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the competent take charge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Let the competent take charge

For some reason, you may think Japan is not stingy with money. SoftBank’s president and COO Nikesh Arora is paid 16.6 billion yen, or $133.7 million, a record in Japan. The former Google executive became the highest-paid executive there for his service from Sept. 2014 to March 2015. The pay includes a signing bonus but is still an enviable number, more than 100 times the salary of SoftBank’s founder, Masayoshi Son.

And Son wants the Indian-born Arora to be the next chairman. What makes him a strong candidate is his competency; he has proven to be excellent in discovering promising companies and expanding them. Answering critics of the generous pay, Son says that it is still less than Arora’s ability.

It would have been nice if the leadership transition had been so amicable for the Lotte Group. Whether they had chosen one or two leaders, they could have chosen a better option for the future of Lotte. A rivalry between brothers would have been acceptable if they had been competing in competency and performance. Then the winner could become the leader. The battle of the brothers was especially bitter because we have just witnessed the war between Samsung and Elliott Associates. It has taught us that there are still more problems to be solved.

But there is one thing that must be made clear. The argument that a certain form can be the ideal corporate management structure is not valid in the real world. While some hired CEOs are competent leaders, others have sacrificed the future of the company for immediate performance gains. Of course owners are obliged to prevent moral hazard for the executives and employees, but their morals are often compromised first.

I am not arguing that companies should be left to do as they wish. The conglomerate system was important in Korea because they could effectively mobilize and amass capital when the country was developing. But we need to keep asking ourselves whether the current structure meets the needs of contemporary times.

Korea is trapped in low growth with many concerns and no clear solution. The only escape is to have competent leaders tak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nd lead with creativity. Management structural reform would allow competent leaders who are low in the hierarchy system come out and display their superpowers.

We need to first make sure the heads of each division in companies are doing their jobs with conviction. If they are keeping a low profile and only try to please their bosses and owners, they are practically sabotaging their duties. When all executives and employees are allowed to think like entrepreneurs and founders, it is a secondary issue whether an owner or a hired manager is leading the company.

The author is a deputy business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July 30, Page 30

BY KIM YOUNG-HOON



돈에 관해 왠지 짤 것 같은 일본. 그런 일본의 최고 연봉액은 166억엔, 우리 돈 1560억원이다. 주인공은 소프트방크의 인도 출신 부회장 니케시 아로라(47)다. 지난해 9월 구글에서 영입돼 올해 3월까지 받은 돈이 이 정도다. 계약금 포함이라지만 부러울 따름이다. 창업자인 손정의 회장 연봉의 100배가 넘는다. 게다가 손 회장은 일본인이 아닌 아로라를 차기 회장으로 민다. 딱 하나, 능력만 보고서다. 아로라는 될성부를 기업을 찾아서 키우는 능력이 탁월하다. 과잉 보수 논란에 손 회장은 “능력에 비해 싸다”고 그를 감싼다. 이런 그림이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롯데그룹 말이다. ‘투 톱’이든 ‘원 리더’든 롯데의 미래를 위해 더 나은 쪽을 선택하면 그만이다. 형제끼리 경쟁도 못할 건 없다. 단, 능력과 실적이 기준이 되면 된다. 그래야 승자도 진정한 리더가 될 수 있다. 형제 다툼에 입맛이 쓴 건 삼성·엘리엇 전쟁 직후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미뤄놓고 풀지 않은 숙제가 있었다는 걸 알려주는 듯하다. 분명히 하고 갈 점은 있다. 특정 형태가 기업 지배구조의 정답이라는 주장은 강단에선 몰라도 현장에선 하나 마나 한 얘기다. 훌륭한 전문 경영인이 있지만, 자기 실적을 위해 회사 미래를 저당잡힌 전문 경영인도 있다. 임직원의 모럴 해저드를 막는 게 기업 소유주의 책무인데, 소유주의 모럴이 먼저 무너지기도 했다.
손 놓자는 얘기는 아니다. 대기업 집단 체제가 유의미한 것은 개발 연대에 효율적으로 자본을 축적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다시, 그리고 끊임없이 자문해야 한다. ‘지금의 지배구조는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가’라고 말이다. 우리는 걱정은 많지만 해법은 못 찾는 저성장의 늪에 빠졌다. 탈출구는 하나다. 능력있는 사람이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창의성을 지휘하는 자리에 서도록 해주는 것이다. 잘못된 위계 때문에 숨죽이고 있는 수퍼 파워가 발휘되도록 하는 것, 이게 곧 지배구조의 개선이다. 이미 기업 내 부문별 책임자가 된 분들이 소신껏 일하고 있는지부터 살펴 볼 일이다. 그들마저 눈치보느라 못하고 있다면, 여태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것과 같다. 더 나아가 임직원이 누구나 창업자처럼 사고할 수 있게 된다면, 그 정점이 총수인지 전문 경영인지는 부차적일 뿐이다. 구조만 탓하지말고 스스로 바꾸라고 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해결 속도는 권한 쥔 사람이 변할 때 훨씬 빠르다. 그렇게 해야 할 만큼 경직된 현실은 한 고위직 인사의 일화로 설명을 대신한다. “개그콘서트를 매주 열심히 봤어. 그걸 봐야 젊은 사람하고 말이 통한다고 해서. 몇 번 써먹기도 했고. 그런데 격 없이 지내는 후배가 그러더라고. ‘형님, 개콘 얘기 그만 하세요.’ ‘왜?’ ‘보스가 개콘 좋아한다는 소문이 나서 개콘 좋아하지 않는 직원도 매주 개콘 보느라 스트레스랍니다.’”
김영훈 경제부문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