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dia’s responsibility in crisi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media’s responsibility in crisis

The government has been kicked at daily for its incompetent crisis management in the face of the country’s worst-ever man-made maritime accident. The Sewol ferry has been capsized off the southern coast for nearly a week now, but authorities have continued to stumble in their salvage mission - they can’t even accurately update the rescue operation. The government has completely lost the confidence of not only the bereaved families but also the rest of the population. The media, which has been running 24-hour coverage of the accident, has also been as tactless and unreliable as the government.

The best example of this is the media interview with a diver surnamed Hong. The 25-year-old woman, a fraud who claimed to have joined the rescue mission as a licensed diver, appeared on a cable news channel and criticized the government for blocking divers from entering the water. She added that divers were told to kill time and even to go home. Her interview quickly went viral, painting government authorities as grossly insensitive while hundreds of students remained trapped underwater. The police decided to seek an arrest warrant for Hong for spreading false information, and the broadcaster apologized for the incident, but it raised questions about the reliability of the overall news coverage of the Sewol crisis and the hyper-competition in reporting the disaster.

The three nationwide TV networks were no better. One terrestrial broadcaster calmly calculated death insurance for the victims while parents and families were still desperately waiting for news of their loved ones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e rescue operation. TV news repeatedly showed the face of a 6-year-old girl who was rescued from the boat and poked a microphone in her face while asking if she knew the whereabouts of her other family members. Another broadcaster sent out a flashing headline claiming that divers had discovered piles of bodies after they entered the ferry.

Journalists have been on the scene around the clock to cover the heartbreaking disaster. They chase prosecutors, police, bureaucrats, victims, families and experts and somehow try to filter out news amid the flood of inform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that does not pardon them for reckless, yellow journalism. The obsession to break the news and competition for viewership can jeopardize social credibility.

The media was severely censured for excessive and sensational journalism during the Daegu subway disaster in 2003. Experts advised the media to draw up a common code for disaster coverage, but that never happened. The Journalists Association of Korea plans to resume that work. But before they embark on that mission, the media should stick to at least three principles - double-check the facts, think on the side of the victims’ families and avoid infringing on human rights. The media should be at its most calm and truthful during grief-stricken times like these.

JoongAng Ilbo, April 22, Page 30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정부의 무능한 대응이 연일 비난의 도마 위에 오른다. 구조를 둘러싸고 우왕좌왕 중심을 잡지 못하면서 엉터리 발표를 거듭하는 정부에 대해 유가족 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도 분노에 가까운 불신을 보내는 상황이다. 정부만큼이나 미숙하고 부적절한 형태를 보이는 게 바로 언론이다. 허위 보도와 인권 침해, 과잉 취재 등이 잇따르면서 우리 언론의 신뢰는 중대한 기로에 섰다. 안타깝고 부끄럽지만 중앙일보도 예외가 아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홍모씨 허위 인터뷰' 사건이다. 경찰은 21일 민간잠수사 자격으로 한 종합편성채널에 출연해 허위 사실을 유포한 혐의로 홍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기로 했다. 홍씨는 이 종편에 나와 “정부 관계자가 잠수하지 못하게 막았고 ‘대충 시간이나 때우고 가라’는 식으로 이야기 하는 것을 들었다”고 주장했다. 어린 학생 수 백 명이 배가 갇혀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빈둥거리고 있다는 폭탄 발언을, 해당 방송사는 여과 없이 내보냈다. 보도책임자가 방송에 나와 짤막하게 사과했지만 어쩌구니없는 허위보도의 파문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다른 종편은 막 구조된 어린 학생에게 친구의 사망 소식을 묻은 부적절한 처신을 해 시청자들에게 격렬한 항의를 받기도 했다. 지상파 3사 보도 역시 춤을 추었다. 한 지상파는 구조작업이 시작되지 않아 유가족이 발을 동동 구르는 상황에서 사망보험금을 상세하게 계산해내는 '친절함'을 보였다. 다른 지상파는 사지에서 막 빠져나온 아이(6)의 실명·얼굴을 공개하는가 하면, 또 다른 지상파는 구조대의 선체 진입 소식을 전하면서 "선내 엉켜 있는 시신 다수 확인" 제목의 자극적인 오보를 내보냈다.
기자들은 국민의 관심이 쏠려있는 중대 참사를 신속히 전하기 위해 갖은 고생을 한다. 인터뷰를 거절하는 피해자·공직자를 쫒아다니며 설득하고 정보의 홍수 속에서 진실을 가려하기 위해 애쓴다. 하지만 '정확성을 무시한 신속함'에 결코 면죄부가 주어지진 않는다. 지나친 속보 경쟁과 시청률을 의식한 선정 보도가 사회의 신뢰자본을 파괴하고 있음을 언론인들은 잊지 말아야 한다.
2003년 대구지하철 참사 때도 과잉·선정 보도가 사회의 지탄을 받았다. 당시 언론계에서 재난보도준칙을 만들자는 의견이 나왔지만 언론사 간 이견으로 결국 무산됐다. 이번에 한국기자협회는 준칙 제정을 다시 꺼내들었다. 언론이 함께 지키는 기준을 마련하는 일은 매우 시의적절한 작업이다. 구체적인 준칙 제정에 앞서 언론이 당장 세 가지만이라도 지켰으면 좋겠다. ^ 한번 더 확인하고 보도하기 ^ 유가족 입장 고려하기 ^ 인권침해 경계하기다. 저널리즘의 핵심가치는 검증과 여과를 통한 신뢰의 창출이다. 통곡의 바다에서 지금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차분한 진실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