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race of Murayama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grace of Murayama

A photo of former West German Chancellor Willy Brandt epitomizes how Germans recognize the shameful chapter of their aggression-ridden past. On a rainy December day in Warsaw 44 years ago, he knelt down at the monument to victims of the Warsaw Ghetto Uprising and repented for what the Nazis had done to them. A German leader’s efforts led to the country’s compensation for the victimized laborers through the Foundation for Remembrance, Responsibility and Future.

A similar moment in which former Japanese Prime Minister Tomiichi Murayama begged former Korean “comfort women” to take care of their health on a visit to the National Assembly Tuesday reflected a deeply conscientious voice from Japan. It would have been much better if a high-ranking official of the Shinzo Abe cabinet had done that. While in office in 1995, Murayama apologized for Japan’s invasion and colonization of Korea through the now-famous Murayama Statement. He also spearheaded the establishment of the Asian Women’s Fund to compensate the victims for their pains. Murayama said Abe’s cabinet members should step down if they ever denounced his own statement, alluding to Abe’s flip-flops despite his pledge to follow up his predecessor’s statement with one of his own.

At a Diet session Wednesday, Abe threatened to counter Korea’s attempt to “enumerate wrongful facts and slander Japan.” The stunning gap in history perception between a former prime minister like Murayama and the man in power now shows the shameful retreat of decency and contrition in Japan and the fetid blossoming of its conservatives. When asked by his peers in the Diet about his intention to supplant the Murayama Statement with one of his own, Abe answered the question by arbitrarily ignoring Japan’s aggressions and colonial rule of Korea. The world’s suspicions of Abe’s “assertive pacifism” primarily stem from such a self-centered, twisted view of all that’s right and all that was wrong in Japan’s past.

The Murayama Statement is one of the pillars of Seoul-Tokyo relations along with the 1993 Kono Statement, which apologized for the mobilization of “comfort women” during World War II. That led to the 1998 Joint Declaration between President Kim Dae-jung and Keizo Obuchi to open a new era of Korea-Japan ties. If Abe had respected the spirit of the two earlier statements, our bilateral ties would not have worsened.

The comfort women issue could be a starting point for resolving the current confrontation. Both sides have already made a compromise on the compensation issue before. We hope Murayama’s trip paves the way for healing the victims’ pain and restoring bilateral ties.

JoongAng Ilbo, Feb. 14, Page 30

44년 전 빌리 브란트 당시 서독 총리가 남긴 한 장의 사진은 서독의 과거 청산과 역사 인식을 상징한다. 브란트는 1970년 12월 비가 내리던 폴란드 바르샤바의 유대인 희생자 위령탑 앞에서 무릎을 꿇고 나치의 만행을 사죄했다. 독일 지도자의 이런 노력들은 나치 시대의 각국 강제노동 피해자에 대한 독일의 보상으로 이어졌다. 2000년 독일 연방의회를 통과한 ‘기억ㆍ책임ㆍ미래’ 법을 통해서다.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일본 총리가 11일 국회에서 일제의 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만나 “늘 건강하시라”고 한 장면은 일본 양심 세력의 신념을 떠올리게 한다. 그 자리에 있어야 할 사람은 일본의 책임있는 정부 인사였어야 하지 않을까. 무라야마 총리의 모습을 보고 심정이 복잡했던 사람이 한둘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는 1995년 총리 재임 당시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침략을 반성ㆍ사죄한 ‘무라야마 담화’의 주인공이다. 위안부 피해 보상을 위한 ‘아시아 여성기금’ 창설도 주도했다. 무라야마 총리는 12일엔 자신의 담화를 부인하는 각료가 있다면 그만둬야 할 것이라고도 했다. 아베 신조 총리가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하겠다고 밝힌 만큼 각료가 그에 반하는 발언을 할 때는 사임하는게 맞다는 취지였다. 아베 내각 전체에 대한 경고였다. 하지만 아베 총리는 같은 날 국회 답변에서 한국의 위안부 추모일 제정 등 문제에 대해 “잘못된 사실을 나열해 일본을 비방중상하는 것에는 사실로 냉정히 반론하겠다”고 말했다.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일본 정부의 강제 연행 개입을 부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2007년 1기 내각 때의 각의 결정 연장선상에 있다. 한일 양국에서 같은 날 드러난 일본 전ㆍ현직 총리의 역사인식 간극은 역사의 후퇴와 일본 사회의 보수화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아베 총리는 지난달 31일 국회에선 무라야마 담화 계승에 대한 질문을 받고 ‘식민지 지배와 침략’ 부분을 빼고 답하기도 했다. 아베 내각이 내건 적극적 평화주의가 의심받는 데는 자국 중심 사관이 한몫한다고 본다. 무라야마 담화는 군 위안부를 인정하고 사죄한 93년의 고노담화와 더불어 한일 관계를 떠받치는 근간이다. 무라야마 담화가 있었기에 새 한일 관계를 연 98년의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도 가능했다. 아베 내각이 두 담화의 정신에 입각했다면 한일 관계가 현재처럼 꼬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군 위안부 문제 해결은 한일 대치국면을 타개할 출발점이자 돌파구가 될 수 있다. 한일 양국은 이미 군 위안부 피해 보상 문제와 깊숙히 절충한 바 있다. 이명박 정부 말기 때는 노다 요시히코 내각과 타결 직전까지 갔었다. 박근혜 정부도 지난해말 아베 내각과 일본 총리의 사죄 편지 등을 축으로 협상해 왔으나 아베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로 교섭이 중단됐다고 언론은 전하고 있다. 무라야마 전 총리의 방한이 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존엄을 회복하고, 오욕의 기억을 치유하는 협상 재개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