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ding root causes of dropout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Finding root causes of dropouts

According to the latest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more than 33,500 students at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dropped out last year because of maladjustment, prolonged absences or violence at schools.

These reasons above accounted for nearly half of all dropouts from school last year, which totaled 68,188. Though the dropout rate of 1.01 percent is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the United States (7.4 percent in 2010), Germany (6.5 percent in 2010) and Japan (1.3 percent in 2011), the phenomenon should sound loud alarm bells on the education front. More worrisome is that 280,000 children have been lost to a blind spot in the statistics - they are not accounted for in the statistics, according to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Since the problems of teenagers who quit school emerged as a social malaise, our society has been paying keen attention to the matter. The education ministry said it would announce a comprehensive plan next month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to deal effectively with school dropouts, including an expansion of alternative education and other measures aimed at helping them to stand on their own feet. In fact, because the issue of school dropouts arouses deep concerns, heated discussions on what really makes them leave school was sponsored by the ministry.

In that forum, many factors were cited, including the prevalence of classroom disruptions; ranking schools solely based on the number of graduates who enter top universities in Seoul; a polarization of education stemming from a widening wealth gap; a mercilessly competitive environment; online bullying and intense peer culture; and teacher apathy. The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 and other educational groups have hurriedly suggested diverse solutions to tackle the problem.

We welcome the Ministry of Education’s timely survey on the situation and its conscientious efforts to deal with the worsening problem. But what we need first is a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facing our students and sympathy for those who see no other choice but to quit school.

We need a thorough review of our educational culture, which systematically singles out weaker students, and a great awakening among our educators. School authorities also must come up with prescriptions that respect differences among students. We hope the education ministry can provide our children with practical solutions to help them survive.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터전 위에서 출범한 헌법재판소가 창립 25주년을 맞았다. 그간 헌재는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헌법을 수호하는 기관으로 자리잡아왔다. 이제 걸어온 길을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모색해야 할 때다.
박한철 헌재 소장은 어제 기념식에서 “헌재가 앞장서서 합리적 토론과 소통을 위한 공론의 장을 제공해야 한다”며 “갈등 해소를 넘어 미래의 가치와 방향 설정까지도 고민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헌재는 남북관계의 변화 과정과 통일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구체적인 헌법문제를 미리 연구함으로써 통일을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소장이 밝힌 대로 헌재의 존립 목적은 “국가와 사회의 통합”이란 점에서 바람직한 방향 제시라고 본다. 그 동안 헌재가 처리한 사건 중엔 친일재산 몰수 규정 합헌, 긴급조치 위헌, 노무현 대통령 탄핵 기각 등 굵직한 결정들이 포함돼 있다.
창립 25주년을 맞아 헌재에 당부하고 싶은 것은 헌법재판이 한 단계 더 도약해야 한다는 점이다. 국회가 ‘과잉 입법’ ‘포퓰리즘 입법’ 우려를 낳고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역대 재판부의 노력으로 권위주의 시절 만들어진 위헌 법률들이 상당부분 정리된 것도 사실이다. 위헌적 법률에 대해선 계속 엄격한 잣대를 대는 한편 법적 안정성을 높여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여러 차례 합헌 결정을 내렸던 법률을 불과 몇 년 만에 위헌으로 뒤집는 것은 국민의 신뢰 확보 차원에서 온당치 못하다. 재판관 얼굴이 바뀌었다고 해서 헌재가 가리키는 방향이 달라져서야 되겠는가.
최고사법기관의 위상을 둘러싼 대법원과의 갈등 역시 합리적 해결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 양쪽 판단이 달라 사건이 핑퐁처럼 오간다면 그 피해는 결국 국민이 입을 수밖에 없다. 법조계에서는 “재판에 대한 헌법소원을 인정하자”는 의견과 “두 기관을 통합해 갈등 소지를 없애자”는 반론이 엇갈리고 있다. 어느 쪽이 국민의 재판 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길인지 두 기관의 ‘법과 양심에 따른’ 검토를 기대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