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lack market: A ubiquitous beast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black market: A ubiquitous beast

테스트


After dinner and drinks, we left the restaurant at around 9 p.m. One of us spotted a pojang macha tent bar and suggested we have one last round to finish the night.

We all took a seat. There was a luxury hotel in the neighborhood and there were some foreigners at the bar. As Japanese tourists had noodle soup, we drank boilermakers of soju and beer.

I tried to start a conversation with the owner.

“President Park Geun-hye vowed to go after the underground economy. Aren’t you worried?”

But she seemed puzzled.

“President Park is supposed to help the ordinary citizens and the working class. What are you talking about?” I had to change the subject immediately.

In Korea, the term “underground economy” usually makes you think of illegal gambling houses operated by crime syndicates, drugs, human trafficking and prostitution. So it may seem strange to ask a pojang macha owner, who works hard to make a living, such a question. But the fact is that the black market is everywhere here. The CDs and DVDs sold on carts in the street and the alcoholic drinks you have at the noraebang are all parts of it. It consists of all economic activities that aren’t accounted for in government statistics. And those happen everywhere, all the time. If money is made without being reported to the tax office, that’s tax evasion.

Of course, when President Park mentioned the taxation of the underground economy, she may not have specifically been referring to street vendors. But the obvious objective is to collect more tax. The government needs more money to fulfill its welfare promises, and taxing the black market is one way to come up with the funds. She wants to bring the economic activities that happen in the shadows out into the light.

Even when a registered store makes 1 million won ($923.45) in revenue but only reports 700,000 won, that’s 300,000 won in the black market. The same goes for professionals like doctors and lawyers who evade tax by reporting less income than they earn.

So how big is Korea’s underground economy? There’s no way to be certain, but according to the estimations of different agencies, it’s thought to account for around 20 percent of the total GDP.

How can we reduce its size? Hidden tax sources should be found, and tax evasion should be more strictly investigated. That’s the job of the National Tax Service. Going after the underground economy is hardly a new challenge; it’s something that’s been pursued for a very long time and is still a work in progress.

Why is it so hard to eradicate the black market? Because the desire to evade tax often exceeds the capacity of the government to catch people doing it. The new administration will launch an exclusive task force as a show of force, and those that operate in the underground economy will likely keep a low profile for the time being. Soon, government officials will report to the president that they have successfully defeated the enemy. But this type of ambiguous, short-term fight has no chance of making lasting inroads. Hopefully, the Park administration won’t repeat the mistakes of the past.

*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JoongAng Ilbo Economic Research Institute.

by Shim Shang-bok






저녁 겸 술 한잔 하고 식당을 나선다. 오후 9시 언저리. 저만치 포장마차가 보이고 누군가 “간단히 입가심 한 잔”을 외친다. “아니, 요즘 119 원칙도 몰라?” “아… 한 가지 술로 1차만, 9시 전에 마친다는 거? 근데 그거 어느 나라 헌법이야?” 이쯤 되면 대충 끌려가게 된다. 고급호텔 인근이라 외국인도 보인다. 일본 사람 둘이 국수를 말아 먹고 있다. 우리도 말아 먹는다, 소폭.
포차 아줌마에게 농 삼아 한마디 건넨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하경제를 소탕한다는데 아줌마는 겁나지 않으세요?” 당연히 반응은 뜨악하다. “아니, 그 분이 서민과 약자를 위하는 정치를 한다는 데 그게 무슨 소리예요?” “그냥 해본 소리”라며 서둘러 화제를 돌린다.
지하경제라 하면 흔히 조폭이 운영하는 나이트클럽이나 불법 도박장을 연상한다. 마약이나 매춘, 인신매매도 떠올린다. 이런 무시무시한 용어를 생계를 잇기 위해 고생하는 아줌마에게 들이대다니. 하지만 우리 주변엔 의외로 지하경제가 많다. 한낮 거리에서 파는 CD도, 노래방에서 마시는 술 한잔도 지하경제에 일조한다. 정부 당국의 통계에 잡히지 않는 모든 경제행위가 지하경제이기 때문이다. 그런 일은 지상과 지하, 밤과 낮을 가리지 않고 주위에서 일어난다. 정부에 보고되지 않는 돈벌이란 곧 탈세를 의미한다.
물론 박 대통령이 언급한 지하경제 양성화가 이런 생계형 장사까지 염두에 둔 소리는 아닐 게다. 하지만 세금을 더 걷기 위한 목적임은 분명하다. 앞으로 복지예산을 많이 써야 하는데, 그 재원조달 방안을 설명하면서 강조한 것이기 때문이다. 어둠 속의 경제활동을 햇볕 비치는 지상으로 끌어내겠다는 것이 지하경제 양성화다.
관청에 등록한 가게라도 100만원어치 팔고 70만원만 신고하면 30만원 규모의 지하경제가 발생한다. 의사·변호사가 소득을 줄여 신고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의 지하경제 규모는 얼마나 될까. 알 수 없다. 추정만 할 뿐이다. 여러 기관이 어림잡은 수치를 평균하면 국내총생산(GDP)의 20% 안팎으로 추산된다.
지하경제를 줄이는 방법은 뭘까. 감춰진 세원(稅源)을 발굴하고 탈세 추적을 강화하는 것이다. 국세청의 고유 업무다. 지하경제 양성화가 새로운 일이 아니라는 말이다. 아주 오래 전부터, 그리고 지금도 진행되고 있는 일이다. 그런데 왜 이 놈은 땅속에 깊이 뿌리 박은 바위마냥 요지부동일까. 세금을 피하려는 본능이 정부의 능력을 압도하기 때문이다. 새 정부는 강한 의지를 보이기 위해 전담조직부터 꾸릴 것이고, 상대는 일시 몸을 낮출 것이다. 얼마 뒤 공무원들은 이걸 적이 와해된 것으로 보고한다. 의욕만 앞세운 단기전으론 승산이 없다는 말이다. 같은 잘못을 반복하지 않길 바랄 뿐이다.

심상복 중앙종합연구원장 겸 경제연구소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