에 실린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기고문 표현대로 ‘싼 술을 마시고 취해 요란하게 소동을 벌였으나 밤이 밝으면 두통만 남는’ 처지에 빠지기 십상이다.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가 1차 세계대전 때 잃은 영토를 회복하겠다는 정책 덕에 정권의 기초를 다진 게 훗날 어떤 결과를 초래했느냐는 무라카미의 지적을 세 나라, 특히 일본의 정치인들은 뼈아프게 새겨들어야 한다.
 세 나라가 으르렁거리는 소리는 아직 잦아들 기미가 없다. 유엔총회 참석차 뉴욕에 간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는 센카쿠 국유화에 대해 “타협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고, 이에 대해 중국의 인민일보는 “더러운 외교정책에 열중하는 일본 정객들”이라는 표현까지 썼다. 김성환 외교장관도 뉴욕 기자회견에서 다소 거친 언사로 노다 총리와 일본 정치인들을 비판했다. 이래서야 사태가 진정되기는커녕 더 악화될 수밖에 없다. 정권 교체를 앞둔 세 나라가 브레이크 없는 갈등과 대립으로 일관할 경우 모두가 커다란 손실과 국격(國格) 추락을 떠안을 게 뻔하다. 일본·대만 간 물대포 싸움 같은 게 자칫 실제 총격전으로 번지지 않는다고 누가 장담할 수 있겠는가.

 3개국 최고 지도자부터 각료·정치인에 이르기까지 우선 언어부터 자제하고 삼가야 옳다. 굳이 우리 측 예부터 들자면 김성환 장관은 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의 전후 세대는 (과거사에 대해 미안한 마음 같은) 그런 의식이 아예 없다”고 말했는데, 아사히 신문에 통렬한 기고문을 게재한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야말로 전후세대(1949년생)이지 않은가. 지식인 호소문, 무라카미 기고문 등 일본 지성계의 움직임은 한·중 지식인 사회에서도 공감과 성찰의 계기로 삼을 만하다고 본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