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novation mileage system must go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Innovation mileage system must go

테스트

From July 31, 1998, it rained for three days at a record level, and 350 people died or went missing. The precipitation came down at a rate of 145 millimeters (5.7 inches) per hour - houses flooded and cars were swept away. Some civil organizations worked together to retrieve lost vehicles, but the cost for the rescue project was steep, and organizers asked car owners to pay between 50,000 won ($47) and 100,000 won - the minimum amount to cover the cost. However, about 90 percent of the people who had already found their cars didn’t send the money.

When I was a college student, I wrote about the case in my Introduction to Sociology notebook. At the end, the professor added a question, “Is it a matter of personal ethics?”

People cannot live together without regulations and systems. Individuals respond to costs and benefits very sensitively, and the logic of individuals is often different from the logic of organizations. Society works not because of the ethical proposition of “living in harmony,” but because of regulations and incentives.

Recently, President Park Geun-hye strongly asked for deregulation. She called regulations “enemies to defy,” “cancer cells” and even “overcooked noodles.”

The president’s demand exerts great pressure in public offices. Mr. K, a high-level public servant who attended the conference presided over by the president, said, “We are pressured to present something visible. The president is the boss of my bosses, and when that directive is handed down the ladder, it becomes more powerful at every level.”

During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innovation” was the credo - as powerful as Park’s “deregulation.”

When President Roh emphasized that innovation was the only way to survive, the government created the “innovation mileage system” to evaluate civil servants. To earn miles, public servants wrote book reviews, posted replies on government policies and earned word-processing certifications. Some agencies measured innovation with a written exam. The meaning disappeared, and the word “innovation” itself became an objective.

“Regulations have double effects. It could be a loss to some and a gain to others. When you want to change a regulation, you should first review the background of its creation and who would benefit and lose from deregulation. You have to look at the history of regulations first,” Mr. K added.

After the localized torrential rainfall in 1998, individual cooking and camping on Mount Jiri was banned. The regulation spread around the country, and as time passed, it became so strict that building basic convenience facilities wasn’t permitted.

You may think Mr. K’s response is typical of a bureaucrat who’s afraid of changes. But now that we have begun discussing deregulation, there’s nothing to lose by thoroughly reviewing the effects and history. It would be even better if we study the significance and context of regulations simultaneously. If it is pushed aggressively only to produce a visible outcome, the current government is likely to end up with another innovation mileage system.

JoongAng Ilbo, March 31, Page 30

*The author is a nation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BY KANG IN-SIK



















1998년 7월31일부터 사흘간 경기 북부와 지리산에 기록적인 비가 내렸다. 350여명이 죽거나 실종됐다. 시간당 145㎜의 폭우는, 자기 몸 외엔 어떤 것도 챙길 수 없는 극단적인 것이었다. 집은 물에 잠겨도 제자리에 있었지만 자동차는 아니었다. 몇몇 시민단체는 힘을 합해 ‘떠내려간 차 찾아주기’에 나섰다. 하지만 이 일엔 돈이 들었다. 재정적으로 힘들어진 시민단체는 차주들에게 “최소비용인 5만~10만원을 입금해 달라”는 편지를 보냈다. 하지만 이미 차를 찾은 이들은 대부분(90%) 입금하지 않았다.
당시 대학생이던 기자의 사회학개론 공책에 필기된 내용이다. 마지막엔 교수의 물음이 적혀 있었다. “이것은 개인의 윤리 문제일까요?”
제도(규제) 없이 인간은 함께 살 수 없다. 개인은 이익과 비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며, 따라서 개인의 합리성은 조직의 합리성과 따로 놀 때가 많다. ‘함께 사는 좋은 사회’라는 윤리명제가 아닌, 규제와 인센티브가 적절하게 작동할 때 사회는 굴러간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규제개혁을 강하게 주문하고 나섰다. 박 대통령에게 규제는 쳐부술 원수이고 암덩어리이며 퉁퉁 불어터진 국수다. 대통령의 의지가 이정도면 공직사회에 전해지는 압박은 대단히 크다. 대통령의 끝장토론을 지켜본 국장급 공무원 K는 “가시적인 무언가를 내놓지 않으면 견딜 수 없을 것”이라며 “내 인사권자의 인사권자인 대통령의 말이 위에서부터 내려오면 단계를 거칠 때마다 관성이 더해져 그 힘이 엄청나게 커진다”고 했다.
노무현 대통령 시절 ‘혁신’이란 단어는 박 대통의 ‘규제개혁’만큼이나 강한 신조였다. 대통령이 “혁신만이 살길”이라고 연일 강조하자 정부는 ‘혁신 마일리지 제도’라는 걸 만들어 공무원을 평가하기 시작했다. 마일리지를 쌓는 방법에는 ^독후감 쓰기 ^정부 정책에 댓글 달기 ^워드 자격증 따기 등이 포함됐다. 어떤 기관은 필기시험으로 혁신을 측정했다. 의미는 사라지고 혁신이란 단어 자체가 목표가 됐다.
K국장은 말을 이어갔다. “규제는 복효적(復效的)이다. 어떤 이에겐 피해가 되고 어떤 이에겐 이익이 된다. 규제에 손을 댈 땐 어떤 시대적 상황에서 그 제도가 탄생했는지, 그것을 없앰으로써 누가 이익을 보고 손해를 볼지 따져봐야 한다. 제도의 연혁을 봐야 한다는 얘기다.” 98년 집중호우 이후 지리산에선 개인 취사와 야영이 전면 금지됐다. 이런 규제는 전국적으로 확대됐고, 시간이 흐르면서 어떤 곳에선 ‘기본적인 편의시설조차 만들기 힘든 규제’로 작용하기도 했다.
K국장의 반응에 “변화를 두려워하는 관료집단의 특성”이라며 비판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기왕에 규제개혁을 말하기 시작했으니, 제도의 복효성과 연혁을 꼼꼼히 살펴서 나쁠 건 없다. 제도의 의미와 맥락에 대한 학습이 함께 진행된다면 더 좋다. 분위기에 휩쓸려 “성과를 내고 보자”는 식으로 밀어붙이면 현 정부에서도 '제2의 혁신 마일리지 제도’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사회부문 강인식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