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e April 16 a memorial day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Make April 16 a memorial day

테스트

The Gallipoli Campaign is a sensitive part of World War I history for Great Britain. It was the most crushing defeat suffered by the Allies. The Gallipoli Peninsula is located on the western bank of the Dardanelles Strait connecting the Mediterranean Sea and the Black Sea. As the Western Front faced a stalemate, the Allied Powers formed a plan to occupy the Gallipoli Peninsula to connect with Russia through the Black Sea, and an extensive landing operation began on April 25, 1915. Winston Churchill, then in his 40s and the First Lord of the Admiralty of Great Britain, commanded the operation.

Anzac,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Army Corps, als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because of their colonial ties to Great Britain. More than one million troops were involved in the battle, which resulted in more than 100,000 deaths and over 250,000 injured. It was a devastating battle. The operation failed because it was faced with the resolute defense of Turkish forces, and the Allied Forces withdrew completely the following February.

Churchill was held accountable for the failure and was demoted, and the British Secretary of State for War, Lord Herbert Kitchener, was disgraced as an incompetent commander. One of the commanders of the Turkish forces was Mustafa Kemal Pasha, who established the Republic of Turkey and became revered as Ataturk, meaning “Father of the Turks.”

In the battle, more than 10,000 Australian and New Zealand soldiers died and 60,000 were injured. Anzac suffered serious casualties: one in five troops was killed, and half were injured. When Australia and New Zealand learned of the casualties, both countries were stirred. The public was furious that precious young lives were taken in Europe just because the two countries were former colonies. They no longer wished to be involved in the war led by Great Britain, and both countries were desperate to be born again as independent states, not just in form but in substance.

The sacrifice in Gallipoli reminded the Australians and the New Zealanders of their identities and led them to reinvent themselves as full-fledged independent countries. Both countries designated April 25, the day of the Gallipoli operation, as Anzac Day. The national day honors those who served and died in war and reaffirms the national identity of Australia and New Zealand.

Earlier this month, a free trade agreement was signed between Korea and Australia. Australia has become closer to us. Just as Anzac Day commemorates the tremendous sacrifice made in the failed military operation, we could designate April 16 as a memorial day for the victims of the Sewol ferry. We need to reaffirm national safety measures and remember those who have been sacrificed due to negligence.

JoongAng Ilbo, April 24, Page 24

*The author is a professor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BY RHIE WON-BOK




















1차 대전 역사에서 영국이 다루기 꺼려하는 소재가 갈리폴리 전투다. 연합군이 겪은 최악의 패전이기 때문이다. 갈리폴리(터키어로 겔리볼루)반도는 지중해에서 흑해로 이어지는 좁디좁은 다르다넬스 해협 서안의 길다란 반도다. 서부전선이 교착되자 연합군은 흑해를 통해 러시아와 연결하기 위해 갈리폴리 반도 점령계획을 세우고 1915년 4월 25일 대대적인 상륙작전을 개시하였는데,이 명령을 내린 인물이 당시 해군장관이었던 40대의 윈스턴 처칠이다.
이 상륙작전에는 앤작(ANZAC:호주-뉴질랜드 부대)도 참여했다. 단지 영국의 식민지였다는 이유만으로 자신들과 아무 상관도 없는 유럽 전쟁에 투입된 것이다. 이 전투는 양쪽에서 100만명 이상이 맞붙었고, 10만명이 넘는 전사자와 25만명 이상의 부상자를 남겼다. 참혹한 전투였다. 이 작전은 터키군의 완강한 방어로 실패로 돌아갔으며 이듬해 2월 연합군은 완전 철수하였다.
패전의 책임을 진 처칠은 경질됐고 군신(軍神)으로 불리던 전설적 지휘관 허버트 키치너 장군도 명예에 먹칠한 채 무능한 지휘관으로 전락하였다. 방어에 성공한 터키군 지휘관 중 한 명이 무스타파 케말 파샤(장군)로, 훗날 터키공화국을 창건하고 ‘터키의 아버지(아타튀르크)'로 추앙받게 된다.
이 전투에서 호주 뉴질랜드 병사 1만 명 이상이 전사하고 6만여 명이 부상했다. 평균 다섯 명 중 한 명이 전사, 두 명 중 한 명이 다치는 엄청난 희생이었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두 나라는 발칵 뒤집혔다. 왜 영국 식민지라는 이유 하나로 귀중한 아들들을 유럽전선에 보냈느냐는 분노에 찬 여론이 들끓었다. 더 이상 영국의 전쟁에 끼어들어선 안 되고, 그러자면 형식만이 아니라 진정한 독립국가로 새롭게 태어나야 함을 절감하게 되었다.
갈리폴리에서의 큰 희생이 두 나라 국민들에게 호주인, 뉴질랜드인이라는 자기정체성을 분명히 일깨워주었고 당당한 독립국가로 새로 태어난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이후 두 나라는 매년 4월 25일 갈리폴리 상륙 개시일을 ‘앤작 데이’로 정해 최대의 기념일로 삼고 있다. 희생자들을 경건하게 애도하는 한편 그 희생을 통해 국가정체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것이다.
이달 초 호주와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됐다. 호주가 우리에게 더욱 가까워 진 것이다. 잘못된 작전으로 치른 막대한 희생을 추모하는 앤작 데이처럼 우리도 이제부터 세월호가 침몰한 4월 16일을 추모와 사죄의 날로 정하면 어떨까 싶다. 안전 불감증을 뉘우치며 애꿎게 인재(人災)로 희생된 이들을 기억하면서 말이다.
이원복 덕성여대 석좌교수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