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way’ labor reform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One-way’ labor reform

Reporters are laborers, too. We work night and weekend shifts. Many of us cannot fully use annual vacation days and get paid for the unused vacation days. On Monday, I attended the New Year’s press meeting with Korea Employers Federation chairman Bahk Byong-won, who harshly criticized overtime pays and annual vacation days.

“Workers choose to work overtime to get 50 percent extra wages,” he said. “Also, they want to be paid for unused vacation. The extra payment for overtime should be lowered to the 25 percent level recommended by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Also, the system that encourages working long hours should be changed, and monetary compensation for unused vacation days should be prohibited.”

Reporters had many questions. “Workers have to do overtime against their will. In Korea, many workers cannot freely use their vacation days as they wish in reality.”

But Bahk insisted, “Employers never demanded long working hours and workers voluntarily chose to do overtime. If workers feel uncomfortable using all their vacation days, the union needs to fight to change the culture.” He argued that eliminating overtime and fully using vacation days would boost youth employment rate by 2 percent. “Instead of trying to get more money out of the employers, workers need to consider yielding 50 percent of what they enjoy by taking away job opportunities for their sons and nephews.”

Bahk’s remarks sparked controversies online. “Many workers are not even paid for working overtime. How many of them work voluntarily?” “We want to ask if the employers agree with Bahk. If someone leaves at 6 p.m. and uses three weeks of vacation, he would get low grades in the performance review and be laid off.”

Workers are furious that Bahk’s diagnose is so far from reality. According to employment portal site Job Korea’s survey of 574 workers, 55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had to work overtime due to “excessive workload”; 29 percent said the nature of the job required it; and 22 percent said company culture encourages working late (multiple answers allowed). A 2012 survey by the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showed that 42 percent of respondents said company culture discouraged them from fully using vacation days, while 18 percent said they could not take vacations due to excessive workload, and only 12 percent said the monetary compensation was the motivation. Workers are not working overtime or skipping vacation for money.

Bahk represents the employers, and he must have wanted to argue that labor reform is the key element to boosting national competitiveness. But he only left the impression that employers are pushing for “one-way” labor reform, where only workers sacrifice.

The author is the business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Feb. 18, Page 33

by KIM KI-HWAN


기자도 근로자다. 종종 야근을 하고, 때로 휴일 근무도 한다. 연차휴가를 다 쓰지 못해 수당으로 받는 해도 있다. ‘근로자’인 기자는 지난 15일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회장의 신년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 이날 박 회장은 연장 근무와 연차휴가에 대해 ‘쓴소리’를 쏟아냈다.
 “근로자들이 50% 더 주는 임금을 받으려고 연장 근로를 선택하고 있지 않습니까. 연차휴가도 다 쓰지 않고 수당으로 받길 원하고요.”
 그는 “연장 근로 수당 할증률을 국제노동기구(ILO) 권고 수준인 25%로 낮춰야 한다. 또 쓰지 않은 연차휴가는 금전 보상을 금지하는 등 장시간 근로를 조장하는 제도부터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기자단의 질문이 쏟아졌다. “회사 생활을 하다 보면 원치 않아도 야근할 일이 생긴다. 연차휴가를 마음대로 쓸 수 없는 게 우리나라 근로 현실 아니냐”는 내용이었다. .  박 회장은 “장시간 근로는 사용자가 강요한 게 아니라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택한 것”이라며 “연차휴가를 다 쓰면 직장에서 눈치 보인다고 하는데 그게 바로 노조가 투쟁해야 할 대상”이라고 답했다. 이어 “초과근무를 없애고 연차휴가를 다 쓰면 청년 고용률이 2% 늘어난다”며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한 푼 더 뜯어내려 할 게 아니라 아들·조카의 취업 기회를 뺏으면서 누리는 것을 50%만 양보하려는 고민을 해 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박 회장의 발언을 두고 인터넷 게시판이 들끓었다. 관련 기사엔 “이런저런 이유로 연장 근로 수당을 받지 못하는 근로자도 많다. 자발적으로 야근하는 직원이 몇이나 될까” “한국 경영자들의 입장이 박 회장과 같은지 되묻고 싶다. 오후 6시 칼퇴근하고 연차휴가 3주 다 쓰면 저성과자로 몰려서 회사에서 잘린다”와 같은 댓글도 많았다.
 근로자가 뿔난 건 박 회장의 진단이 현실과 동떨어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직장인 574명을 설문한 결과(중복응답) 응답자는 야근 이유로 ‘과도한 업무량’(55%)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업무 특성’(29%) ‘야근을 조장하는 회사 분위기’(22%) 순이었다. 2012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설문 에서 근로자는 연차휴가를 다 못 쓰는 이유로 ‘눈치 주는 회사 분위기’(42%)를 가장 많이 꼽았고, ‘과도한 업무’(18%)가 뒤를 이었다. ‘연차 보상비’는 12%였다.
 사용자 측을 대표하는 박 회장으로선 노동개혁이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란 점을 설득시키고 싶었을 것이다. 그럴수록 근로자의 공감을 이끌어 낼 탄탄한 논리로 뒷받침하고 신중하게 발언했어야 했다. “근로자 희생을 강요하는 ‘일방통행’ 식 노동개혁을 밀어붙인다”는 오점만 남았다.
김기환 경제부문 기자
[출처: 중앙일보] [취재일기] 근로자 현실 이해 못한 경총 회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