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interpreting the past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Reinterpreting the past

On Sept. 3, the day of the parade commemorating the World War II victory, a movie titled “Cairo Declaration” opened in China nationwide. The title is inspired by the agreement upon the Cairo Conference, where Franklin Roosevelt, Winston Churchill and Chiang Kai-shek discussed the post-WWII order, with the consent of Joseph Stalin. But even before the movie was released, it was criticized for lacking basic historical knowledge. The poster of the film features the face of Mao Zedong, but it was Chiang Kai-shek who participated in the Cairo Declaration that confirmed the restoration of Northeast China and Taiwan.

It is a historical fact tha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fought against Japanese aggression. Zhu De’s Eighth Route Army won a series of victories against the Japanese forces with cleaver tactics. However, they were operations in the rear. It was the Kuomintang army that fought in the front, and the hero of anti-Japanese resistance on the continent was Chiang Kai-shek. While the role of the Communist Party shouldn’t be underestimated, the leading and supporting roles must not be confused.

Aside from this movie, a number of films about the war against Japan were released to celebrate the 70th anniversary. Televisions were ordered to stop airing entertainment programs and repeatedly presented historic films and related dramas. Bookstores displayed dozens of books on the topic.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Chinese government suggest that China is reinterpreting the history of fighting against Japan. The project can be called “victory engineering.” If the focus had previously been on “anti-Japanese resistance,” it has now shifted to China’s contribution to the anti-fascist war.

An example is the frequent reference to the “main battlefield of the East.” Just like Europe, the main battlefield of the West, China was the main stage of the anti-fascist war, it suggests. At the Anti-Japanese War Memorial, a new graph was posted comparing China’s 14 years of anti-fascist war to America’s three years and nine months and the Soviet Union’s four years and two months. It i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that the local resistance inspired by the Sept. 18, 1931, incident began the anti-fascist war. “The Marco Polo Bridge Incident of 1937 was the beginning of the first large-scale anti-fascist war in the world,” it states. The claim deviates from the general understanding that WWII broke out due to Germany’s aggression toward Poland in 1939.

Whether it is the anti-Japanese fight or anti-fascist resistance, China emphasizes the Eighth Route Army and the New Fourth Army, which were affiliated with the Communist Party, rather than the Kuomintang. It leads to a conclusion that the Chinese people led by the Communist Party were the heroes who made critical contributions to victory by fighting and winning the most important battles in WWII. While historians would question the validity of this interpretation, one thing is clear: China is raising its voice alongside the Unites States and the Western world to share the honor of saving humanity from fascism in WWII, and the status of a leading player in world history.

*The author is the Beijing correspondent for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Sept. 8, Page 34

by YEH YOUNG-JUNE



전승절 열병식이 펼쳐지던 3일, 중국 각지에서 ‘카이로 선언’이란 영화가 개봉했다. 1943년 루스벨트와 처칠, 장제스가 2차대전 종전 후의 세계 질서를 논의한 뒤 스탈린의 동의를 얻어 발표한 선언에서 제목을 따왔다. 그런데 이 영화는 개봉전부터 네티즌들로부터 “초보적인 역사 지식도 없냐”는 질타를 받았다. 영화 포스터에 마오쩌둥의 얼굴이 큼지막하게 그려진 때문이다. 중국 동북지방과 대만 반환을 확인한 카이로 선언의 주역 자리를 장제스가 아닌 마오가 떡하니 꿰찬 것이다.
중국 공산당이 일본의 침략에 맞서 싸운 건 역사적 사실이다. 주더(朱德)의 팔로군은 제갈량 뺨치는 신출귀몰 전술로 일본군에 연전연승을 거뒀다. 하지만 이는 '적후(敵後)작전', 즉 후방에서의 교란 또는 협공작전이었다. 최전선에서 정규전을 치른 건 국민당이었고 중국 대륙에서의 항일 주역은 누가 뭐래도 장제스였다. 공산당의 역할을 폄하해서도 안되겠지만 카이로 선언처럼 팩트가 분명한 일에 주연과 조연이 바뀌어선 곤란하다. 이 영화 외에도 중국에선 여러 편의 항일전쟁 영화가 전승 70주년을 맞아 동시에 개봉됐다. 오락프로 중단 지시를 받은 TV는 기록영화와 관련 드라마를 반복해서 틀었다. 서점에는 관련 서적 수십종이 새로 깔렸다. 그 중 당국의 공식 출판물을 통해 알 수 있는 건 중국이 항일전쟁사를 새롭게 해석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전승 공정'이라 이름붙일 만한 프로젝트다. 필자가 보기엔 여태까지 '항일'에 촛점이 맞춰졌다면, 올해엔 ‘반파시스트’ 전쟁에 대한 중국의 공헌을 강조하는 쪽으로 무게중심을 옮겼다.
최근 등장빈도가 부쩍 높아진 '동방 주전장'이란 개념은 그 실례다. 서방 주전장인 유럽 대륙과 마찬가지로 중국대륙은 반파시스트 전쟁의 주무대였다는 것이다. 항일전쟁기념관에는 "중국은 14년간 반파시스트 전쟁을 치렀다"며 미국(3년9개월), 소련(4년2개월)과 비교하는 그래프가 새로이 걸렸다. "1931년 9ㆍ18 사건으로 시작된 중국 동북지방에서의 국지항전이 반파시스트 전쟁의 서막을 열었다"는 해석에 따른 것이다. "1937년 노구교 사건에서부터 세계 최초의 '대규모' 반파시스트 전쟁이 시작됐다"는 기술도 나온다. 1939년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2차대전이 시작됐다고 보는 통념보다 더 확대된 개념이다.
항일이건 반파시스트건 중국에서 강조되는 건 공산당 계열의 팔로군과 신사군의 전투다. 국민당의 항일을 부각시키지 못하는 게 중국의 정치현실이다. 그러다보니 이런 결론으로 이어진다. 중국 공산당이 주도하는 중국인민이야말로 2차대전에서 가장 치열하게 싸우고 혁혁한 전과를 올리며 결정적으로 승전에 기여한 주역이란 것이다. 이런 해석이 타당한지 여부는 역사가들이 검증하겠지만 이것만은 분명한 사실이다. 인류를 파시즘의 질곡에서 구한 2차대전 주역이란 명예를, 나아가 세계사의 주역이란 지위를 나눠갖자고 중국이 미국 중심의 서방을 향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예영준 베이징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