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id response to history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Timid response to history

It was in front of New York City Hall that I met 88-year-old Lee Yong-soo, a victim of Japanese wartime sexual slavery, again on March 8. New York City’s politicians were calling upon the Japanese government to acknowledge responsibility and officially apologize for the comfort women issue. Ms. Lee had a full schedule in New York; that afternoon, she had a news conference at the United Nations headquarters.

The next morning, she met with students at Northeast Asian Social Justice program at the Holocaust Center of Queensborough Community College. When Ms. Lee testified that she had been taken at night and made a comfort woman, students showed tears. One sophomore said it was shocking and heartbreaking. A senior named Tamika Edwards said she felt for the pain and suffering of the victims. The students agreed that when the information is only shared among a few people, it can easily be forgotten. Tragedy needs to be broadcasted.

Recently, the California State Senate and Los Angeles City Council honored Ms. Lee with a special award. During the ceremony, Lee said it wasn’t money the victims wanted, but the same seven demands they’ve been making for the last 25 years: Japanese’s acknowledgement of its wartime sex slavery system, an investigation of the facts, an official apology from the Japanese Diet, legal compensation, indictment of the criminals, thorough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memorial monument. These demands are hardly unreasonable.

But the Japanese government resumed its distortion of key facts. A Japanese foreign ministry official denied the coercive nature of comfort women at the U.N.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mid-February.

On March 2, foreign minister Yoon Byung-se spoke at the U.N. Human Rights Commission in Geneva, but did not mention comfort women at all. On March 15, Minister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Kang Eun-hee attended the U.N.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 in New York. But she did not discuss comfort women either. When an old victim herself is appealing to the conscience of the world, the government has dropped the ball.

The government may think the issue is undiplomatic, but the two nations’ agreement only states that they will refrain from attacking each other.

The Korean American Civic Empowerment for Community is working on a text about comfort women that can be used at public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group is struggling to raise the $50,000 needed to fund the project. They’ve requested to meet with the minister of gender equality whenever the minister visits New York for the U.N. meetings, but so far they haven’t been successful.

Protecting history is a challenge, especially since the current Japanese government seems unwilling to record history correctly and teach truth to its younger generations. History cannot be defended if those trying to defend its truths aren’t strong. Why then isn’t the Korean government more active?

JoongAng Ilbo, Mar. 26, Page 26


*The author is the New York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LEE SANG-RYEUL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88)를 다시 만난 것은 지난 8일 뉴욕시청 앞에서였다. 뉴욕시 정치권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 인정과 공식 사과를 촉구하는 자리였다. 할머니의 뉴욕 일정은 강행군이었다. 이날 오후엔 유엔 본부를 찾아 기자회견을 했다.
다음날 아침엔 퀸즈보로 커뮤니티 칼리지에 있는 홀로코스트 센터를 찾아 동북아역사정의 프로그램 학생들과 만났다. “일본이 밤에 끌고가서 저를 위안부로 만들었다”는 할머니의 증언을 듣는 학생들의 눈에 눈물이 맺혔다. 2학년생 물릿 잭슨은 “너무 쇼킹하고, 가슴이 찢어질것 같다”고 했고, 4학년생 타미카 애드워즈는 “할머니의 고통과 상처가 느껴져 마음이 아프다”고 했다. “소수의 사람들이 알고 있으면 쉽게 잊혀질수 있다. 더 많이 알려야 한다.” 학생들은 한 목소리였다.
이 할머니는 며칠 전 캘리포니아주 상원과 로스앤젤레스 시의회에서 공로상을 받았다. 할머니는 수상 소감에서 “우리가 원하는 것은 돈이 아니다”며 “지난 25년간 7가지 요구를 해왔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의 군 성노예 제도 운영 인정 ▶진상규명 ▶일본 의회의 공식 사죄 ▶법적 배상 ▶범죄자 기소 ▶철저한 교육 ▶기림비 건립이다. 아무리 살펴봐도 무리한 것이 없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도리어 위안부 문제의 진실 왜곡을 재개했다. 일본 외무성 심의관은 2월 중순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에 나와 위안부 강제 연행을 부인했다.
그 얼마 뒤 우리 정부 장관들이 연이어 국제 외교 무대에 나섰다. 지난 2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스위스 제네바의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연설을 했다. 그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15일엔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이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여성지위위원회에 참석했다. 그 역시 위안부 문제를 거론하지 않았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가 노구를 이끌고 세계의 양심에 호소하는 동안 정부는 멀찌감치 비켜서 있는 것이다. 정부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을 이야기하는 것조차 한일 합의에 위배된다고 보는 것일까. 그러나 정부의 자제력 발휘는 설득력이 없다. 한일 합의문엔 “양국 정부가 상호 비난ㆍ비판을 자제한다”고 돼있을 뿐이다. 한인 시민단체인 시민참여센터는 미국 공립학교에서 이용할수 있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교재를 만들려고 뛰고 있다. 미국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가르치려 해도 마땅한 교재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용 5만달러를 마련하지 못해 몇년째 애를 태우고 있다. 역대 여가부장관이 유엔 회의 참석차 뉴욕에 올때마다 얘기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역사를 지킨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가해자들이 진실을 왜곡하려들기 때문이다. 지금의 일본 정부에겐 역사를 바로 쓰고, 자라나는 세대에게 바른 역사를 가르치겠다는 의지가 없어 보인다. 진실을 지키려는 쪽이 굳세지 않으면 역사는 지켜지지 않는다. 정부는 어쩌자고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것인가.

이상렬 뉴욕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