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missions officers are denied respect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Admissions officers are denied respect

Mr. Kim, 38, is an admissions officer at a private university in Seoul, who has worked until 11 p.m. every day since mid-September, taking no holiday or weekend off. He has been busy grading personal statements and transcripts submitted by rolling admission applicants. When he heard about a teacher who received money from parents in return for fabricating applications, he said, “The admissions officers are also responsible for failing to catch dishonest conduct,” but added that he sometimes has to review more than 500 applications a month during admission season.

He is one of 714 admissions officers working at 133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Th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recommends each officer review 300 applications, but 55 percent of schools have their admissions officers handle more than this. Last year, each offic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reviewed 741 applicants. The average annual salary for these workers, who have master’s or doctoral degrees, was 36.12 million won ($ 33,868), and 65 percent are irregular employees.

Another admissions officer at a regional college, a 36-year-old surnamed Lee, said he is often given tasks that are not in his job description. Kim Kyung-sook, an admissions officer at Konkuk University, said that universities need to realize that the role of the admissions officers becomes more important as admission based on overall transcript reports, including non-academic areas, is expanded.

The teacher and parents who fabricated a college application package for money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admission corruption scandal. However, admissions officers are also responsible for failing to spot the fabricated applications, leading to criticism of comprehensive transcripts.

Yangjae High School teacher Kim Jong-wu said it is regrettable that the comprehensive transcript admission method is perceived as an opportunity for corruption, when it actually helps schools properly educate students.

Jacques Steinberg, the education columnist for the New York Times, defined admissions officers as “social engineers” as they select students who fit the society that the college or university hopes to attain. However, admissions officers in Korea cannot become social engineers; their hands are tied as the Ministry of Education’s college admission paperwork reduction policy has reduced supporting documents or interviews. In order for admissions officers to do their job and leave no room for corruption, schools should be given the authority to review supporting documents, as well as the autonomy to select students, and should also put more effort into respect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se workers.

*The author is a national news write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Oct. 13, Page 33

by KIM KI-HWAN






서울 소재 사립대 입학사정관 김모(38)씨는 지난달 중순부터 한 달 째 연휴ㆍ주말도 반납하고 매일 오후 11시까지 야근을 한다. 수시모집 지원자들의 학교생활기록부·자기소개서를 채점하느라 쉴 틈이 없다. 학부모에게 돈을 받고 학생 스펙을 조작해 명문대에 입학시킨 교사가 경찰에 적발됐다는 보도를 접한 그는 “부정을 걸러내지 못한 사정관에게 책임이 있다”면서도 “입시철마다 한 달에 500명 넘는 지원자 서류를 검토하느라 불안불안했는데 터질 게 터졌다”고 털어놨다.
그는 전국 133개대에서 활동하는 입학사정관 714명 중 한 명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권장하는 사정관 1인당 심사인원은 300명이지만 55% 대학이 이를 넘겼다. 서울대는 지난해 사정관 한 명이 741명을 심사했다. 87%가 석ㆍ박사 학위 소지자인 사정관의 지난해 평균 연봉은 3612만원이었다. 그들 중 65%가 비정규직이다. 열악한 처우보다 더 큰 문제는 대학이 사정관의 전문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거다. 지방대 사정관 이모(36)씨는 “계약과 다른 업무를 맡거나 업무가 도중에 바뀌는 경우가 많아 인재 선발의 보람을 느끼기 어렵다”며 “사정관을 바쁜 입시철에 서류 검토를 보조하는 인력 쯤으로 여기는 것 같다”고 말했다. 미국에선 10년 이상 대학ㆍ고교에 대한 노하우를 쌓은 사정관이 많다. 김경숙 건국대 사정관은 “학생부 비(非)교과 활동을 평가하는 학생부종합전형(옛 입학사정관제)이 확대될수록 사정관의 역할이 중요해진다는 걸 대학들이 알아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입시 부정 사건의 1차 책임자는 물론 부정을 저지른 교사와 학부모다. 하지만 사정관도 부정을 걸러내지 못했다는 점에서 책임을 면키는 어렵다. 그렇다고 학생의 잠재력을 평가하고 사교육 부담을 낮추는 학생부종합전형의 효과까지 부정해선 안 된다. 김종우 양재고 교사는 “학교를 보다 학교답게 만들어준 학생부종합전형이 비리의 온상으로 비쳐져 안타깝다”고 말했다. 미국 뉴욕타임즈의 교육 담당 칼럼니스트 자크 스틴버그는 칼럼에서 “입학사정관은 대학이 꿈꾸는 사회를 만드는 데 적합한 학생을 선발하는 ‘사회공학자’(social engineer)”라고 정의했다. 한국 입학사정관은 사회공학자로서 포부를 펼치기 힘들다. 교육부가 ‘대입 서류 간소화’ 방침에 따라 증빙서류나 면접까지도 최대한 줄이도록 해 손발이 묶인 상태다. 입시 부정이 발 붙이지 못하게 하면서 사정관이 제 역할을 하게 하려면 대학에 최소한의 증빙서류를 검토할 권한과 선발의 자율성을 줘야 한다. 아울러 대학은 사정관의 전문성을 보장해야 한다. 사정관이 입시철 땜빵 인력으로 전락해선 학생 선발의 질 향상은 요원하다.
김기환 사회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