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answered suspicion on Ban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Unanswered suspicion on Ban

The scene of UN Secretary General Ban Ki-moon meeting with North Korean Workers’ Party vice chairman Ri Su-yong, then foreign minister, in late April at the UN headquarters was odd, at least to my eyes. Ri was attending the Paris Climate Agreement signing ceremony as a North Korean representative. Ban shook Ri’s hand with a big smile.

It was when North Korea was focused on the fifth nuclear experiment despite intense sanctions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an briefly discussed the climate change and UN-North Korea relations to Ri. But he did not mention the nuclear issue.

It was explained that the secretary general was receiving each representative briefly, and the welcome was a natural attitude.

But was it the only choice? He could have conveyed the concer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 the encounter. He was dealing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North Korea’s foreign policy. A leader can deliver messages with a firm handshake, a cold facial expression or an intentional neglect. But As Ban and Ri shook hands, Ri’s face was far from helplessness from being isolated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f the signing ceremony didn’t seem appropriate, Ban could have met with Ri separately to urge Pyongyang to abandon the nuclear program. But it never happened.

When it was reported in November, 2015 that Ban was planning a visit to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responded coldly. Washington doubted the effect of Ban’s visit to shake hands and take photos. U.S.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Samantha Powers said in an interview that she hoped Ban continue to strongly respond to the denuclearization and human rights condition. However, Ban’s vision for the visit seemed to be ambiguous at the time. It was not clear whether he was trying to bring North Korea to the negotiation table and urge it to give up nuclear development and how he would address the worst human rights condition on earth. In 2016, North Korea went on with another nuclear test, and Ban’s project of visiting Pyongyang went down.

At the Kwanhun Club meeting in late May, where Ban strongly suggested his presidential bid, Ban said that he was the only one to maintain talk channel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fact, he had frequently met with Ri Su-yong. He may have some secret contacts. But if he does not have the objective and conviction to make Pyongyang give up the nuclear program and not tolerate human rights concerns, his North Korea visit will be not much more than a showy event.

At the UN headquarters briefing in New York on June 1, he was ask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his North Korean visit and presidential bid. A reporter provocatively asked if he could say what he does in the remaining seven months of his tenure would be unrelated to his presidential candidacy. Ban will be met with these suspicious views often. His accomplishments of passion and devotion from the past 10 years would come under scrutiny. Ban asks the media to help him bring a successful conclusion. But people will continue to doubt his sincerity. And Ban is the one who brought these suspicions onto himself, and that’s what makes the situation so regrettable.

JoongAng Ilbo, Jun. 7, Page 30


*The author is the New York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LEE SANG-RYEOL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지난 4월 하순 이수용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당시 북한 외무상)을 유엔본부에서 만나는 장면은 적어도 내 눈엔 의아했다. 이수용은 파리기후협정 서명식에 북한 대표로 참석중이었다. 반 총장은 환하게 웃으며 이수용의 손을 맞잡았다.
당시는 북한이 국제사회의 고강도 제재에도 아랑곳 않고 5차 핵실험 준비에 몰두하던 시기였다. 반 총장은 이수용에게 기후 변화 이슈와 유엔-북한 관계에 대해 간략하게 말했다. 하지만 북한 핵 문제는 언급하지 않았다.
반 총장 측은 “사무총장이 각국 대표를 맞는 짧은 순간이었다”며 '환영'이 당연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과연 그렇게만 볼 사안일까. 잠깐의 만남에서라도 국제사회의 우려를 전할 수 없었을까. 상대는 북한의 외교 총책 아닌가. 때로는 뜨거운 악수로, 때로는 냉랭한 표정으로, 때로는 의도적 외면으로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하는 것이 지도자의 외교 아니던가. 그러나 당시 반 총장과 악수하는 이수용의 표정은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됐다는 무력감과는 거리가 멀었다. 서명식이라는 장소 성격이 적합지 않았다면 따로 이수용을 만나서 핵 포기를 촉구할 수는 없었을까. 하지만 그런 일은 없었다.
지난해 11월 반 총장의 방북 추진 얘기가 터져 나왔을 때 미국의 반응은 차가왔다. 그냥 악수 사진만 찍는 방북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는 식이었다. 서맨사 파워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인터뷰에서 "반 총장이 (북한의 비핵화와 인권 상황에 대해) 앞으로도 계속 강하게 대처할 것을 기대한다"고 압박했다. 그러나 당시 반 총장의 방북비전은 모호한 듯 했다. 문을 닫아걸고 핵 개발에 몰두하는 북한을 어떻게 대화 테이블로 이끌어내 핵을 포기하게 만들 것인지, 지구상 최악인 북한 인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려고 하는지 드러나지 않았다. 해가 바뀌자 북한은 또 핵실험을 했고, 반 총장의 방북 프로젝트는 수면 아래로 내려갔다.
반기문 대망론을 재점화한 지난달말 관훈클럽 간담회에서 반 총장은 남북간 대화채널을 유지해온 이는 자신이 유일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반 총장은 북한 외교 총책인 이수용을 자주 만났다. 비밀 라인이 가동중인 지도 모른다. 하지만 북한이 핵을 버리게 하고, 열악한 북한 인권 문제를 방치하지 않겠다는 목표와 신념이 없다면 방북은 그저 과시성 이벤트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1일 뉴욕 유엔 본부 브리핑에선 급기야 반 총장의 방북과 대선 출마와의 관련성을 묻는 질문이 나왔다. "앞으로 남은 7개월간 무엇을 하든 대선출마와 관련 없다고 할 수 있느냐"는 도발적인 질문도 있었다.
반 총장은 앞으로 이런 의심 가득찬 시선을 자주 만나게 될 것이다. 지난 10년간 그의 열정과 헌신이 빚어낸 여러 업적도 도마 위에 오를지 모른다. 반 총장은 언론에 '유종의 미'를 거둘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부탁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의 의심은 반 총장의 진정성에 물음표를 찍을 것이다. 이런 도전을 자초한 이는 반 총장 자신이다. 그것이 안타깝다.

이상렬 뉴욕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