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hampoo effect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The shampoo effect

The supplies package for workers 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from the South used to include protective clothing and gloves. Now, it has become more of a care package that includes snacks, instant noodles, toothpaste, toothbrushes and spices.

Lately, the most popular item is KeraSys shampoo. Companies in the joint industrial park in the North provide each worker with products worth $60 to $80, and workers take several boxes of shampoo. A company head wondered why the male workers needed so much shampoo. He found that the shampoo is being sold to a distributor outside of the complex to be resold at markets in Pyongyang.

The Korean shampoo is mostly bought by the privileged in Pyongyang. While the shampoo comes through the North Korea-China border as well, buyers are worried about fake products from the Chinese distribution network. The products that come through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re considered more trustworthy.

Inter-Korean ties have been frozen for eight years, and while few human exchanges are made, the necessities appear to flow through the small veins of supply and demand. More than 50,000 workers are employed at the complex, and at least $3 million worth of supply packages are sent every month, not a negligible amount.

In the 1960s and ’70s, fishermen hired by Taiwanese and Chinese merchants traded necessities like thermos flasks and toothpaste for fishery products in the waters near Fujian province.

While the three Cross-Strait links - transportation, commerce and communications - were severed in the ’80s, black market dealings for necessities was legalized. A small market was set up in Dadeng Island in Xiamen, not far from Kinmen Island.

The Dadeng trade market was a sort of frontier trade and in 1995, it became the Taiwan Small Goods Trade Market. Fresh food and manufactured products imported to Taiwan are traded as much as 30 percent lower than the black market price. As the supply and demand for necessities benefited both China and Taiwan, Cross-Strait tensions began to thaw.

Taiwan feared and rejected reunification by absorption and refused the three links in order not to be taken into the centrifugal force of China, but China started allowing commercial trade with Taiwan and expanded to exchanges and cooperation of 10 million people visiting each other. The changes have been induced through contacts with a long-term view of over 40 years.

It is too early to analyze the shock of KeraSys shampoo on North Korea, but the demand of the market is expanding to high-end products, and diversification is certainly a sign of dynamic change.

We have many islands of opportunity. In addition to Yeonpyeong Island, Cheongjubeol in Gyodong Island in Ganghwa, offers a site for inter-Korean trade of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and necessities. Korea is caught in the quagmire of sluggish growth, and North Korea is a new growth engine and another domestic market for Korea in the future. Grand special economic zones or railway infrastructures are not the only breakthroughs. Cross-Strait development began from markets.

*The author is a deputy political news editor at JTBC.

JoongAng Ilbo, Aug. 6, Page 34

by CHEONG YONG-WHAN



개성공단 노동자를 통해 북한으로 들어가는 노보물자. ‘노동력 보호 물자’의 약자로 작업복ㆍ장갑을 뜻했던 노보물자는 초코파이ㆍ라면 등 간식을 거쳐 치약ㆍ칫솔ㆍ조미료 등 생필품으로 확대됐다. 요즘엔 케라시스 샴푸가 대세다. 입주업체 측에서 제공하는 물량은 1인당 60~80달러선.사람마다 몇 박스씩 챙겨간다.입주업체의 한 대표는 “남자들이 삼푸를 왕창 받아다 어디에 쓰려고 저러나 했다”고 한다. 샴푸는 공단 밖 유통업자에게 넘어가 평양 장마당(시장 격)으로 흘러간다고 한다. 한국산 샴푸는 평양의 특권층이 주로 소비한다.북ㆍ중 국경을 통해 암암리에 들어오기도 하지만 중국 유통망을 통하다보니 짝퉁(위조품) 걱정은 평양 특권층도 마찬가지인 모양이다. 개성공단 유통망을 거치는 게 최상등품 취급을 받는다. 남북관계 경색 8년째.인적교류는 대부분 끊어졌지만 생필품은 이렇게 수요와 공급의 실핏줄을 이뤄 흐르고 있다. 공단 직공이 5만명이 넘으니 노보물자에 매달 투입되는 비용이 적어도 300만불에 달한다. 마냥 무시할만한 규모도 아니다. 1960~70년대 푸젠(福建)성 인근 바다에서 대만과 중국의 상인들이 고용한 어부들은 배를 띄워놓고 보온병ㆍ치약 같은 생필품과 수산물을 몰래 주고받았다. 양안(兩岸,중국ㆍ대만)간 ‘3통(통상ㆍ통항ㆍ통신)’도 없던 80년대였지만 생필품 밀매는 양성화됐다. 샤먼(廈門) 앞바다 다덩다오(大嶝島)에 소규모 상업 시장이 열렸다.포격전으로 유명한 진먼다오(金門島)와 닭울음 소리가 들릴 정도로 지척 거리였다. 일종의 변경무역이었던 다덩다오장(場)은 95년 무관세가 적용되는 ‘대만 소액상품 거래시장’으로 확대됐다. 당일 대만에서 들어온 신선 식품과 공산품이 암시장 가격보다 최대 30% 저렴했다. 생필품 수요와 공급이 쌍방에 이익이 되면서 얼음장 같았던 양안에 해빙의 틈을 벌린 것이다. 흡수 통일에 대한 공포와 거부감이 컸던 대만은 대륙의 구심력에 빨려들어가지 않기 위해 3통을 거부했다. 그런 대만을 상대로 대륙은 상업 거래부터 숨통을 틔우기 시작해 이제는 연간 1000만명이 오가는 교류협력 시대를 열었다. 40년 이상의 긴안목으로 이뤄낸 접촉을 통한 변화다. 케라시스 샴푸가 북한에 준 충격을 가늠하기 이른 시점이지만 장마당의 수요가 고급 소비재로 확대되고 세분화되고 있는 현실은 역동감 있게 다가온다. 우리에겐 이런 기회의 섬이 많다. 연평도 뿐 아니라 지난 10년간 대선 캠프에서 주목하던 강화 교동도 앞 청주벌도 남북의 농수산물ㆍ생필품이 깔릴 수 있는 시장터다. ‘생각할 수 없는 것을 생각하려고 노력했던’ 서독의 통일 전략가들은 받지 않으면 스스로 기회 손실이 되는 현실적 카드로 접촉면을 넓혔다. 저성장 늪에 빠진 한국의 미래에 북한은 신성장동력이자 제2의 내수시장 아닌가. 거창한 경제특구나 공단, 철도 인프라 연결만이 길이 아니다. 양안은 시장부터 시작했다.

정용환 JTBC 정치부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