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l fair weather come after rain ?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Will fair weather come after rain ?

“How could Korea do this?” Many Chinese people confronted me after the Korean government made official the deployment of the controversial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antimissile system in Seongju, North Gyeongsang. Chinese said they felt betrayed and hurt as they hoped Korea would not go for Thaad when China vehemently opposes it. What led China to have such expectations to begin with?

While Korea views Thaad in terms of security sovereignty, China considers it a part of America’s Asia rebalancing strategy. To China, rebalance in Asia is another way of saying encircling China. China’s strategy is to establish a “New Model of Major Country Relations.” The premise of the peaceful coexistence of the existing power and the new power was to recognize China’s influence in the Asia-Pacific region. Whenever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visited the United States, he emphasized, “The broad Pacific Ocean is vast enough to embrace both China and the United States.” Xi proposes a plan for both countr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just as Zhuge Liang had plans for the Three Kingdoms in ancient China.

Then China made efforts to keep Korea on its side. A strategist in Beijing said, “In order to break the siege on China, the Korea-U.S.-Japan alliance should be broken. China initially worked on the Democratic Party in Japan, which had toppled the hawkish Liberal Democratic government. But the Senkaku Island dispute made the efforts futile. Then, Korea emerged as the weakest link, as Korea heavily relies on China economically and could form a united front against Japan on history issue.”

It is uncertain whether that really was China’s intention, but Korea and China had become close rapidly. The climax was President Park Geun-hye attending the Tiananmen military parade last year. As Park was standing next to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on the Tiananmen Gate, Beijing must have expected that Korea would not disappoint China and side with Uncle Sam entirely. The expectation grew into a stronger conviction as the Korean government maintained ambiguous stance on the Thaad deployment for over two years. But China was hoping for too much. Park attended the military parade only to send the message that Korea values China.

Korea also had excessive expectations. Just as Korea-China relations improved, Seoul hoped that China would support Korea’s position on the North Korean policy. While China participated in the sanctions, it also allows the breathing room for the North. Excessive expectations actually come from a lack of communication.

A Chinese expert compared Seoul-Beijing ties to the early stage of romance. The couple is passionate about each other only to experience troubles soon. I believe that the bilateral relationship should be more of friendship than romance. To become true friends, Korea and China must overcome conflicts of interests or discords from misunderstanding. President Park said, “After rain comes fair weather.” She was referring to the internal conflict in the ruling Saenuri Party. But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Seoul-Beijing relations.

Coincidentally, the remark came on the day when the Thaad deployment was announced.

JoongAng Ilbo, July 19, Page 30


*The author is the Beijing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YEH YOUNG-JUNE



“한국이 어찌 이럴 수 있습니까?” 고고도미사일방어(사드)체계 배치 발표 이후 처음 중국인들로부터 적잖게 들은 말이다. 중국의 결사반대를 무릅쓰고 사드 배치를 하진 않을 것이란 기대가 꽤 있었다며 서운함과 배신감을 토로하기도 한다. 중국인들은 왜 그런 기대를 했을까.
안보주권의 차원에서 접근하는 한국과 달리 중국은 사드 배치를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의 일환으로 본다. 중국이 보기에 아시아 재균형은 대(對) 중국 포위망 구축의 다른 표현이다. 이에 대항하는 중국의 전략이 바로 '신형대국관계' 정립이다. 기존 대국과 신흥 대국이 평화롭게 공존하자는 말인데 여기엔 전제가 있다. 아시아ㆍ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지분을 인정하고 침해하지 말라는 것이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은 미국을 방문할 때마다 “태평양은 미ㆍ중 양국을 모두 포용할 만큼 충분히 넓은 공간”이라고 말했다. 제갈량의 천하삼분지계와 다를 게 없는 '아태양분지계(亞太兩分之計)'다.
그러면서 중국은 한국에 공을 들였다. 한 베이징 전략가는 이렇게 설명한다.“대 중국 포위망을 뚫자면 한ㆍ미ㆍ일 삼각 동맹체제를 깨는 게 필요하다. 처음 중국은 일본의 자민당 정권을 무너뜨린 민주당 정권에 공을 들였다. 하지만 센카쿠 열도 국유화로 물거품이 됐다. 대신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높고 역사 문제로 대일 공동전선 형성이 가능한 한국이 한ㆍ중ㆍ일의 약한 고리로 부상했다.”
중국의 속셈이 과연 그랬는지 알 수 없지만 한ㆍ중간의 거리는 급속히 가까와졌다. 그 정점에 이른 게 박근혜 대통령의 천안문 열병식 참석이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란히 천안문 망루에 선 박 대통령의 모습을 보고 중국은 “한국이 미국과의 관계을 유지해도 중국을 저버리면서까지 일방적으로 미국 편만 들진 않을 것”이라 기대했음직하다. 사드 배치에 대한 한국 정부의 모호한 태도가 2년 이상 계속되는것을 보면서 기대는 점점 더 확신쪽으로 옮아갔을 수 있다. 하지만 그건 과도한 기대였다. 박 대통령의 열병식 참석은 그만큼 중국을 중시한다는 메시지를 준 것일 뿐, 사드 배치는 보류는 중국의 일방적 희망사항이었다는 얘기다.
과도한 기대를 한 건 한국도 마찬가지다. 한ㆍ중 관계가 좋아진만큼 중국도 대북 정책에서 완벽하게 우리 입장을 옹호해 줄 것이란 기대가 바로 그렇다. 중국은 대북 제재에 동참하는 한편으로 여전히 북한에 숨통을 열어주고 있다. 과잉 기대도 따지고보면 소통 부족에서 온다.
한 중국인 전문가는 한ㆍ중 관계를 만난지 얼마 안된 연인관계에 비유했다. 순식간에 뜨거워졌다가 급격히 갈등을 빚는 단계로 들어갔다는 것이다. 필자는 한ㆍ중 관계가 파탄에 이르기 십상인 연인관계보다는 친구 사이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진정한 친구가 되려면 이해관계의 충돌이나 오해로 인한 갈등을 극복해야 한다. 박 대통령도 “비 온 뒤 땅이 굳는다”고 했다. 여당 내분을 빗대 한 발언이었지만 한ㆍ중 관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하필 그 말을 한 건 사드 배치를 발표하는 날이었다.


예영준 베이징 총국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