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regulation is the key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Deregulation is the key

As Korea’s industrial structure undergoes a rapid change toward a more sophisticated, high-end direction, startups based o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have been increasing. With that dramatic evolution, industries are also experiencing convergence and fusion at a dazzling speed. As a result, an industry bent on a particular technology can swiftly lose competitiveness, while another one taking advantage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can take a bigger share of the economic pie. Despite the seismic industrial transformations, however, regulations still remain intact.

Examples of outdated regulations in high technology - exposed by a thorough examination by six related government agencies, including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an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explicitly show how rampant government regulations are across the industrial spectrum. For instance, a professor at a university hospital developed a mobile application that enables doctors to calculate the probability that a certain type of cancer could occur through his persistent efforts to combine his lifetime of clinical data and information technology. Unfortunately, though, the current law bans doctors and scholars from supplying medical applications to the medical community; only medical instrument manufacturers can handle those gadgets used to diagnose and treat diseases. The professor had to give up a dream of bringing his innovative advancement to society. Such outmoded regulations are abundant: local military software designers face discrimination; Big Data industries are hurt by excessive protection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tifling regulations on containers obstruct the expansion of hydrogen stations.

Deregulating is a prerequisite to the emergence of new industries and markets. But existing regulations fail to meet the new industrial environment. Unless all unnecessary regulations regarding information technology, biology, nanotech and robotics are removed, our national competitiveness can hardly improve. Compared to our national competitiveness rank of 19th, our deregulation rank is 96th. Relevant government ministries belatedly vowed to scrap 18 unreasonable regulations quickly.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has singled out over-regulation as public enemy No. 1 to her “creative economy.” Deregulation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particular must be accelerated.




우리의 산업구조는 갈수록 첨단화하고 있다. 혁신적인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창업도 증가 추세다. 이와 함께 산업은 빠른 속도로 융복합화하고 있다. 어느 한 과학기술에만 매달린 업종은 경쟁력을 잃는 대신 복합 과학기술을 활용한 산업의 비중은 점점 커지고 있다. 산업구조가 급변하고 있음에도 과학기술에 대한 규제는 여전히 기존 산업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런 규제는 융복합 과학기술에 뿌리 둔 첨단 창업을 가로막고 있기 십상이다.
17일 미래부·식약처 등 6개 부처가 공동으로 집계한 과학기술 규제 사례는 아직도 우리 사회에 불필요한 걸림돌이 횡행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한 대학병원 교수는 특정 암의 발생 확률을 계산해주는 모바일 앱을 개발했다. 평생 축적해온 임상 데이터와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사이버 의료서비스를 만들어낸 것이다. 하지만 현행 법은 질병 진단·치료에 쓰이는 앱을 의료기기로 분류, 기기 제조업체만 만들 수 있게 하고 있다. 결국 교수는 첨단 서비스를 개발해놓고도 보급할 길을 찾지 못했다. 이 밖에도 외국산에 비해 역차별을 받는 국산 방위산업 소프트웨어 제도, 과도한 개인정보 규제로 인해 위축된 빅데이터산업 사례, 수소충전소 확충을 가로막는 저장용기 규정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새로운 산업과 시장이 출현하기 위해서는 규제 완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 산업에 맞게 형성된 규제가 새로운 산업환경에 맞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이다. 특히 정보통신·바이오·나노·로봇 같은 첨단 분야에서 불필요한 규제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국가경쟁력을 갉아먹고 창업 의욕을 현저히 떨어뜨릴 가능성 크다. 우리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19위이지만 규제개선의 효율성은 아직 96위에 불과하다. 미래부 등 6개 부처는 이번에 발굴된 사례 중 18건을 우선 대상으로 선정, 빠른 시일 내에 관련 규제를 철폐하겠다고 밝혔다. 박근혜 정부는 창조경제의 적(敵)으로 불필요한 규제를 지목한 바 있다. 이 참에 과학기술 규제 개혁의 속도를 더 낼 필요가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