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ling with the weakening ye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Dealing with the weakening yen

It is nearly certain that the yen will continue to weaken as the government of the third-largest economy continues to pursue aggressive monetary easing. The leadership at the Bank of Japan is to be replaced by outspoken advocates of radical expansionary steps who are allies of Prime Minister Shinzo Abe, including Haruhiko Kuroda, president of the Asian Development Bank. Moreover, Washington suggested that it could tolerate Japan’s deliberate depression of the yen. The yen that was valued at 1,380 won per 100 yen a year ago fell more than 15 percent to 1,172 won on Friday.

The yen’s weakening is boon for Japan’s exporters and a nightmare for Korean companies. Korea has maintained a surplus in its trade balance for 13 month in a row, raking up $2.06 billion in surplus trade in February. But exports depended on brisk growth of smartphone sales. Other mainstay exports fell by double digits - machinery by 15.1 percent, steel by 10.5 percent and shipbuilding by a whopping 40.3 percent.

A weaker yen makes Korean products comparatively more expensive and is expected to weigh down the economy in the coming months as the impact of foreign exchange changes on the general economy is usually delayed.

In a visit to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before her inauguration, President Park Geun-hye said that a stable currency is very important for the economy and would be the focus of “pre-emptive and effective” actions.

Her aides later explained that she was not suggesting interventionist policy and argued that the foreign exchange market should be left alone. But unlike other market variants, the currency rate is especially vulnerable to extreme fluctuation.

Authorities sometimes need to step in to “smooth operations” in order to address volatility in the market. The government and monetary officials should study whether local exporters can cope with the weakening yen.

The international currency market has grown more volatile as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and Japan all resort to monetary easing to boost their economies. We could consider employing levies on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according to market conditions in order to stave off an influx of hot money.


엔화 약세의 충격이 현실화되고 있다. 엔 약세는 지난 4년간 비정상적인 엔 강세의 정상화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미국이 엔 약세를 용인하고,일본 아베 정부가 환율 매파를 일본은행(BOJ) 총재에 내정하면서 엔 약세는 단기적인 추세가 아니라 중장기적인 흐름으로 고착화되는 기미를 보이고 있다. 1년 전 100엔당 1380원이던 원-엔 환율도 지난 주말 1172원으로 15% 이상 떨어졌다. 이에 따라 "엔 약세의 최대 피해자는 한국이 될 것"이라는 예언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2월 무역수지가 20억6100만 달러 흑자로,13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갔다고 좋아할 일이 아니다. 속을 뜯어보면 엔 약세의 강풍에 휘청대고 있다. 글로벌시장에서 롱텀에볼루션(LTE)의 급성장에 힘입은 스마트폰 선전의 착시현상을 걷어내면 수출실적이 심상찮다. 주력 수출품목인 일반기계(-15.1%),철강(-10.5%),선박(-40.3%) 등이 엔 약세로 두자리수 수출 감소율을 기록했다. 여기에다 환율변동이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친다는 J커브 효과를 감안하면 엔 약세는 한국의 수출은 물론 올해 경제성장률의 발목을 잡을 공산이 크다.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직전 무역협회를 방문해 “환율 안정이 굉장히 중요하며 선제적·효과적으로 대응하겠다”고 했다.하지만 곧바로 측근을 통해 "외환시장 개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물론 환율은 시장에 맞기는 게 원칙이다. 하지만 환율은 다른 가격변수와 달리 과잉반응을 하는 속성을 갖고 있고, 꼬리가 몸통을 흔드는 부작용을 낳는다. 따라서 외환당국이 시장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스무스 오퍼레이팅(smooth operating)까지 주저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단기간에 인위적으로 촉발된 과도한 엔 약세를 우리 기업들이 자체적인 노력만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도 정밀하게 따져봐야 한다. 미국·유럽·일본이 필사적으로 양적완화에 매달리면서 환율 변동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우리도 핫머니 유출입을 막기 위해 우리 실정에 맞는 외환거래 과세 카드를 고민해야 한다. 브라질에 이어 유럽연합까지 토빈세 도입을 검토하는 상황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