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idents, golf and the economy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Presidents, golf and the economy

According to Time magazine, U.S. President Barack Obama has played golf with his aides seven out of 10 times since his inauguration. Other times, he would most likely be with people he has known for a long time. “Obama clearly prefers to use his tee times to unwind with the guys,” said the magazine. In contrast, former President Bill Clinton “employed the sport just as one might assume: as grounds for entertaining donors and buttering up entrenched political opponents.”

President Park Geun-hye does not play golf and doesn’t seem to be favorable toward it, either. “I’ve never said whether you can play golf or not,” Park told Blue House secretaries in July 2013. “But you are all too busy to play, right?” She basically issued a de facto ban. It’s like saying, “It’s my treat, you can order whatever you want” at a restaurant, then expecting everyone to get the least expensive dish on the menu.

But golf became a topic of conversation after Park was named the honorary host of the Presidents Cup in Songdo next September. It is a regional tournament that traditionally invites a president or former presidents to be honorary hosts. “Golf is not just a sport, but an important industry now,” Park told the organizers. Indeed, golf is an estimated 20 trillion won ($18 billion) business in Korea, employing more than 100,000 people.

Just because a president doesn’t play golf doesn’t mean he or she can’t revive the economy. President Kim Dae-jung was not a golfer, but he led the country out of the financial crisis. However, a president’s perception of the sport can influence the industry. It is hard to comprehend Park’s position when she says its industrial aspects are important while characterizing it as “a leisure sport for people with free time.”

There is a more serious problem. In her administrative policy speech last week, she urged the opposition party to promptly handle legislation intended to boost the economy. Some measures are difficult for the opposition party to accept. However, the president is trying to persuade it to join forces to overcome challenges. But her reasoning becomes meaningless when it comes to golf, where she doesn’t even have to change the law. She could simply correct her position on her golf ban. Yet she remains stubborn.

Golf can be the touchstone for Park to show her will and pledge to revive the economy. It is matter of proving she is willing to allow something that she doesn’t like very much or understand, as long as it helps the economy. With Park as the honorary chairperson, the Presidents Cup’s slogan is all the more fitting: “The time has come.”

*The author is a deputy business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Nov. 7, Page 34

by KIM YOUNG-HOON


미국 주간지 타임이 지난달 재밌는 분석을 내놨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취임 후 10번에 7번은 비서와 골프를 했다는 얘기다. 나머지도 대부분 원래 잘 알던 사람들을 동반했다. 타임은 “오바마에게 골프는 스트레스를 푸는 도구”라고 규정했다. 반면 빌 클린턴 전 미 대통령에 대해선 “후원자를 즐겁게 해주거나 야당과 갈등을 풀기 위해 골프를 쳤다”고 했다. 한국에선 대통령의 골프가 국가 비밀처럼 다뤄지니, 누구와 몇 번을 나갔는지 알 길은 없다. 대신 공교롭게도 경제 성장기의 대통령은 골프를 즐겼다. 박정희 전 대통령, 전두환 전 대통령 등이다. 골프를 하진 않았지만 김대중 전 대통령도 골프에 관대했다. 반면 외환위기를 맞은 김영삼 대통령은 공무원 골프 금지령의 원조다.
박근혜 대통령은 골프를 하지 않는다. 좋게 보지도 않는 듯하다. 지난해 7월 박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들에게 “제가 골프를 치라, 말라 한 적이 없다”고 했다. 이어 “그런데 바쁘셔서 그럴 시간이 있겠어요”라고 되물었다. 금지령이나 다를 바 없다. 마치 중국집에서 “내가 낼 테니 비싼 거 시켜요. 아, 나는 자장면”이라고 하는 것과 똑같은 얘기다. 그랬던 박 대통령이 내년 10월 송도에서 열리는 프레지던츠컵 명예 대회장이 되면서 골프가 다시 화제다. 주로 대통령이나 전직 대통령이 명예위원장을 하는 지역 대항전이다. 대통령은 4일 관계자를 만난 자리에서 “골프는 이제 스포츠뿐 아니라 산업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골프장, 골프 의류·장비 등을 포함한 골프산업 규모는 약 20조원으로 추정된다. 종사자는 10만명이 넘어, 전체 스포츠산업의 3분의 1에 달한다.
대통령이 골프를 한다고 경제가 살진 않는다. DJ는 골프를 안 했어도 외환위기를 잘 벗어났다. 다만 대통령의 인식은 산업에 영향은 준다. 한 푼이 아쉬운 상황에서 스스로 "산업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한 골프를 계속 '한가한 사람이나 하는 운동'이라도 규정해 두는 건 이해가기 어렵다. 더 큰 문제는 따로 있다. 대통령은 지난주 시정연설에서 야당에 경제활성화 입법의 조속 처리를 호소했다. 이 중에는 야당이 정치적 이유나 관점의 차이로 선뜻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들이 있다. 하지만 대통령은 생각을 바꾸고 힘을 모아서 어려움을 헤쳐가자고 설득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요청이 골프 앞에 서면 초라해진다. 정작 대통령은 법을 고치는 것도 아니고 말 한마디면 될 수 있는 걸 꽉 막아놓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은 골프가 경제 정책과 의지의 시금석이 될 수도 있다. 본인이 별로 탐탁지 않은 일마저도 다 내려놓고, 뭐든 도움이 되면 해보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느냐의 문제란 얘기다. 박 대통령이 명예대회장을 맡은 프레지던츠컵의 슬로건은 이렇다. “이제 때가 왔다(The time has come).”

김영훈 경제부문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