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plan for a nuclear North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A new plan for a nuclear North

Let’s turn the clock back 12 years on North Korea’s nuclear crisis.

In January 2004, North Korea showed American nuclear scientist Siegfried Hecker (pictured) its nuclear facilities in Yeongbyon. There, he saw a glass box with 200 grams of plutonium, an ingredient for nuclear weapons.

Kim Kye-gwan, the vice foreign minister of North Korea, asked Hecker whether the visit assured him that Pyongyang had adopted nuclear deterrence. He was not assured, he responded, explaining that nuclear deterrence takes into consideration plutonium production capabilities, design and production capabilities as well as the ability to load nuclear weapons on a carrier.

He stressed that though nuclear deterrence had worked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t was meaningless for Pyongyang and Washington.

North Korea’s fourth nuclear test on Jan. 6 harkens back to the old days, and whether or not it really involved a hydrogen bomb, Pyongyang’s nuclear capability is at the stage in which it is able to make nuclear weapons light and small. The regime’s stockpile of ballistic missiles have grown in number and range, and multiple plutonium and uranium production facilities are in operation.

It’s also unlikely that Pyongyang will remain quiet until May, when it is scheduled to hold its seventh Workers Party convention, and that poses a challenge for Seoul.

After North Korea’s latest nuclear test, Hecker - who has visited nuclear sites in North Korea seven times over the past decade - called for Pyongyang to freeze its nuclear facilities and suspend testing. He has also addressed the security concerns, energy shortages and economic fears surrounding the issue.

Sanctions are inevitable. But sanctions alone will not resolve the nuclear crisis.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is a North Korean issue. That is an aggregation of system security, domestic politics, the imbalance of conventional military strength and diplomatic means.

In order to prevent a fifth nuclear test and missile launch, a comprehensive approach with a long-term perspective should be tried.

The answer is already in the six-party joint declaration of Sept. 19, which outlines North Korea’s abandonment of its nuclear program, a system of peace on the peninsula and the normalization of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key is cooperation among the five parties involved: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China and Russia.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system cracked when the concerned parties took a geopolitical approach on the nuclear issue. North Korea’s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is a strategic burden to all five nations and the core reason for joint action. It is now Korea’s responsibility now to come up with a step-by-step plan.

The author is the Tokyo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Jan. 16, Page 30

by OH YOUNG-HWAN


북한 핵 문제의 시침을 12년 전으로 되돌려본다. 2004년 1월, 북한은 미국 핵물리학자 지그프리드 해커 박사에게 영변의 핵 시설을 공개했다. 동시에 핵무기 원료인 플루토늄 200g이 든 유리상자를 보여주었다. 해커 박사가 “시설만 보여줬을 뿐 플루토늄을 얼마나 추출했는지 모르겠다”고 한 데 대한 대응이었다. 김계관 외무성 부상(현 제 1부상) 측은 시찰 후 해커에게 대뜸 “이번 방문이 우리의 핵 억제력(nuclear deterrent) 보유에 대한 확신을 심어 주었는가”라고 물었다. 해커는 “그렇게 평가할 수 없다”고 답했다. 핵 억지력은 플루토늄 제조 능력, 핵무기 설계·제조 능력, 핵무기의 운반체 탑재 능력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핵 억지는 과거 미·소 간에 작동한 것으로 북·미 간에는 의미가 없다고 일침을 가했다.
 지난 6일의 북한의 4차 핵실험과 비교하면 까마득한 옛날 얘기 같다. 북한이 얼마나 핵무장을 향해 질주해 왔는지를 일러 준다. 한국을 비롯한 관계국엔 통째로 잃어버린 12년이기도 하다. 이번 핵실험이 수소탄이든 아니든 북한 핵 능력은 소형화·경량화의 단계로 들어섰다. 탄도미사일은 수(數)도, 사거리도 늘고 있다. 플루토늄과 고농축 우라늄 생산 시설은 함께 돈다고 봐야 한다. 북한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가 결정되면 장거리 탄도미사일 카드를 꺼낼 수도 있다. 5월의 7차 노동당 대회까지 잠잠할 것 같지가 않다. 핵을 가졌다는 북한의 집단사고는 통상적 도발의 유혹에 빠지기도 쉽다. 또 다른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번 핵 실험 후 해커 박사는 다시 세 개의 노(No) 지론을 펼쳤다. 그는 북핵 시설을 일곱 번 둘러본 인사다. 두 개의 노는 ‘더 이상의, 더 좋은 핵무기는 안 된다(No more, No better bombs)’다. 핵시설 동결과 핵실험 중지가 필요하다. 마지막은 수출 금지(No export)다. 해커는 동시에 세 개의 대가(Yes)를 제시한다. 북한의 안보 우려와 경제난, 에너지 부족에 대한 대응이다. 핵 폐기를 전제로 한 현실적 출발점으로 검토할 만하다. 궁극적 핵 폐기는 세 개의 대가 정도와 맞물려 있을지 모른다.
 핵실험에 대한 제재는 불가결하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북한 핵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북핵은 곧 북한 문제다. 체제 안보와 대내 통치, 통상전력(戰力) 불균형 해소, 외교 수단이 응축돼 있다. 5차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가 없도록 장기적 시야에서 다시 포괄적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답은 북한의 핵 포기와 한반도 평화체제, 북·미 관계 정상화를 담은 6자회담 9·19 공동성명에 나와 있다. 관건은 한·미·일·중·러 5개국의 협력이다. 관계국이 북한 핵 문제를 지정학적 이해의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핵 비확산 체제에 큰 금이 갔다. 북한의 핵 보유는 5개국 모두에 전략적 부담이다. 북한 핵 문제를 대립과 경쟁 관계의 주변국이 공동 보조를 취할 수 있는 발판으로 삼는 구상이 필요하다. 그 역할은 우리의 몫이다.
오영환 도쿄총국장
[출처: 중앙일보] [글로벌 아이] 북핵 세 개의 No, 세 개의 Yes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