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different as apples and orange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As different as apples and oranges

When North Korea suffered a prolonged Internet outage, some observers theorized that the United States was behind it - retaliating against the grand-scale cyberattack on Sony Pictures Entertainment, the production company responsible for the controversial comedy “The Interview.”

At the U.S. State Department’s daily press briefing on Dec. 23, North Korea was a constant.

“A former U.S. official said that a more powerful retaliatory signal would be to provide Internet access to North Koreans,” one reporter said. “What do you think of that?”

“There are a lot of ideas out there,” Marie Harf, the deputy spokeswoman for the U.S. State Department, responded. “I’m happy for people to write about them publicly. We have a range of options. I’m not going to rule anything in or anything out.”

It is quite strange to discuss who shut down North Korea’s Internet. Let’s rephrase that question to make it more direct: Is shutting down North Korea’s Internet really a retaliation?

Just as The New York Times, The Washington Post and other news outlets pointed out, an Internet outage in North Korea has little to no impact on average North Koreans. According to The New York Times, North Korea only has 1,024 official Internet protocol addresses, “fewer than many city blocks in New York.”

Contact with the rest of the world is extremely controlled, and the Internet is only accessible to select elites, overseas North Koreans, South Korea propaganda teams and at Kim Il Automation University, where hackers are trained. For some reason, Korean citizens know better than the American media: Prompting an Internet outage in a country with extremely limited Internet access is not a retaliation. North Korea can survive without the Internet. For this very reason, American technology experts claim that Washington wouldn’t have orchestrated such an obvious attack.

When U.S. President Barack Obama announced on Dec. 17 that full relations with Cuba would be restored, for instance, he welcomed Cuba’s decision to expand Internet access to its citizens. “I believe in the free flow of information,” Obama said, emphasizing that telecommunications connecting the United States and Cuba would be expanded.

Just as Joel Wit, a visiting scholar at the U.S.-Korea Institute at Johns Hopkins University, said, North Korea and Cuba are as different as apples and oranges. They have different ways of participating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Pyongyang’s nuclear program makes North Korea inherently unique.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Internet, the responses to Cuba and North Korea could not be any more different. The Internet symbolizes contact with the outside world, and encouraging its use is a way to open North Korea and reduce the psychological gap as we prepare for reunification. Pyongyang wages cyberwarfare against Seoul and the rest of the world, but in a broader context there are an unlimited number of cyber warriors fighting against the Communist state. In that sense, there is little to gain by annihilating North Korea’s Internet access.

The author is the Washington correspondent for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Dec. 27, Page 30

by CHAE BYUNG-GUN





영화 ‘인터뷰’를 제작한 소니 픽처스에 대한 해킹에 이어 북한 인터넷이 다운되며 미국의 보복 조치인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 지난 23일(현지시간) 미 국무부의 정례 브리핑. 역시 기자들의 북한 질문이 쏟아졌다. 그중 하나가 다음이다. 질문=“전직 당국자는 북한에 인터넷을 제공하는게 훨씬 더 강력한 보복이자 억제의 신호라고 했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마리 하프 국무부 부대변인=“우리는 많은 옵션들이 있다. 뭐가 들어있고 뭐가 빠져 있다고는 밝히지 않겠다.” 북한 인터넷이 마비된 것을 놓고 누구의 작품인지를 따지는 것을 보면 이상하기 그지없다. 국무부 브리핑룸에서 나왔던 질문을 직설적으로 바꿔 보자. 북한 인터넷을 마비시키는게 과연 보복인가?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등이 일제히 지적한 대로 북한 인터넷이 다운돼 봐야 북한 일반 주민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북한의 IP 어드레스는 1024개에 불과한데 이는 뉴욕 안의 구역(block)들에 배정된 IP 어드레스보다 더 적다. 외부 세계와의 접촉을 극도로 통제하는 북한에서 인터넷은 극소수 엘리트와 대남ㆍ대외 선전 부서, 그리고 평양 미림대학(해커 양성소)에서 접촉이 가능할게다. 왜 그런지는 미국 언론보다 한국 국민이 더 잘 알고 있다. 외부 세계는 북한에겐 ‘자본주의 날라리풍’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인터넷을 극도로 차단하는 북한에서 인터넷을 마비시키는 건 보복이 아니다. 북한은 인터넷이 없어도 살아가는 나라다. 미국내 인터넷 전문가들이 “미국 정부가 이런 뻔한 공격을 했을리 없다”고 주장하는 배경도 여기에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7일 쿠바와의 국교 정상화를 발표하며 “쿠바가 자국민들에게 인터넷 접속을 확대키로 한데 대해 환영한다”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나는 정보의 자유로운 유통을 믿는다”며 “그래서 미국과 쿠바 사이의 텔레커뮤니케이션 연결을 확대키로 승인했다”고도 강조했다. 조엘 위트 존스홉킨스대 국제대학원 연구원이 밝힌 대로 북한과 쿠바는 “사과와 오렌지 만큼이나” 다르다. 국제 사회에 참여하는 외양도 다른데다 북한 핵 때문에 속까지 다르다. 하지만 인터넷에 관한 한 쿠바와 북한에 대한 조치는 다를 수가 없다. 인터넷으로 상징되는 외부 세계와 북한의 접촉을 넓히는게 북한의 문을 여는 방법이자 통일에 대비해 남북 간의 심리적 격차를 줄이는 길이다. 북한은 한국과 전세계를 상대로 사이버전을 벌이고 있는데 시야를 넓혀 보면 인터넷엔 무한대의 대북 사이버 전사가 있다. 예컨대 남한의 ‘최고 존엄’을 거리낌 없이 비판하는 무수한 댓글이 북한 주민의 생각을 흔들어 놓는 ‘사이버 MD(북한 미사일 방어 체계)’다. 북한 인터넷을 절단내 봐야 얻을 것은 별로 없다.
채병건 워싱턴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