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lind spot for family reunion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A blind spot for family reunions

On Oct. 27, government officials and civilian organization staff gathered in Washington, D.C., to discuss North Korean human rights policy. It was right after the long-awaited reunions were held in Mount Kumgang, North Korea. When asked about the U.S. government’s position on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U.S. Special Envoy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Robert King sai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is a difficult one.

A Korean government official attending the event also said that being included in the list of families to be reunited is like winning a lottery in Korea. But even that small chance is more than what most Korean-Americans with family in the North can hope for.

These families are in a blind spot, not getting attention from either the Korean or U.S. governments when it comes to reunion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Unification, there are more than 7,700 people over the age of 90 registered in th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Separated Families. Currently, 100 people are selected randomly for each reunion event, and the chances of being chosen are one in 77 among those over the age of 90.

Most Korean-Americans are U.S. citizens, which means they have trouble registering in the system. They need a resident ID number to register online, but they don’t have one because they are not Korean nationals.

The U.S. government doesn’t seem to have any intention of pursuing family reunions for Korean-Americans since North Korea has detained Americans several times. Whenever Americans are detained in the North, the U.S. Department of State has asked U.S. citizens to refrain from traveling to North Korea.

Despite the realistic challenges, the separated families in the United States should not be neglected. That’s not desirable for humanitarian causes, and there is even the possibility of their desperation being exploited.

A Korean-American who had applied for the October reunion to the Ministry of Unification last month said that before he even confirmed he had been formally registered, someone offered to bring him to North Korea and arrange a meeting with his family there.

But he was not sure if it was an official visit, so he turned it down. “Unless the U.S. government gets itself involved in the process for us, we cannot go to North Korea without verifying who these people are,” he said.

Korean-Americans are desperate to meet their families and relatives in North Korea and learn about what their parents were like when they were alive. But Pyongyang could abuse their desperation as a propaganda tool.

While South Koreans are not allowed to visit the North without permission from the government, Koreans living overseas can find ways to get there. The Korean and U.S. authorities need to seek ways to address the plight of separated families with U.S. citizenship through under-the-table negotiations, if necessary.

The author is the Washingt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Nov. 10, Page 34

by CHAE BYUNG-GUN


지난달 27일 미국 워싱턴에서 행정부 관료, 민간단체 인사들이 모여 대북 인권 정책 토론회를 열었을 때다. 우여곡절 끝에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진행됐던 직후였다. 토론회에서 만난 로버트 킹 국무부 북한인권특사에게 미주 한인 이산가족에 대한 미국 정부의 입장을 묻자 “미국과 북한 간의 관계가 어렵다”며 “아무래도 이산가족 상봉 문제는 한국이 전문이 아닌가”라고 답했다. 이 자리에 참석했던 한국 정부 인사도 난감한 표정을 지으며 “한국 내에서도 상봉 기회를 얻는게 로또 경쟁률이라 하지 않나“라고 밝혔다. 이산가족 상봉의 규모는 제한돼 있으니 미주 한인 이산가족이 상봉단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극히 적다는 의미였다. 그는 “(미국내 한인 이산가족은) 미국 국적인 점도 있고…”라고도 했다.
미주 한인 이산가족은 상봉에 관한 한 한ㆍ미 양국 정부로부터 관심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에 있다. 통일부에 따르면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이산가족중 90세 이상인 분들만 7700여명이다. 100명을 추첨하는 현재의 상봉 규모로는 90세 이상의 고령자 분들 만으로도 경쟁률이 77대1이다. 또 미주 한인 이산가족들은 국적이 대부분 미국이라 이산가족으로 등록하는 자체가 쉽지 않다. 온라인으로 등록을 하도록 돼 있는데 그러려면 주민등록번호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한국 국적이 없으니 주민등록번호가 없다. 미국 행정부도 잊을만 하면 ‘미국인 억류 사태’가 벌어지는 북한을 상대로 한인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할 의향은 현재로선 적어 보인다. 억류 사태가 벌어질 때마다 미국 국무부는 자국민들에게 북한 여행을 자제해 달라고 밝혀 왔다.
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을 이유로 미주 한인 이산가족 문제를 마냥 외면만 할 수는 없다. 인륜의 측면에서도 바람직스럽지 않고 또 이산가족의 한이 악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이산가족 상봉에 참여하기 위해 알음알음으로 통일부에 상봉을 신청했던 한 한인 이산가족 인사는 “내가 이산가족으로 정식 등록이 됐는지 여부도 확인이 되지 않았는데 이후 어딘가에서 북한에 들어가 가족을 만날 수 있게 해주겠다는 제안이 왔다”며 “하지만 공식 방북인지 여부가 불분명해 그냥 듣고만 말았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으로선 미국 정부가 움직이면 모를까 우리가 (어떤 단체가 주선하는지 확인도 않고) 그냥 들어갈 수 있겠나”라고 밝혔다. 가족과 친지의 얼굴을 생전 한번이라도 보고 싶고 돌아가신 부모님의 살아계실 때의 모습을 하나라도 듣고 싶은 이산가족의 안타까운 심정을 극단적인 경우 북한이 엉뚱한 해외 선전전의 기회로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게 사실이다. 한국에서야 당국의 허가를 받지 않은 방북이 불가능하지만 해외에서는 하려고만 하면 방법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미 당국은 물밑에서라도 한인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는게 필요하다.
워싱턴=채병건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