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a question of motivation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It’s a question of motivation

테스트

Who has benefited from the disclosure of salaries of the corporate directors of listed companies?

When you receive more than 500 million won ($473,799) per year, you are considered a high-income earner. As expected, many people said they were painfully jealous of the amount of money that others receive. The public was furious that owners of conglomerates, who have been arrested for embezzlement and breach of trust, were paid incredibly well.

Their salaries were made public in accordance with the capital market law, revised in May last year. It was the first such revelation, and was intended to allow shareholders to decide if directors were receiving unreasonably high salaries for their performances.

The justification is hard to refute. Shareholders deserve to know if they are receiving reasonable treatment. Undisputedly, the system was created with good intentions to guarantee the rights of shareholders while improving the transparency of management.

The problem is that not all good intentions produce good outcomes. If the system was aimed at improving shareholders’ rights, then it must benefit them. If the public knows the salaries of top executives, will shareholders’ values go up? The shareholders are probably not interested in it. They are more likely to be interested in the performances of the executives and profits of the company.

The system, of course, has some good outcomes. It can screen executives who are receiving high salaries despite their poor performances. But the market probably reacted first to punish such cases in the top listed companies. Products and services from unethical companies are naturally boycotted by the market. There is no actual merit in enforcing this law, when the market has the ability to screen.

Instead, the system brings about unwanted side effects. Many executives probably choose to become unregistered directors, rather than registered ones. Some shrewd businessmen have already done that. Executives will probably use the loophole to receive salaries higher than 500 million won by serving in several affiliates and split their pay rather than receive a large sum from one company.

A more serious problem will be the difficulty in securing talented directors. Who will want to work for Korean companies if they are criticized for simply receiving high salaries? Other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lso make public the salaries of top executives. In America, for instance, the information is revealed for the top five executives, while in Japan, it applies to those receiving higher than 100 million yen ($969,000).

The systems are not particularly effective. The average salary of the directors of the 327 companies among the S&P 500 firms in America is 354 times higher than that of a worker. In Korea, the director’s average salary is just 13 times higher than the average worker’s salary.

The high salaries of directors are not something we should be jealous of. It is something we should envy and feel the motivation to follow suit.

JoongAng Ilbo, April 7, Page 30

*The author is a new media edito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JONG-YOON














누구에게 득이 됐을까. 최근 공개된 국내 상장회사 등기임원의 보수를 접하면서 든 생각이다. 연봉이 5억 원을 넘으면 상당한 고소득이다. 예상대로 ‘배 아프다’는 반응들이 터져 나왔다. 놀라움은 기본, 언성도 높였다. 적자투성이 기업의 오너가 천문학적인 연봉을 받는 것에 대한 비판은 매서웠다. 횡령ㆍ배임 등의 혐의로 구속된 오너가 많은 연봉을 받은 것에 대한 반감도 컸다.
연봉 공개의 법적 근거는 지난해 5월 개정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이다. 이번이 첫 공개다. 회사의 등기 임원들이 성과에 비해 과다한 보수를 받지는 않는지 주주들이 들여다보자는 취지다. 이런 명분, 토 달기 어렵다. 주주들은 임원들이 합당한 평가와 대우를 받는지 알아야할 의무가 있다. 주주의 권리를 보장하고 경영의 투명성을 높이는 ‘착한 제도’임에는 틀림없다.
문제는 착한 제도가 모두 좋은 결과를 내지 않는다는 점이다. 주주 권리를 높인 제도라면 주주에게 득이 돼야 한다. 과연 임원들이 얼마씩 받는지를 알게 되면 주주 가치가 올라갈까. 주주의 관심은 그런 게 아닐 것이다. 임원들이 경영을 잘하는지, 회사는 이익을 내는지, 그래서 주가는 오르고, 배당을 받을 수 있는지가 관심사다. 종전처럼 등기 임원의 보수 총액만 알아도 주주 가치는 훼손되지 않는다.
개별 임원들이 각각 얼마씩 받는지 까발리는 건 기업과 경영진을 파렴치범으로 몰 소지가 있다. 물론 이 제도가 아무 효과가 없는 건 아니다. 간혹 성과도 못 내면서 많은 보수를 받는 임원이 걸러질 수는 있다. 그러나 이 정도 기업이면 이미 시장이 단죄한다. 도덕적 해이가 만연한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이나, 제공하는 서비스는 당연히 시장에서 외면받게 된다. 시장에서 충분히 걸러낼 수 있는데 굳이 법으로 강제해봤자 실익이 없다는 얘기다.
대신 부작용은 넘쳐난다. 등기 임원에서 비등기 임원으로 신분 세탁하는 분들 많아질 것이다. 이미 눈치 빠른 분들, 실천했다. 임원들이 5억 원 넘는 연봉을 한 회사에서 받지 않고 계열사 여러 곳에 적을 두고 연봉을 쪼개 받는 편법도 만연할 터다. 더 심각한 건 유능한 인재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는 점이다. 연봉 좀 받는다고 돌팔매질 당하면 누가 한국 기업에 오겠는가.
물론 미국ㆍ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임원들의 연봉을 공개한다. 미국은 고액연봉 상위 5명만이, 일본은 1억엔(10억2000만 원) 이상만이 대상이다. 그렇다고 효과가 있는 것도 아니다. 미국 S&P 500 기업에 포함된 327개 기업의 최고경영자 평균 급여는 근로자 평균 급여보다 354배나 많다. 한국은 이 배율이 13배에 불과하다. 등기임원들이 연봉을 많이 받는 게 ‘배 아플’ 일은 아니다. 오히려 ‘부러울’ 일이다. 나도 열심히 해 고액 연봉을 받는 일꾼이 되겠다는 ‘동기 부여’의 부러움 말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