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sibility key to economic justic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Feasibility key to economic justice

With the ruling Saenuri Party’s presidential candidate Park Geun-hye’s announcement of her economic platforms last Friday, voters now can see the three candidates’ positions on the thorny issue of “economic democratization.” Stressing the value of fair market order rather than the structural reform of chaebol, Park tried to distance herself from liberal candidates Moon Jae-in of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United Party and independent contender Ahn Cheol-soo. While Moon and Ahn pledged an all-out reform of the conglomerates, Park maintained that “excessive chaebol reform should not be allowed to stifle the overall growth of our economy.”

Despite some differences in their approaches to unfair chaebol business practices, the three candidates have mostly touted similar planks on the issue of economic justice as seen by their commitments to introduce a punitive compensation system for subcontractors, a scrapping of the Fair Trade Commission’s exclusive rights to accuse chaebol’ malpractices and a reinforcement of punishment for business crimes of big business groups, to name a few.

A big difference among the candidates comes from their varying positions on the intensity and compulsiveness of chaebol reforms on such issues as a ban on cross-shareholdings among subsidiaries, a cap on total investment and a mandatory injunction to separate a portion of subsidiaries from business groups when they exercise control over their affiliates. Through her economic pledges, Park has demonstrated her strong opposition to arbitrary reform of chaebol structure. But Moon and Ahn came up with a much stricter reform which includes a plan to dispose of earlier cross-shareholdings and a reintroduction of a cap on total investments (Moon) and a forced disposal of existing cross-shareholdings and a mandatory separation of subsidiaries from business groups (Ahn) in what amounts to a radical departure from the existing structure.

We have consistently argued that incremental reform based on improving unfair chaebol practices is more effective than a drastic overhaul. The government should be engaged in correcting unfair practices rather than forcibly revamping their corporate governance. Economic justice should not be achieved by indiscriminate regulation on chaebol investments. The three candidates’ pledges to ban new cross-shareholdings or limit chaebol from entering a particular market, for example, can help foreign capital to take over our domestic market rather than foster small businesses. The candidates must consider the feasibility of their pledges before resorting to populist temptations.



무리한 재벌 때리기로 변질된 경제민주화 지배구조보다 부당행위 시정에 주력해야 기업투자 가로막는 걸림돌 돼서는 곤란      지난 16일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후보가 경제민주화 공약을 발표함으로써 유력 대선 후보 3인의 경제민주화 공약의 윤곽이 모두 드러났다. 박 후보는 재벌의 지배구조 개혁보다는 공정한 시장질서를 확립하는데 중점을 두었다고 밝혀 전면적인 재벌개혁을 공약한 야권의 문재인·안철수 후보와 차별화를 시도했다. 즉 그 동안 거론됐던 대규모 기업집단법 제정과 기존 순환출자에 대한 의결권 제한 등을 공약에서 제외함으로써 재벌 지배구조의 급격한 개편에서 한 발 물러섰고, 재벌 총수에 대한 국민참여재판과 계열사 지분조정 명령제, 계열사 편입심사제, 주요 그룹사장단회의에 대한 법적 책임 부과 등도 빠졌다. “과도한 재벌개혁으로 경제에 부담을 주어선 안 된다”는 박 후보의 입장에 따라 실무진이 마련한 당초의 개혁안이 상당히 순화된 셈이다.    사실 세 후보의 경제민주화 공약은 재벌의 부당한 행태의 규제에 관해서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다. 징벌적손해배상제와 집단소송제의 도입, 공정위의 전속고발권 폐지, 기업범죄에 대한 처벌 강화 및 사면 제한, 중소기업 적합업종 진입규제 등은 세 후보의 공약에 모두 나타난다. 금산분리 강화(산업자본의 은행지분 보유한도 축소)와 집중투표제 및 다중대표소송제 도입, 신규 순환출자 금지, 연기금의 의결권행사 강화 등 지배구조 개선에 관해서도 상당 부분이 겹친다.    세 후보의 공약이 결정적으로 다른 대목은 기존 순환출자와 출자총액제한제도 및 계열사 분리명령제 도입 등 기존 재벌구조 개편의 강도와 강제성에 대한 입장이다. 박 후보는 이 세 가지를 모두 제외해 인위적인 재벌구조 개편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반면에 문 후보는 기존 순환출자분 해소 및 의결권 제한과 함께 출총제 재도입을 약속했고, 안 후보는 기존 출자분의 강제처분과 계열분리 명령제 도입을 공약해 기존 재벌구조의 전면적인 해체까지 포함하는 강도 높은 지배구조개편안을 내놨다.    우리는 경제민주화에 대해 무리한 지배구조 개편보다는 일감 몰아주기나 단가 후려치기 등 불공정행위 개선에 초점을 맞추되 순환출자나 금산분리는 속도를 조절해 점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피력해왔다. 즉 경제민주화 정책은 정답이 없는 기업 지배구조형태를 인위적으로 개편하기보다는 대기업의 부당한 거래행태를 바로잡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무엇보다 경제민주화가 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관건인 기업의 투자를 가로막는 무분별한 규제로 나타나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세 후보가 모두 공약한 신규순환출자 금지나 중소기업적합업종 진입규제 등은 명백히 대기업의 투자를 막는 반면, 중소기업 육성보다는 외국자본에 국내시장을 내줄 우려가 크다. 유권자들은 세 후보의 경제민주화 공약가운데 무엇이 현실적으로 실천가능한 것이고, 국민경제의 건강한 발전에 유익한 것인지를 잘 분별하기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