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ightmare of yellow dust
Published: 13 Mar. 2013, 19:32
When I visited Mongolia a few years ago in spring, I realized that the gigantic dirt cloud there would soon invade Korea’s airspace.
After completing my research, I was getting ready to make the three-hour drive back to Ulaanbaatar. Just then, a lady approached my car with a child. My driver asked me if we could drop the kid off at a nearby village on the way to the capital.
After about half an hour, we stopped at a village of clay houses. It didn’t seem like there was anywhere to go to get out of the dusty wind. A gust had clouded the air, so I told the child to stay in the car until it died down. But the child just opened the door and jumped out, soon disappearing into the miasma. The driver was unfazed.
My hardest memory from trips to China is from Beijing in early spring. During five days in the city, I was nauseous the entire time. The dust hanging in the air was gray and black. It seemed to have grown darker as it passed through various industrial regions. The city’s atmosphere was thick with the smoky, smelly muck, and breathing made me sick.
After a tour of the outskirts of the Chinese capital, I couldn’t take it anymore and vomited. The locals thought I was being overly sensitive.
“It isn’t that serious today,” they said. “On a bad day, the entire world is covered in black dust, and you can’t see where you’re going or open your eyes at all,” they said.
Yellow dust season is around the corner in Korea, and products from salts to air purifiers that can block the heavy metals and other toxic substances are selling briskly. The government is also trying to come up with plans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pollution.
After my time in Mongolia and Beijing, I feel ready for dust season. But I can never get used to it or accept it because it didn’t originate from Korea in the first place. As a neighbor, we need to suffer the unwelcome yellow dust every year.
As a means to share the pain, Koreans are helping out with the tree-planting projects in Mongolia and technology to reduce pollution in China. But the filthy haze continues to cross the border.
With the yellow dust and Kim Jong-un for neighbors, sometimes this can be a frustrating neighborhood to live in. I hope spring goes by quickly.
By Yang Sunny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몽골 평원은 가도가도 황톳길이었다. 그 위로 크고 작은 바람이 지나며 황토를 실어다 온 세상에 흩뿌렸다. 수건으로 틀어막아도 입 안에선 서걱서걱 흙이 씹혔고, 흙먼지는 쉼없이 공중으로 치솟아 하늘도 누렇게 변색시켰다. 몇 년 전 이맘때 취재차 갔던 몽골 하늘의 거대한 먼지 구름 너머로 조만간 이 먼지의 침입을 받을 무구한 한국 하늘이 어른거렸었다. 취재를 마치고 나는 세 시간쯤 떨어진 울란바토르로 돌아가려고 했다. 그때 어느 부인이 우리 차로 작은 아이를 데리고 왔다. 기사가 “가는 길에 있는 마을까지 아이를 태워다 줘도 되겠느냐”고 물었다. 그 아이를 태우고 30여 분쯤 달려 작은 마을로 갔다. 황토 위에 몇 집이 옹기종기 모인 그 마을엔 흙먼지를 피할 수 있는 구석이라곤 보이지 않았다. 마침 불어온 큰 바람에 거대한 흙먼지가 일었다. 아이에게 바람이 잦아들 때까지 기다리라고 했다. 그러나 아이는 아무렇지도 않게 문을 열고 뛰어내려 흙먼지 속으로 사라졌다. 현지인 기사도 아이도 익숙한 일상처럼 괘념치 않았다. 몇 차례 중국 취재 중 가장 고생스러웠던 기억도 바로 이맘때 베이징에서였다. 닷새 동안 그 도시에 머물며, 내내 멀미를 했다. 그곳의 황사는 회색 혹은 검은색이었다. 황토먼지는 중국 공장지대를 지나며 검은 연기까지 쓸어와 색깔을 바꾼 듯했다. 도시는 매캐한 스모그에 덮여 있었고, 그 냄새와 공기 때문에 늘 속이 울렁거렸다. 시 외곽에서 취재를 마친 후 난생 처음 ‘연약한 모습’으로 토했을 정도였다. 그곳 사람들은 그런 나를 보고 ‘무슨 이 정도에…’ 하는 표정으로 ‘쯧쯧’ 혀를 찼다. 그러더니 덧붙였다. “이 정도는 황사 축에도 못 들어요. 진짜 심한 날은 세상이 검은 색으로 뒤덮여 사방 분간도 안 되고, 거기다 바람까지 불면 정말 눈코 뜰 수 없지요.” 황사의 계절이다. 시장엔 중금속과 유해물질을 함유한 황사 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황사상품들이 소금부터 공기청정기까지 쫙 깔렸고, 당국은 수시로 황사대책을 발표한다. 몽골과 베이징의 황사를 경험한 후 웬만한 황사 앞에선 ‘늠름’해졌지만, 여전히 익숙해지진 않는다. 원래 우리 것이 아니므로. 하지만 나쁜 이웃을 만나면 자기 것이 아닌 고통과 불편을 감내해야 하는 게 사람의 일인지라 나쁜 이웃 황사도 어쩔 수 없이 함께 해야 한다. 그래서 이웃의 고통 분담 차원에서 몽골에 나무심기와 중국에 매연 저감 기술을 지원하는 방안 등 ‘착한 궁리’도 해본다. 그럼에도 황사는 아랑곳 않고 우리 국경 너머로 밀어닥친다. 어째서 우리 국경은 황사·김정은처럼 ‘못된 이웃’들이 늘 넘보는지 때론 화나고 억울하다. 이 지독한 봄이 빨리 지나갔으면 좋겠다. 양선희 논설위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