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ware ‘sunk cost’ of campaign vow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eware ‘sunk cost’ of campaign vows

테스트



I made fish boiled in soy sauce, but it turned too salty. I must have put salt in the sugar jar, so I mistakenly added too much. Fortunately, I started with two pieces of fish, so I added two more. But it was still too salty, so I put in three more, hoping for the ingredients to absorb the saltiness. But in the end, I could not save the dish and had to throw out a pot of boiled fish.

If I had thrown out the first two pieces and started over, I would have wasted only two pieces. In economics, the cost that has already been incurred and cannot be recovered is called “sunk cost.” In my disastrous cooking session, the first two pieces of fish was the sunk cost.

Humans can be reckless. When you know that your investment decision was not profitable, you often put in more money to make up for the initial loss instead of stopping. To spare the first 10,000 won ($9.50), you hope for a miracle and invest 20,000 won. The daughter of my friend is not very talented in music, but my friend wanted to make her a pianist. She invested a fortune in music lessons, but her daughter gave up on music. Now, she is happily married and raising children. My friend said that she figured her daughter was not talented about a year after starting to play the instrument. However, she did not want the money she had invested to be in vain and groundlessly believed her daughter would excel someday. But the family had to sell the house to support the music education before she gave up. It is always best to forget about bad investments and start anew.

Many government projects remind me of their sunk costs. After the four river restoration projects, the water quality is said to be even worse. The large reservoirs in mid-stream increased the flux, but the flow became slower. However, the key to the water quality is not building reservoirs, but blocking pollutants. Building sewage treatment plants and conserving water may help solve the problem. We have to work hard in order not to make the 22 trillion won for the four rivers project turn into the “sunk cost.”

I am also concerned about President-elect Park Geun-hye’s election promises. In order to keep up her four welfare promises, she estimates it would cost 16 trillion won over her five-year term. But experts say the welfare benefits she promised would require twice that. Park may need to listen to the ministries saying that some of her pledges will be hard to fulfill. If she pushes for them in order to keep her word, she may end up adding more worries five years later. A wise man of principles who values the outcome would correct wrong decisions if necessary, even if it means changing election promises.

I still regret making so much boiled fish yesterday.

*The author is a guest columnist of the JoongAng Ilbo.

by Eom Eul-soon













갈치조림을 했다. 무지하게 짜다. 양념 통을 닦은 후 설탕과 소금을 바꿔 넣은 탓이다. 다행히 두 토막만 넣고 시작했기에 두 토막 더 넣고 간을 맞췄다. 여전히 짜다. 남은 세 토막 다 넣었는데도 짜다. 익으면 간이 스며들겠지 하며 비싼 야채를 뭉텅 썰어 넣고 양념도 듬뿍 넣었다. 소금과 설탕. 부피에 비례한 농도 차이. 엄청나더라. 들통 가득한 갈치조림. 몽땅 버렸다. 잘못됐다는 걸 알았을 때 과감히 버리고 다시 시작했으면 갈치 두 토막만 버릴 것을. 아깝다고 계속 넣다 망했다. 이런 바보 같은 걸 경제학 용어로 ‘sunk cost’라 한다더라. 뒤늦게 들어간 MBA 과정의 어떤 매력 있는 교수님한테서 배운 거다. ‘sink’의 과거분사를 써서 매몰비용이란 뜻. 이번 경우엔 갈치 두 토막이 ‘sunk cost’였던 거다.
인간은 무모할 때가 참 많다. 잘못된 투자란 분석이 나왔어도, 그만둘 시작할 생각 않고 쓴 돈 아깝다고 계속 쏟아 붇는다. 처음 투자한 1만원이 아깝다고 2만 원, 3만 원. ‘어떻게 되겠지’하는 기적을 바라면서.
음악에는 재주가 하나도 없는, 중학교 동창생의 딸이 있다. 피아니스트를 만든다고 딸을 이리저리 끌고 레슨 다니며 돈을 퍼부어댔지만 결국 그 딸아이는 음악을 포기하고 지금은 결혼해서 애 키우며 잘 산다. 그 친구가 그러더라. 음악 시작하고 일 년 후. 안 될 것 같은 조짐이 보였는데도 들인 돈 아까워 ‘언젠간 잘 하겠지’하는 근거 없는 막연한 믿음을 갖고 포기 못했던 거라는데. 결국은 집까지 날린 후에야 포기 했단다. 잘못된 투자는 빨리 잊고 다시 시작하는 게 상책인 것을.
국책사업에도 매몰비용을 떠올릴 때 있다. 4대강 사업 이후 수질이 더 나빠졌다는 기사가 있었다. 강 중간의 대형 보 때문에 유량(流量)은 늘었지만 유속(流速)이 늦어진 게 문제다. 들어간 돈이 워낙 엄청나니 매몰비용 될까 겁난다. 다만 수질의 진짜 관건은 보가 아니라 강 주변 오염원을 얼마나 차단하는가에 달렸단다. 하수처리장 더 많이 짓고, 싱크대 물이라도 아껴 쓰면 될려나. 22조원의 생 돈을 날리지 않으려면 골치 아프게 생겼다.
박 당선인 ‘공약 지키기’도 걱정된다. 4대 복지공약을 위해 임기 5년 동안 16조원이 필요할 것이라는 박 당선인의 입장과, 두 배 이상 들 거라는 전문가들의 판단. 물론, ‘문제를 풀려는 의지 없이 그저 과거 관행에 따르는’ 전문가들의 매너리즘에 빠진 판단일 수도 있겠지만, 듣기 싫은 말일 줄 알면서도 어렵게 꺼낸 정부 부처들의 ‘대선 공약 이행이 어렵다’는 말. 박 당선인은 귀 기울일 필요가 있지 않을까. 과거에 들인 돈 때문에, 과거에 한 말 때문에, 고집부리며 시작했다가 5년 뒤, 또 근심거리 하나 더 얹는 게 아닐까 싶어서다. 아무리 대선 공약이라도, 고칠 것은 고치고 새로 시작하는 것이 ‘결과물을 중시하는 현명한 원칙주의자’ 아닌가.
어제 내다버린 갈치조림이 눈에 아른거린다.

엄을순 객원 칼럼니스트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