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re should Korea turn for help?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Where should Korea turn for help?

Kim Dae-hwan, the chairman of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left for Greece on Tuesday. The Greek government, which had been on the brink of default, urgently asked the commission for help.

The Economic and Social Council of Greece (OKE) was constitutionally established in 1994. Just like Korea’s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the OKE provides recommendations to the government and assembly to resolve economic and social issues through social dialogue.

However, it has rarely played its function. While strikes have become a common practice in Greece, the OKE hasn’t been able to discourage or control them. And it hasn’t reached notable social consensus. Over time, Greece has become a country of tourism and agriculture. Because of the strikes, no foreign company wants to invest in Greece.

As Greece is still struggling in the default crisis, discord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continues. They work for their own interests. But Greece can escape from the economic crisis when labor relations become stable. And the key solution is a nationwide agreement.

Here, the OKE’s role is more important than ever. Since the end of 2014, the OKE has been asking the Korean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s for help. When the tripartite agreement was reached on Sept. 15, the Greek organization frantically sent an S.O.S., asking for cooperation. Greece wants to learn how Korea reached the agreement.

Kim and George Vernicos, president of the OKE, will sign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for information exchange and joint investigations and seminars. The Sept. 15 tripartite agreement has become a national asset that countries around the world pay attention to. It is the Korean Wave in agreements among labor, management and government.

While the agreement is so celebrated abroad,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has been slow to pass the bill, turning it into a topic of political strife. Before Kim left, he said, “While no agreement has been made on the law on temporary and dispatched workers, the public members recommended by the tripartite commission have made agreements, and the commission decided to send what the public members agreed on to the National Assembly. The recommendations have already been sent, but the National Assembly is not discussing it, putting the nation and the people in trouble.”

Kim also criticized the government. “The government should not rush the guidelines on firing underperforming employees and changes to employment rules. Once we’ve decided to reach agreements, we need to discuss them first.” On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he said that the protests against the bill were against the spirit of agreement, once it was decided to send the agreement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it was not right to delay consultation related to the guidelines.

Greece asked for help from Korea’s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out of desperation. But where should Korea turn for help? We even envy Greece for sending an S.O.S. to Korea.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and senior reporter on labor affairs for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Dec. 16, Page 33

by KIM KI-CHAN


김대환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장이 15일 그리스 출장길에 올랐다. 국가 파산 위기에 몰렸던 그리스 정부가 노사정위에 긴급 구조신호(SOS)를 보내온 데 따른 것이다.
 그리스 경제사회위원회(OKE)는 1994년에 설립된 헌법 기관이다. 한국 노사정위처럼 사회적 대화를 통한 경제·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와 의회에 의견(권고문)을 낸다. 그러나 제 기능을 한 적은 별로 없다. 파업이 일상화됐지만 제어하거나 자제시키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물론 눈에 띄는 사회적 합의를 했다는 소식도 전해진 바 없다. 이러다 보니 관광과 농업만 있는 나라가 됐다. 파업 때문에 어느 국가의 기업도 그리스에 투자하지 않아서다.
 디폴트 위기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그리스에선 지금도 노사 간 다툼이 끊이지 않는다. 각자의 이익을 위해 따로 움직인다. 이걸 진정시켜야 경제 위기를 벗어날 수 있다. 그 묘수가 사회적 대타협이다. OKE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그런 OKE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한국 노사정위에 수차례 구애신호를 보냈다. 올해 9·15 노사정 대타협이 나오자 거의 SOS 수준으로 협력을 요청했다. 사회적 대타협의 노하우를 한국에서 찾으려 나선 셈이다. 김 위원장과 조지 A 베르니코스 OKE 위원장은 17일 두 기관 간의 정보 교류와 공동 조사, 공동 세미나 개최 등을 담은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9·15 노사정 대타협이 전 세계의 주목을 받는 국가적 자산이 된 셈이다. 노사정 대타협의 한류라 할 만하다.
 이렇게 주목받는 사회적 대타협이 국회에서는 함흥차사다. 정치권의 정쟁거리로 전락했다. 김 위원장은 출국길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기간제와 파견근로자법은 노사정 간에 합의가 안 됐다고 하지만 노사정이 추천한 공익위원끼리 합의했다. 공익위원이 합의한 것을 국회로 보내기로 노사정이 뜻을 함께했다. 그렇게 국회로 보냈는데, 논의도 하지 않는 건 국가와 국민을 곤경에 빠뜨리는 행위다.”
 김 위원장은 정부에도 쓴소리를 했다. “저성과자 해고지침과 취업규칙 변경과 관련된 지침은 정부가 속도전으로 몰아붙여선 안 된다. 협의하기로 했으면 협의부터 해야 한다”고. 한국노총에도 “국회로 대타협문을 보내기로 합의한 이상 법안을 반대하며 농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건 합의정신 위반이다. 2대 지침과 관련된 협의를 미루는 지연 작전도 옳지 못하다”고 했다.
 목 타는 그리스가 노사정위에 SOS를 보내는데, 숨넘어가는 한국 경제는 어디에 SOS를 쳐야 할지 난감한 상황이다. 그리스가 자존심을 구기면서까지 한국에 손을 내미는 모습이 부럽기까지 하다.
김기찬 고용노동 선임기자
[출처: 중앙일보] [취재일기] 목 타는 그리스의 SOS가 부러운 까닭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