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nted: A positive economic cycl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Wanted: A positive economic cycle

With income reduced by the prolonged economic slowdown, the country’s gross savings rate - the total savings of individuals, corporations and government divided by disposable income - slipped to a 30-year low of 30.41 percent on a nominal basis in the third quarter. The corporate saving rate remained above the average for member countries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as companies regained their footing after forced restructuring in the wake of the liquidity crisis in the late 1990s.

At the same time, the individual saving rate tumbled to 4.3 percent, bringing down the gross national savings. Individuals hardly have anything left to save due to increasing debt burdens and the falling value of disposable assets. Naturally, they cannot afford to spend, which explains stubbornly sluggish domestic demand. Disparity in both individual and corporate growth and income has reached dangerous levels.

The low savings rate is an ominous sign for Korea’s economy. When savings hit the bottom, investment is sluggish and that eats away at the economy’s growth potential. Companies have already turned lukewarm and discreet in investment. Capital investment has contracted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and the economy barely moved from the second to third quarters, growing a mere 0.1 percent.

Prospects for next year also are bleak. A JoongAng Ilbo survey of the 30 largest business groups found that seven companies plan to cut back on investment next year and 21 say they are unlikely to put money into new businesses. Corporate sentiment has frozen up.

There is no silver bullet to spur individual savings and corporate investment in the short term. But it is imperative to calm corporate jitters. The government and political sector should shift from lopsided anti-chaebol policy to a pro-growth course that encourages corporate investment.

Sentiment is everything in the economy. To restore savings, creating jobs is the key. Once the election is over, fiscal and monetary authorities should join forces to present a combination of policy actions to stimulate the economy. The incoming government should do all it can to increase jobs, as the two top presidential candidates have pledged. We need to reactivate a positive cycle, where increased corporate investment and hiring eventually lead to increased income and savings. Otherwise, we won’t be able to put the economy back on track.


경기불황에 가계의 실제 소득까지 감소하면서 총저축률(개인·기업·정부 저축/총처분가능소득)이 30.41%까지 떨어져 30년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내용을 따져보면 기업저축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평균을 웃돌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체력이 좋아진 덕분이다. 이에 비해 개인저축률이 4.3%로 곤두박질해 총저축률을 끌어내리고 있다. 가계부채 부담은 늘고 가처분 소득마저 게걸음을 하니 가계의 건전성이 악화될 수밖에 없다. 당연히 민간소비도 늘어나기 어렵다. 이제 소득 양극화를 넘어 가계와 기업의 불균형 성장도 위험 수준에 접어든 것이다.
낮은 저축률은 국가경제에 울리는 적(赤)신호다. 저축이 바닥나면 투자재원은 쪼그라들고 성장동력마저 갉아먹기 때문이다. 이미 기업의 설비투자에는 짙은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올 하반기 설비투자 증가율은 전년동기 대비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3분기 실질경제성장률은 0.1%로 제로 성장을 했다. 내년 전망도 어둡다. 중앙일보가 30대 그룹을 조사해 보니 내년에 7곳이 올해보다 투자를 줄이겠다고 응답했다. 여기에다 태양광 사업과 2차 전지 분야의 과잉투자로 혼쭐이 나는 경우가 많아, 주요 그룹의 70%가 아예 내년에는 신사업에 투자할 엄두조차 못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심리가 꽁꽁 얼어붙은 것이다.
단기간에 저축률과 설비투자를 끌어올릴 비방(秘方)은 없다. 우선 경제주체들의 불안 심리부터 풀어주는 게 중요하다. 정치권과 정부가 ‘대기업 때리기’에서 경제성장 쪽으로 무게 중심을 옮겨야 불확실성이 걷히게 된다. 어느 때보다 “경제는 심리다”라는 격언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또한 저축률을 회복시키는 핵심은 일자리다. 대선이 끝나는 대로 재정·금융정책의 복합적인 처방을 통해 경기 부양을 서둘 필요가 있다. 차기 정부는 대선 때 다짐한대로 일자리 창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그 첫 단추를 어디서부터 꿰야 할지는 이미 답이 나와있다. ‘투자 확대→일자리 창출→소득 증가→저축률 제고’의 선순환 없이는 저축률 하락과 설비투자 감소에 쐐기를 박을 수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